• 최종편집 2024-11-06(수)

NEWS ON AIR

제22회 대구펫쇼, 반려동물과 특별한 추억 만들기
뉴스 05-25 21:28
제18회 전주 비보이 그랑프리, ‘클럽 인투더딥(CLUB I.T.D)’ 우승
뉴스 05-25 21:10
한국폴리텍대학 영남융합기술캠퍼스, 전국 대학 SW 로봇 인재들의 기술 경연 ‘2025 WCRC 물류로봇 경진대회’ 개최
뉴스 05-25 21:08
2025 파워풀대구페스티벌 성료 … ‘시민이 만들고 시민이 즐겼던’파워풀대구페스티벌! 글로벌 퍼레이드 축제 네트워크 허브로 성장!
뉴스 05-12 11:46
2025 파워풀대구페스티벌 성료 … ‘시민이 만들고 시민이 즐겼던’파워풀대구페스티벌! 글로벌 퍼레이드 축제 네트워크 허브로 성장!
뉴스 05-12 11:46
국내외 정상급 비보이들, 문화도시 전주서 ‘격돌’
뉴스 05-12 11:39
전주시, 시민 안전을 위한 화학사고 대응계획 논의
뉴스 04-30 20:22
대구광역시, 상반기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 실시
뉴스 04-30 20:18
부산사회서비스원,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따른 민․관 협력 방안』 논의
뉴스 04-21 20:47
2025 파워풀대구페스티벌 자원봉사자 (파워풀 프렌즈) 발대식 개최 <시민이 주인공! 함께 만드는 축제>
뉴스 04-21 20:33

동영상뉴스더보기

포토뉴스더보기

핫채널

뉴스더보기 +

포토슬라이드
1 / 4

경제 더보기

SK AX, AX 기술력으로 유럽 공급망 ESG 생태계 핵심 플레이어 등극

SK AX(사장 윤풍영, skax.co.kr)는 4일, 유럽 최대 자동차 공급망 ESG 데이터 네트워크 ‘카테나X(Catena-X)’ 운영사인 ‘코피니티X(Cofinity-X)’로부터 온보딩 서비스 사업자(On-boarding Service Provider, 이하 ‘OSP’) 자격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온보딩 서비스 사업자는 카테나X 생태계에 참여하려는 기업들이 ESG 데이터 연계와 시스템 접속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기술·절차 전반을 지원하는 공식 수행기관이다. 이번 선정은 SK AX가 글로벌 ESG 디지털 생태계의 핵심 파트너로 공인받은 것은 물론, ESG를 기술 기반 AX(AI Transformation) 비즈니스로 전환하는 새로운 산업 질서 속에서 시장 주도권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카테나X는 SAP, 지멘스,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 10개 글로벌 기업들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글로벌 자동차 ESG 데이터 연합체다. 제품 생애 전 주기에 걸쳐 탄소를 포함한 주요 데이터를 연결·표준화하고,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K AX는 이번 OSP 자격 획득을 통해 카테나X 생태계에 참여하려는 기업에 총괄 지원하는 파트너로 활동하게 된다. 카테나X 참여 등록은 물론 △탄소 데이터 정합성 확보 △데이터 주권·보안·개인정보 대응 가이드 제공 △데이터 관리에 필요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제안 △지속 운영·교육·유지보수 등 생태계 안착 전 과정을 지원하며, 글로벌 제조 기업들의 ESG 전환을 실질적으로 이끌게 된다. 이 과정에서 SK AX가 투자하고 국내에서 공동으로 사업을 전개 중인 글래스돔의 탄소배출 데이터관리 플랫폼이 카테나X의 공식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으로 등재돼 생태계 내에서 핵심 기술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탄소배출 데이터 관리 플랫폼은 제품 원료 채굴부터 생산, 유통, 사용, 폐기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쳐 탄소 배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ISO 14067 기준에 따라 리포트를 생성해 ESG 공시 및 글로벌 규제 대응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카테나X에서 요구하는 탄소발자국 데이터 산정 기준에 충족한다는 인증을 받으면서 한국 최초 인증 플랫폼이 됐다. SK AX는 이번 OSP 자격 취득을 기점으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와 1·2차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제품 생애주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공급망 추적성(Traceability)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는 단순한 규제 대응을 넘어서, ESG 데이터를 통해 운영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AX ESG 비즈니스 모델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민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형 카테나X 사업에서 데이터 스페이스 가이드라인을 구축하는 기술 리드 기업으로 참여함으로써 향후 국내 데이터 생태계 사업에서도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 SK AX 김민혁 제조/Global사업부문장은 “이번 카테나X OSP 선정은 SK AX가 ESG를 책임 중심의 활동에서 벗어나, 기술로 수익을 창출하는 AX 산업으로 전환시키는 대표 사례가 될 것”이라며 “AX, 플랫폼, 국제 표준 인증 역량을 모두 갖춘 SK AX는 단순 참여자가 아니라, 글로벌 ESG 밸류체인 질서를 설계하고 시장을 연결하는 핵심 플레이어로 활약하겠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SK AX PR팀 지윤진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대웅제약 ‘베르시포로신’ 임상 2상 중간 발표… 폐섬유증 치료 ‘인종별’ 분석도 기대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5월 16일부터 21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미국 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 ATS 2025)’에서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이하 IPF) 치료제 후보 물질 ‘베르시포로신(DWN12088)’의 글로벌 임상 2상 설계와 환자 등록 현황에 대한 중간 분석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18일 개최된 ATS 공식 세션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 모니터링, 치료의 최신 동향’(WHAT’S NEW IN ILD DIAGNOSIS, MONITORING, AND TREATMENT)에서 진행됐으며, 임상 총괄 책임 연구자인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송진우 교수가 직접 발표자로 나섰다. 이번에 발표된 중간 등록 대상자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의 인종 구성, 병용 치료 여부 등 주요 특성이 확인됐다.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 중인 베르시포로신 글로벌 임상 2상은 2025년 4월 기준으로 전체 모집 목표 102명에서 약 80%에 해당하는 79명의 환자가 등록을 완료했다. 기존 IPF 임상들이 주로 백인 위주로 진행됐던 것과는 달리, 베르시포로신 임상 2상은 절반 이상인 47명이 아시아인으로 구성돼 있어, 향후 인종별 치료 반응의 차이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체 등록자의 약 70%는 기존 항섬유화제(닌테다닙 또는 피르페니돈)를 병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30%는 병용 약물 없이 시험에 참여하고 있다. 베르시포로신은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 중인 경구용 항섬유화 신약 후보 물질로, Prolyl-tRNA Synthetase (PRS)라는 콜라겐 합성 관련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해 폐 조직의 섬유화 진행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기전을 가진다. 이는 기존 치료제와는 다른 새로운 기전으로, 필요한 표적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해 이상 반응 부담을 낮추면서도 질병 진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차세대 항섬유화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베르시포로신은 2019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으며, 2022년에는 FDA의 신속 심사제도(패스트 트랙) 개발 품목으로 선정됐다. 이어 2024년 1월에는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도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아 글로벌 신약으로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송진우 교수는 “이번 임상은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아시아인을 포함한 다양한 인종의 반응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연구로서도 의미가 크다”며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대안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베르시포로신은 PRS 억제를 통해 섬유화의 근원을 차단하는 새로운 기전의 신약으로,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이번 임상을 통해 글로벌 IPF 치료 패러다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대웅제약 홍보실 전세미과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첨단 제조산업 융합 비즈니스 플랫폼 ‘나노코리아 2025’ 7월 2일 킨텍스 개막

첨단 제조산업에 필요한 나노융합기술과 응용제품 솔루션을 선보이는 ‘나노코리아 2025(NANO KOREA: 국제 나노기술컨퍼런스 및 융합전시회)’가 전시 품목과 부대행사를 강화하며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가 공동주최하고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과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공동주관하는 세계 3대 나노 행사인 ‘나노코리아 2025’가 오는 7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2홀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23회째를 맞이하는 나노코리아는 ‘더 나은 삶을 위한 나노기술’(Nanotechnology for better life)을 주제로 LG, 재료연구원, 포항공대 나노융합기술원 등 국내·외 20개국 450개 산·학·연이 750개 부스에서 첨단소재·부품·장비를 전시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전시회에는 기존 △나노 △접착·코팅·필름 △레이저 △첨단세라믹 △스마트센서 등 5개 전시회 외에도 △적층제조 △나노바이오 △계측기기 등 첨단 제조산업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기술 관련 전시회 3개가 신규로 추가됨에 따라 각 산업별 시너지가 확대가 기대된다. 차세대 나노융합기술에 대한 글로벌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부대행사도 강화됐다.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국가 전략산업의 초격차 달성을 위한 나노융합기술을 주제로 매년 열리던 ‘나노코리아 산업화 세션’이 올해 ‘나노 비즈 포럼(NANO Biz Forum)’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보다 심층적인 기술 상용화 방향성을 제시한다. 올해 포럼에서는 ‘인공지능(AI)과 나노의 융합으로 만드는 미래 산업의 혁신’을 주제로 LG, 서울대 등 전문가들이 나서서 반도체, 이차전지 등에서의 AI 활용 신소재 개발 사례와 발전 방향을 논의할 전망이다. 또한 19개국 나노융합기술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해 나노기술 최신 연구성과와 글로벌 트렌드를 공유하는 국제 컨퍼런스도 동시 개최돼 비임상 나노바이오기술, 기능성 저차원 나노소재 등 14개 분야별 전문강연을 비롯한 20여 개의 다양한 세션을 통해 1168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이밖에 △그래핀, 맥신 등 2차원 소재의 글로벌 트렌드를 논의하는 ‘2D Materials 세미나’ △나노 셀룰로스 등 친환경소재 상용화를 논의하는 ‘친환경소재 산업화 전략 포럼’ △스마트센서 세미나 △접착코팅(ATEM) 기술세미나 △적층제조 컨퍼런스 등 다양한 기술세미나와 함께 나노융합 수요-공급기업을 연결하는 거래 상담회도 개최될 예정이다. 나노코리아 전시사무국은 나노융합기술은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등 우리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견인하면서 인류의 풍요로운 생활에 기여하는 핵심 기술이라며, 나노코리아가 관련 수요-공급기업들의 혁신 신기술 발굴과 비즈니스 확대의 장(場)이 될 수 있도록 개최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나노코리아는 사전등록 시 무료로 입장이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공식 누리집(https://nanokore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소개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은 2001년 12월 12일 설립되어 회원사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국내 나노산업기술의 발전과 국제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이미 수립된 정부의 나노기술 정책 실효성 제고를 통해 산업계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해 실질적인 산학연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다양한 분야의 나노기술을 상호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현재의 대학·연구소 중심으로 축적된 나노기술 역량을 기존 산업의 강점 분야와 접목해 국가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기능과 역할을 확충하려고 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곽윤섭 주임 031-548-20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Seventh and Eighth O3b mPOWER Satellites to Start Delivering Connectivity Services

SES announced today that the latest pair of O3b mPOWER satellites launched in December 2024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ses.com%2Fpress-release%2Fsess-seventh-and-eighth-o3b-mpower-satellites-successfully-launched-bolstering-meo&esheet=54264040&newsitemid=20250602091667&lan=en-US&anchor=latest+pair+of+O3b+mPOWER+satellites+launched+in+December+2024&index=1&md5=68b6656e4e6a3dadb97b83848761acb4) is now ready to offer services across the globe. Featuring redesigned payload power modules, the seventh and eighth O3b mPOWER satellites are bolstering the capabilities of SES’s second-generation medium earth orbit (MEO) system, supporting the delivery of high throughput and predictable low latency services at scale. To date, SES has launched eight out of 13 O3b mPOWER high-throughput and low-latency satellites. The next O3b mPOWER launch is scheduled for summer 2025. SES has also expanded its strategically located satellite ground stations, and now has 12 operational O3b mPOWER gateways located in South Africa, Peru, Brazil, Portugal, Australia, Greece, the U.S., Chile,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Senegal. Five out of these are co-located and operated by Microsoft’s Azure data centres. “Our O3b mPOWER services are in high demand and we were eagerly awaiting the additional satellites to strengthen our MEO network,” said Adel Al-Saleh, CEO of SES. “As we continue to deploy additional O3b mPOWER satellites, we are bringing substantially more capacity and improved network efficiency, resulting in a threefold increase in available capacity by 2027 to better serve our mobility, government, enterprise and cloud customers.” SES started offering O3b mPOWER services worldwide since April 2024 and has been delivering high-performance network services to customer sites across Asia-Pacific, Africa, the Middle East and the Americas in multiple market segments. The system’s exceptional flexibility means it can provide services ranging from tens of Mbps to multiple gigabits per second of capacity to any site. Follow us on: Twitter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x.com%2FSES_Satellites&esheet=54264040&newsitemid=20250602091667&lan=en-US&anchor=Twitter&index=2&md5=dc5bf69127a53199f6f4787b87f68ab1) | Facebook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facebook.com%2FSES.Satellites&esheet=54264040&newsitemid=20250602091667&lan=en-US&anchor=Facebook&index=3&md5=3ff2ca914aba3052b1d69ddd0c210a8e) | YouTube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youtube.com%2Fses&esheet=54264040&newsitemid=20250602091667&lan=en-US&anchor=YouTube&index=4&md5=afe5f5b857bb291129686ef3543026fd) | LinkedIn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linkedin.com%2Fcompany%2Fses%2F&esheet=54264040&newsitemid=20250602091667&lan=en-US&anchor=LinkedIn&index=5&md5=1f4a9782be3a13c5d6d3d1d188919493) | Instagram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instagram.com%2Fses_satellites%2F&esheet=54264040&newsitemid=20250602091667&lan=en-US&anchor=Instagram&index=6&md5=5d0352a7c3bb4093b59e3ae7d9c6fe53) Read our Blogs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ses.com%2Fnews%2Fblogs&esheet=54264040&newsitemid=20250602091667&lan=en-US&anchor=Read+our+Blogs&index=7&md5=c274672fb60c44b6264e759e38edeeeb) > Visit the Media Gallery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ses.com%2Fmedia-gallery&esheet=54264040&newsitemid=20250602091667&lan=en-US&anchor=Visit+the+Media+Gallery&index=8&md5=4dbe26a7f5242676ec33d0cfe3720da4) > About SES SES has a bold vision to deliver amazing experiences everywhere on Earth by distributing the highest quality video content and providing seamless data connectivity services around the world. As a provider of global content and connectivity solutions, SES owns and operates a geosynchronous orbit fleet and medium earth orbit (GEO-MEO) constellation of satellites, offering a combination of global coverage and high performance services. By using its intelligent, cloud-enabled network, SES delivers high-quality connectivity solutions anywhere on land, at sea or in the air, and is a trusted partner to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mobile network operators, governments, connectivity and cloud service providers, broadcasters, video platform operators and content owners around the world. The company is headquartered in Luxembourg and listed on Paris and Luxembourg stock exchanges (Ticker: SESG). Further information is available at: www.ses.com. 언론연락처: SES S.A. Suzanne Ong Communications +352 710 725 50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아이핏, 19개국에 AI 코치 출시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커넥티드 피트니스 및 인터랙티브 콘텐츠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 아이핏(iFIT Inc.)이 자사의 아이핏 AI 코치(iFIT AI Coach)(베타) 출시 국가를 19개국으로 확대한다고 오늘 발표했다. 해당 국가는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캐나다,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이다. 이번 전략적 확장을 통해 전 세계 더 많은 운동 애호가에게 아이핏의 지능형 개인 맞춤형 피트니스 기술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AI 코치는 현재까지 출시된 아이핏의 가장 진보한 디지털 트레이닝 도구로, 독점 기술과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개인화된(hyper-personalized) 피트니스 및 웰니스 계획을 제공한다. 이 도구는 사용자의 목표, 일정 및 성과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되며 근력 및 유산소 운동부터 회복 및 마음챙김(mindfulness)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피트니스 범주 전반에 걸쳐 실시간 피드백과 동기 부여를 제공한다. 최고국제책임자(Chief International Officer)인 바트 뮬러(Bart Mueller)는 “아이핏 AI 코치를 미국 외 지역으로 확장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지능형 양방향 피트니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려는 우리의 사명을 반영한다”며 “이번 출시 확대로 더 많은 사용자가 세계적 수준의 기술에 기반한 편리하고 맞춤화된 지원을 통해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아이핏 AI 코치는 머신러닝을 사용하여 진행 상황, 선호도 및 성과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권장 사항을 개선한다. 이번 확장 출시는 가정, 헬스장 또는 이동 중에도 결과를 제공하는 디지털 우선(digital-first)의 유연한 피트니스 솔루션에 대한 전 세계적인 수요 증가에 부응하도록 설계되었다. AI 코치 채팅 경험은 아이핏 모바일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AI 코치가 추천하는 운동은 일부 노르딕트랙(NordicTrack) 및 프로폼(ProForm) 장비 화면에도 표시되며, 각 지역에 맞춤화된 언어를 지원한다. 아이핏 소개 아이핏(iFIT Inc.)은 피트니스 기술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사람들이 더 오래, 더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돕는 커넥티드 피트니스 분야를 개척하고 있다. 전 세계 600만 명 이상의 운동 애호가 커뮤니티를 보유한 아이핏은 가정, 이동 중 및 체육관에서 몰입도 높은 개인 맞춤형 운동 경험을 제공한다. 독점 소프트웨어, 혁신적인 하드웨어, 매력적인 콘텐츠로 구성된 포괄적인 생태계를 기반으로 하는 iFIT 플랫폼은 노르딕트랙(NordicTrack), 프로폼(ProForm), 프리모션(Freemotion), 아이핏 앱(iFIT app)을 포함한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통해 피트니스에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부터 회복에 이르기까지 아이핏은 피트니스 여정의 모든 단계에서 운동하는 이들의 역량을 강화한다. 웹사이트: iFIT.com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iFIT 대행 ICR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iFIT Expands Global Reach with Rollout of AI Coach in 19 Countries

iFIT Inc., a global leader in connected fitness and interactive content, today announced the expansion of its iFIT AI Coach (beta) across 19 countries: Australia, Austria, Belgium, Canada, Finland, France, Germany, Ireland, Italy, Luxembourg, Mexico, Netherlands, New Zealand, Norway, Portugal, Spain, Sweden, Switzerland, and the UK. This strategic expansion brings iFIT’s intelligent, personalized fitness technology to more athletes around the globe. AI Coach is iFIT’s most advanced digital training tool to date, leveraging proprietary technology and user data to deliver hyper-personalized fitness and wellness plans. The tool adapts dynamically to users' goals, schedules, and performance, offering real-time feedback and motivation across a wide range of fitness categories—from strength and cardio to recovery and mindfulness. “Expanding iFIT AI Coach beyond the U.S. reflects our mission to make intelligent, interactive fitness more accessible around the globe,” said Bart Mueller, Chief International Officer. “This rollout empowers more users to take control of their health with support that’s customized, convenient, and rooted in world-class technology.” iFIT AI Coach uses machine learning to continuously refine recommendations based on progress, preferences, and performance. The expansion is designed to meet growing global demand for digital-first, flexible fitness solutions that deliver results at home, at the gym, or on the go. The AI Coach chat experience will be available through the iFIT mobile app. Workouts recommended by AI Coach will also appear on screen on select NordicTrack and ProForm equipment, with language support tailored to each region. About iFIT Inc. iFIT Inc. is a global leader in fitness technology, pioneering connected fitness to help people live longer, healthier lives. With a community of more than 6 million athletes around the world, iFIT delivers immersive, personalized workout experiences at-home, on the go, and in the gym. Powered by a comprehensive ecosystem of proprietary software, innovative hardware, and engaging content, the iFIT platform brings fitness to life through its portfolio of brands: NordicTrack, ProForm, Freemotion, and the iFIT app. From cardio and strength training to recovery, iFIT empowers athletes at every stage of their fitness journey. For more information, visit iFIT.com.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602205261/en/ 언론연락처: ICR for iFIT Inc.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현대차그룹 ‘10대를 위한 최고의 차량’ 최다 수상

현대자동차그룹은 3일(화)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U.S. News & World Report)가 주관하는 ‘10대를 위한 최고의 차량(Best Cars for Teens)’에서 신차 부문 8개 중 4개, 중고차 부문 4개 중 3개 등 총 12개 중 7개 부문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는 자동차그룹 기준 최다 선정으로 현대차그룹은 2022년부터 4년 연속 최다 수상 기록을 세우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차량 안전성과 경제성을 입증했다. 또한 10대를 위한 최고의 차량 수상은 생애 첫 차 고객의 긍정적 경험이 장기적으로 충성도 높은 잠재 고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대차는 신차 부문에서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가 2만5000달러~3만달러 가격대 최고의 자동차, 투싼이 2만5000달러~3만달러 가격대 최고의 SUV, 투싼 하이브리드가 3만달러~3만5000달러 가격대 최고의 SUV로 선정됐고 기아는 쏘울이 2만 달러~2만5000달러 가격대 최고의 SUV로 뽑혔다. 중고차 부문에서는 2022 아반떼 하이브리드가 최고의 소형차, 2022 투싼 하이브리드가 최고의 소형 SUV, 2022 싼타페 하이브리드가 최고의 중형 SUV로 선정됐다. 특히 현대차 투싼은 신차 부문에서 2022년부터 4년 연속 2만5000달러~3만달러 가격대 최고의 SUV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10대를 위한 최고의 차량은 신차 부문에서 △신뢰도 △충돌 안전성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업계 전문가들의 호평, 중고차 부문에서 2020~2022년 모델 중 △안전성 △낮은 유지비용 △긍정적인 전문가 평가 등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한다. 올라비시 보일(Olabisi Boyle) 현대차 북미법인 상품기획 및 모빌리티 전략 부문 전무는 “이번 수상은 단순한 사양 비교를 넘어 신뢰를 의미한다”며 “10대는 스타일, 기술, 자유를 원하고 부모는 안전과 신뢰성을 원하는데 현대차는 양쪽 모두를 만족시킨다”고 말했다. 잭 도엘(Zach Doell)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 차량 테스트 에디터는 “현대차그룹의 최다 수상은 안전하고 경제적인 차량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올해의 수상 차량은 모두 최고의 충돌 안전 등급과 안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운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앱을 제공해 부모들이 안심할 수 있게 해준다”고 극찬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3월 U.S.뉴스 앤드 월드리포트가 주관하는 ‘2025 베스트 카 포 패밀리(2025 Best Cars for Families)’에서 최고의 준중형 SUV 부문에 현대차 투싼, 최고의 3열 중형 SUV 부문에 기아 텔루라이드, 최고의 전기차 부문에 EV9이 선정되며 우수한 상품성을 입증한 바 있다. 한편, U.S.뉴스 앤드 월드리포트는 1948년에 시작된 시사 주간지이자, 각 분야별 순위 조사 전문 매체로 분야별 순위는 각종 매체에서 인용되는 등 미국 내에서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 언론연락처: 현대자동차·기아 커뮤니케이션센터 02-3464-2102∼211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NIKE, Inc. Appoints Michael Gonda as Executive Vice President and Chief Communications Officer

NIKE, Inc. (NYSE:NKE) announced today that Michael Gonda will become Executive Vice President and Chief Communications Officer of NIKE, Inc., effective July 7, 2025. In this role, Gonda will lead the global communications organization, overseeing all facets of the communications strategy, including storytelling, corporate and brand reputation, issues management, and employee engagement. As a member of the company’s Senior Leadership Team, Gonda will report to President and Chief Executive Officer Elliott Hill. “Michael is a deeply strategic, emotionally intelligent, purpose-driven leader who understands the power of storytelling to move both brands and people,” said Hill. “His vision for driving impactful communications, his instinct for building high-performing teams, and his ability to form authentic connections will help Nike amplify the voice of sport and athletes around the world in bold and meaningful ways. I’m confident he’s the right leader for us as we put Nike back at the center of sport, and our team is excited for the vision and leadership he brings.” Gonda joins Nike from McDonald’s Corporation, where he held several senior leadership roles, including Chief Impact Officer for North America—overseeing communications, public affairs, sustainability, community engagement and philanthropy for the company’s largest markets—and as Global Chief Communications Officer. During his tenure, he served on several leadership bodies, including the Global Senior Leadership Team. “Nike has always been more than a brand—it’s a storyteller, a cultural force, and a catalyst for belief,” said Gonda. “I’m deeply honored to join a company that has shaped how people see themselves and the world around them, and am humbled to help Nike tell the stories that matter, connect even more deeply with athletes and communities, and write the next ambitious chapter with Elliott and this team.” Prior to McDonald’s, Gonda held senior leadership roles at Chobani, a purpose-driven food company, and communications agency Weber Shandwick. An avid runner and traveler, Michael has lived across the United States, Kenya, and China. He earned a Bachelor’s degree in English with Honors from Brown University. About NIKE, Inc. NIKE, Inc., headquartered in Beaverton, Oregon, is the world's leading designer, marketer and distributor of authentic athletic footwear, apparel, equipment and accessories for a wide variety of sports and fitness activities. Converse, a wholly-owned NIKE, Inc. subsidiary brand, designs, markets and distributes athletic lifestyle footwear, apparel and accessories. For more information, NIKE, Inc.’s earnings releases and other financial information are available on the Internet at https://investors.nike.com/. Individuals can also visit https://about.nike.com/and follow NIKE on LinkedIn, Instagram and YouTube.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602718736/en/ 언론연락처: NIKE, Inc.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수림디엑스, 밈피스재단과 비트코인 채굴 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MOU 체결

글로벌 디지털 금융 인프라 기업인 수림디엑스(SurimDX Inc.)가 영국의 Web3 프로젝트 기관인 밈피스재단(Memepiece Foundation, UK)과 비트코인 채굴기 공급 및 채굴 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포괄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수림디엑스가 발표한 TSMC 5nm 공정 기반의 고효율 비트코인 채굴기 생산 계획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밈피스재단은 이 채굴기를 활용해 직접 채굴 인프라를 운영하고 수익화하는 역할을 맡아, 양사가 채굴기 제조부터 실질적인 채굴 운영까지 아우르는 Web3 기반 채굴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수림디엑스는 고효율 ASIC 채굴기를 공급하며, 밈피스재단은 동남아 및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채굴 시설 구축과 운영을 총괄하게 된다. 또한, 양사는 채굴 수익의 Web3 활용 모델 개발과 토큰 기반 보상 구조 연계 등 다양한 후속 사업도 공동으로 검토하고 있다. 수림디엑스의 유훈석 대표는 “이번 제휴는 수림의 하드웨어 기술력과 밈피스의 글로벌 Web3 네트워크가 결합한 실물 기반 채굴 협력 모델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하며 “에너지 효율성과 지역 분산화를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채굴 인프라 구축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밈피스재단의 공동 창립자인 Jene은 “영국을 거점으로 하는 밈피스는 실물경제와 Web3 생태계 간의 연결을 끊임없이 모색해왔으며, 이번 채굴 사업 제휴를 통해 토큰 경제의 지속 가능성과 실질 수익 기반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채굴 수익은 생태계 강화 및 유저 보상 시스템에 전략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제휴는 기술 중심의 하드웨어 기업과 커뮤니티 기반 Web3 프로젝트가 실질적 채굴 사업에 협력하는 드문 사례로, 가상 자산 산업의 실물화와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 확립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밈피스재단 소개 밈피스재단(Memepiece Foundation, UK)은 영국에 본사를 둔 Web3 프로젝트 기관으로, 밈(MEME) 문화와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해 디지털 콘텐츠, 게임, 커뮤니티 생태계 전반에 걸친 참여형 토큰 경제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실물 기반 수익 모델과의 접목을 통한 Web3 실현에 집중하고 있다. 수림디엑스 소개 수림디엑스(SurimDX Inc.)는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글로벌 결제 인프라 및 Web3 금융 솔루션을 개발·운영하는 기술 기업으로, 비트코인 채굴기 개발, 글로벌 결제 서비스, P2P 금융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수림디엑스 유훈석 대표이사 홍보팀 02-2039-014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아이씨에프, 6월 울산국제아트페어서 3D AR로 구현한 ‘모나리자’ 공개한다… 확장된 작품 감상으로 높은 몰입도 선사

AR 기술 융복합 전문기업 아이씨에프(ICF, 대표 서영호)가 오는 6월 5일(목)부터 8일(일)까지 나흘간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울산국제아트페어(ULSAN INTERNATIONAL ART FAIR 2025, 이하 UIAF 2025)’에 참가한다. 아이씨에프는 회화, 조각, 문화재와 오브제 등 실재하는 예술품을 3D 콘텐츠로 전환하는 ‘AR STUDIO (에이알스튜디오)’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문화예술계의 디지털 전환(DX)에 이바지해 온 기업이다. 설립 당시인 2011년부터 3D 그래픽 제작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특화된 역량을 입증하며 산업계 전반에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왔다. 최근 수년간 AR·VR, AI (인공지능) 분야로도 독자적인 연구개발과 기술 확보를 추진해 성공적인 사업 확장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아이씨에프의 대표 서비스인 에이알스튜디오는 ‘디지털 팔레트’를 표방하는 자체 플랫폼이자 서비스로, 현실 공간의 사물을 3D 스캐닝 기술로 디지털화해 3D 개체 및 콘텐츠로 가공, 최적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360도 전방위로 구현한 3D 개체와 함께 다채로운 그래픽 및 음향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작품 감상의 시각을 평면에서 입체적이고 공감각적인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이 그 골자다. 이를 통해 아이씨에프는 국내 예술가와의 협업을 체결하며 ‘AR 예술전’의 국내·외 확산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5월 탐앤탐스×갤러리탐 압구정점에서 개최된 ‘제1회 AR ART 展’을 시작으로 ‘강종열 기획초대전(6월, 세종뮤지엄갤러리)’, ‘빛과 케이크 4: 백일몽을 담다(12월, 갤러리 우화각)’ 등 다수의 기획전과 종합전에 참여한 바 있다. 이어 지난해 말 열린 ‘2024 청계천 빛초롱 축제’에선 건축가이자 설치미술가인 한원석 작가가 에밀레종을 모티브로 제작한 작품 ‘현영(玄影): 검은 그림자’를 AR 아트로 제작 및 전시하며 관람객들의 호평을 얻기도 했다. 당시 현장에선 아이씨에프의 AR 뷰어 애플리케이션(앱) ‘AR 쿠키(에이알쿠키)’의 메타 퀘스트 버전을 시연하면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넘어 한층 확장된 예술품 감상 경험을 관람객들에게 제공했다. 나아가 아이씨에프는 2025년 들어 제휴 예술인을 추가로 10명 더 확보해 예년보다 풍부해진 예술가 라인업을 구축하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월드아트엑스포 서울 2025(1월, 코엑스) △양재천 벚꽃 등(燈) 축제(4월, 양재시민의숲) △2025 HI vs AI 영상제(4월, 픽처하우스) 등에 잇달아 참가, 이들 작품으로 제작한 AR 아트를 대중에게 선보였다. 오는 6월 개최되는 UIAF 2025에선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 구스타프 클림트의 ‘키스’, 신윤복의 ‘미인도’ 등의 고전 명화를 AR 아트로 구현해 전시할 예정이다. 특히 각 작품의 디지털 전환 과정에선 올해 에이알스튜디오에 추가될 생성형 AI 기반의 자동 3D 콘텐츠 제작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아이씨에프는 기존 작품에선 엿볼 수 없는 프레임(액자) 바깥의 모습까지 재현할 계획이다. 서영호 아이씨에프 대표는 “단순히 회화 명작을 디지털화하는 수준을 넘어 모나리자의 전신, 클림트의 그림 속 키스하는 연인의 뒷모습 등 그간 어디서도 볼 수 없던 화각 밖 세상을 관객들에게 보여드리고자 한다”며 “작품이 탄생한 시대상, 문화, 양식 등의 높은 재현율을 갖추게 된 자사 AI 모델은 작품 속 세계에 빠져들듯 몰입도 높은 감상을 가능케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올해 8월 아이씨에프가 롯데프리미엄아울렛 의왕점에서 진행할 기획전에선 다수의 고전 명작과 국내 서양화가 강종열의 작품 전시와 함께 이들 작품을 기반으로 제작한 ‘AR 아트 컬렉션’의 론칭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AR 아트 컬렉션은 전면에 회화를, 후면에는 언제든 AR 아트를 불러올 수 있는 ‘AR 코드’를 각각 인쇄한 카드 형태의 굿즈로, 아이씨에프가 예술 작품 소장 문화의 대중화를 목표로 개발해 온 상품이다. 서 대표는 “언제 어디서든 AR 아트를 즐길 수 있으면서도 작품을 오롯이 개인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굿즈 판매로 수익 모델 고도화와 제휴 예술가들의 수익 창출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인천의 모 독립 서점으로의 입점 판매를 목표로 논의 중이며, 판로 확보 이후로는 전국 판매망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설립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가 운영하는 디지털콘텐츠기업 성장지원센터 입주기업 아이씨에프는 기술사업화 및 투자유치 관련 맞춤형 컨설팅에 참여해 기업에 적합한 전문가 조언을 지원받고 있으며, 대외 홍보 지원 및 기업 협력을 위한 네트워킹 프로그램에도 참여하며 기술 사업 성장에 주력하고 있다. 아이씨에프 소개 아이씨에프(ICF)는 독자적인 기술 개발과 경험을 바탕으로 ‘에이알쿠키’ 증강현실(AR)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AR 전문 기업이다. 아이씨에프는 개인부터 기업과 예술 문화 분야 등 다양한 곳에서 손쉽게 AR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AI (사물 인식 및 언어 인식 분야), AR (공간인식, 인터렉티브), VR (3D 공간 커스텀 기술)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아이씨에프 서영호 대표 070-7757-701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하림 ‘구워먹는 닭’ GS더프레시에서 판매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담백한 구운 치킨을 가성비 좋게 즐길 수 있는 ‘구워먹는 닭’을 GS더프레시에서 선보인다. ‘구워먹는 닭’은 지난 4월 배달의민족의 즉시배달 서비스 ‘B마트’를 통해 첫 선을 보인 이후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100% 국내산 냉장 닭 한 마리를 먹기 좋게 손질한 제품으로, 200℃로 예열한 에어프라이어에 22~25분간 조리하면 기름기 쏙 빠진 ‘겉바속촉’ 치킨을 집에서도 간편하게 맛볼 수 있다. 특히 튀기지 않아 깔끔하고 담백하며, 다이어트나 건강 관리 중인 소비자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배달 치킨 대비 합리적인 가격으로 퀄리티 높은 국내산 냉장 닭을 맛볼 수 있어 가성비 또한 뛰어나다. 하림 ‘구워먹는 닭’은 전국 GS더프레시 냉장 코너에서 판매하며, 6월 4일부터 10일까지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GS더프레시 하민주 축산 팀장은 “합리적인 가격으로 맛있는 구운 치킨을 즐길 수 있어 많은 분들이 좋아해 주시는 하림 ‘구워먹는 닭’을 GS더프레시에서도 선보이게 됐다”며 “앞으로도 하림과 함께 가성비와 품질 모두 잡은 제품 라인업을 늘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하림 홍보대행 신시아 차강현 매니저 070-8852-257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위드플러스, AI 기반 성격·심리 진단 분석 모델 개발 본격화…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 콘텐츠 제공 추진

에듀테크 기업 위드플러스(대표 이광표)가 AI (인공지능) 기반의 성격·심리 진단 모델의 개발을 추진한다. 글로벌 산업계 전역에 걸쳐 디지털 전환이 가속하는 가운데, 에듀테크 분야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진단 기반 교육 방식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새로운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위드플러스는 기존의 수작업 중심의 성격·심리 진단 솔루션을 디지털 환경에서 제공하는 동시에, 진단 프로세스 전반을 자동화하는 버티컬 AI 모델에도 연구개발(R&D) 역량을 투자 중이다. 앞서 위드플러스는 지난 2024년 대림대학교 평생교육원 수강생을 대상으로 자아 상태 분석 및 조직 간 소통 스타일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로써 협업 기반 학습의 몰입도 향상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이어 2025년에는 경기문화재단 리더십 교육에 참여해 세대별 리더십 성향을 진단 기술로 맞춤형 교육 설계를 지원하기도 했다. 위드플러스는 자사 교육 콘텐츠 플랫폼 ‘위드플러스 라이브’를 통해 △자아 구조를 분석하는 ‘Live Egogram (라이브 에고그램)’ △리더십 성향을 진단하는 ‘Live Hexagram’ 등 2종의 디지털 성격·심리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나아가 위드플러스는 이들 솔루션에 단순한 검사 도구로서의 특성을 넘어, 개인 및 조직의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 콘텐츠와의 연동으로 맞춤형 교육 설계 생태계의 형성,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용자가 Live Egogram과 Live Hexagram을 통해 얻은 진단 결과는 본인의 성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며, 정량적 분석을 제공하는 리포트는 맞춤형 교육 콘텐츠의 선정 및 추천에 활용된다. 이처럼 진단-피드백-행동 변화로 연결되는 사이클을 구축해 교육의 실질적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또한 위드플러스는 현재 교육 도메인에 특화된 버티컬 AI 모델 구축을 목표로, 교류 분석(TA), 성격유형 이론 등 검증된 심리학 기반 전문 데이터를 활용해 도메인 특화 데이터셋 구축과 전용 아키텍처 설계를 진행 중이다. 해당 모델은 단순히 결과를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 행동 유도형 피드백까지 자동 제시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학습의 실현 가능성을 키우는 데 이바지한다. 또 위드플러스는 이 같은 버티컬 AI 모델로 심리 진단 기반의 교육 효과를 정량화하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가능케 하는 미래형 교육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한편 위드플러스는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업계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AI와 교육 콘텐츠의 융복합을 추진하고, 진단 중심의 맞춤형 교육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이광표 위드플러스 대표는 “자사가 지향하는 교육의 가치는, 교육 대상에게 특정한 개념을 가르치기보단, 사람을 이해하도록 돕는 데에 있다”며 “교육의 본질은 공감에 있으며, 진단은 곧 모든 교육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설립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가 운영하는 디지털콘텐츠기업 성장지원센터 졸업기업인 위드플러스는 IR 피칭데이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참여해 기업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고객에게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언론연락처: 위드플러스 이광표 대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1879MG ‘트랜스지방 제로’ 땅콩버터 신제품 2종 출시… 최대 48% 할인

1879MG가 땅콩의 진한 고소함을 담은 땅콩버터 신제품 2종을 출시했다. 부드러운 식감의 ‘크리미’ 타입과 바삭한 알갱이가 살아 있는 ‘크런치’ 타입으로 구성돼,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면서도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340g 용량으로 선보인 이번 제품은 땅콩을 통째로 갈아 만든 91.5%의 높은 함유율을 자랑하며, 트랜스지방과 방부제를 배제하고 불필요한 첨가물을 줄여 보다 건강하게 즐길 수 있다. ‘크리미’는 잼처럼 부드러운 질감으로 빵이나 과일, 요거트와 잘 어울리며 ‘크런치’는 땅콩 알갱이의 오도독한 식감이 살아 있어 간식은 물론 요리 재료로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단품 외에도 세트 구성으로 판매되며, 묶음 상품에 한해 MG커머스 스마트스토어에서 단독 할인 이벤트가 진행 중이다. 이번 이벤트는 최대 48%까지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향후 판매 채널도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1879MG는 최근 높아진 땅콩버터의 인기를 반영해 소비자들이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제품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이번 할인 행사가 기획됐다며, 자사 제품을 활용한 다양한 레시피로 맛과 건강을 동시에 챙기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언론연락처: 1879MG 마케팅팀 이호정 팀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사회 더보기

좋은땅출판사 ‘서나씨의 소풍일지’ 출간

좋은땅출판사가 ‘서나씨의 소풍일지’를 펴냈다. 이 책은 쉰다섯 살에 군대에 입대한 독특한 이력의 저자 양선화가 인생의 반환점을 돌아 바라본 지난 시간의 기록이다. 전남 보성에서 나고 자라 전남대학교와 동신대학교를 거쳐 박사학위를 받은 저자는 상담가로서 광주해바라기센터와 경남서부해바라기센터를 거쳐 육군 양성평등센터장, 성고충예방대응센터장까지 맡으며 ‘민간인 최초 육군 센터장’이라는 길을 개척했다. ‘서나씨의 소풍일지’는 한 여성의 직업적 성취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경찰차를 타고 면접장에 도착했던 웃지 못할 해프닝, 삶의 무게에 눌려 흔들렸던 순간들 그리고 시와 책, 사진과 골프 속에서 다시 길을 찾아가는 과정은 읽는 이로 하여금 저마다의 ‘소풍일지’를 꺼내 들게 만든다. 출판사는 이 책이 단순한 회고록이 아닌 ‘어떻게 살아왔고 앞으로 어떻게 살고 싶은가’에 대한 진솔한 고백이라고 말한다. 저자의 여정은 유쾌함과 따뜻함 그리고 삶을 있는 그대로 껴안는 담대함으로 가득하다. 은퇴를 앞두고 숙제가 아닌 소풍처럼 삶을 정리해가는 이 다정한 기록은 그 누구의 이야기보다 당신의 이야기일 수 있다. ‘서나씨의 소풍일지’는 교보문고, 영풍문고, 예스24, 알라딘, 인터파크, 도서11번가 등에서 주문·구매할 수 있다. 좋은땅출판사 소개 도서출판 좋은땅은 1993년 설립해 20여 년간 신뢰, 신용을 최우선으로 출판문화 사업을 이뤄왔다. 이런 토대 속에 모든 임직원이 성실함과 책임감을 느끼고, 깊은 신뢰로 고객에게 다가가며, 사명감을 바탕으로 출판문화의 선두 주자로서 어떠한 원고라도 세상에 빛을 보게 해 독자가 더 많은 도서를 접하고, 마음의 풍요와 삶의 질을 높이도록 출판 사업의 혁신을 이뤄나갈 것이다. 언론연락처: 좋은땅출판사 문지영 매니저 02-374-861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HD현대중공업, 필리핀 수출 원해경비함 진수

HD현대중공업이 K-해양방산의 핵심 파트너인 필리핀 해군으로부터 수주한 총 6척의 원해경비함 중 1번 함을 성공적으로 진수했다. HD현대중공업은 11일(수) 울산 본사에서 2400톤급 필리핀 원해경비함 1번 함인 ‘라자 술라이만(RAJAH SULAYMAN)함’ 진수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3월 진수한 필리핀 초계함 2번 함 ‘디에고 실랑함’에 이은 올해 들어 두 번째 수출 함정 진수식이다. 이날 행사에는 필리핀 로미오 브라우너(Romeo S. Brawner) 합참의장,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베가(Theresa B. Dizon-De Vega) 주한필리핀대사, 에드윈 아마다르(Edwin E. Amadar) 해군 참모차장, 어구스토 가이테(Augusto V. Gaite) 국방부 방산 기술개발 차관보 등 필리핀군 및 정부 관계자들과 HD현대중공업 주원호 특수선 사업 대표 등 양국 관계자 70여 명이 참석했다. 라자 술라이만함은 길이 94m, 폭 14m, 순항속도 15노트(약 28km/h), 항속거리 5500해리(1만186km)에 이르는 최신예 원해경비함으로 76mm 함포, 30mm 부포(副砲), 기만기(欺滿機) 발사 체계, 탐색레이더, 전자광학 추적 장비 등 무기체계가 탑재된다. 이 함정은 16세기 외세의 침략에 맞서 마닐라를 지켜낸 필리핀의 영웅 ‘라자 술라이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라자 술라이만함은 이후 시운전과 마무리 의장 작업 등을 거쳐 필리핀 해군에 내년 3월 인도될 예정이다. HD현대중공업은 후속 함 5척도 순조롭게 건조해 2028년까지 순차적으로 인도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필리핀 정부는 자국 해군의 현대화와 전력 증강을 위해 다수의 함정을 확보하는 군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HD현대중공업에 호위함 2척(2016년), 초계함 2척(2021년), 원해경비함(OPV) 6척(2022년) 등 총 10척의 함정을 발주한 바 있다. HD현대중공업 주원호 특수선 사업 대표는 “필리핀으로부터 수주한 총 6척의 원해경비함 가운데 첫 번째 함정을 성공적으로 진수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상호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K-해양방산의 핵심 파트너인 필리핀 군 현대화 사업의 성공적인 완수를 위해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필리핀 로미오 브라우너 합참의장은 “라자 술라이만함은 필리핀과 HD현대중공업 간의 긴밀한 협력의 결실로, 팀워크와 공동 비전의 힘을 보여주는 귀중한 사례”라며 “6월 12일 뜻깊은 필리핀 독립 기념일을 맞이해 역동적이고 유능한 해양 국가로 나아가겠다는 다짐을 함께 기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HD현대중공업은 5월 부산에서 개최된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5에 참가해 대양 작전용 6500톤급 수출용 호위함을 최초로 공개하고, 포르투갈 해군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해양 방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HD현대중공업 홍보팀 이민규 사원 052-202-223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VeriSilicon’s Ultra-Low Energy NPU Provides Over 40 TOPS for On-Device LLM Inference in Mobile Applications

VeriSilicon (688521.SH) today announced that its ultra-low energy and high-performance 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 (NPU) IP now supports on-device inference of large language models (LLMs) with AI computing performance scaling beyond 40 TOPS. This energy-efficient NPU architecture is specifically designed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generative AI capabilities on mobile platforms. It not only delivers powerful computing performance for AI PCs and other end devices, but is also optimized to meet the increasingly stringent energy efficiency challenges of AI phones and other mobile platforms. Built on a highly configurable and scalable architecture, VeriSilicon’s ultra-low energy NPU IP supports mixed-precision computation, advanced sparsity optimization, and parallel processing. Its design incorporates efficient memory management and sparsity-aware acceleration, which reduce computational overhead and latency, ensuring smooth and responsive AI processing. It supports hundreds of AI algorithms including AI-NR and AI-SR, and leading AI models such as Stable Diffusion and LLaMA-7B. Moreover, it can be seamlessly integrated with VeriSilicon’s other processing IPs to enable heterogeneous computing, empowering SoC designers to develop comprehensive AI solutions that meet diverse application needs. VeriSilicon’s ultra-low energy NPU IP also supports popular AI frameworks such as TensorFlow Lite, ONNX, and PyTorch, thereby accelerating deployment and simplifying integration for customers across various AI use case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re evolving into personal AI servers.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AIGC and multi-modal LLM technologies, the demand for AI computing is growing exponentially and becoming a key differentiator in mobile products,” said Weijin Dai, Chief Strategy Officer, Executive Vice President, and General Manager of the IP Division at VeriSilicon. “One of the most critical challenges in supporting such high AI computing workloads is energy consumption control. VeriSilicon has been continuously investing in ultra-low energy NPU development for AI phones and AI PCs. Through close collaboration with leading SoC partners, we are excited to see that our technology has been realized in silicon for next-generation AI phones and AI PCs.” About VeriSilicon VeriSilicon is committed to providing customers with platform-based, all-around, one-stop custom silicon services and semiconductor IP licensing services leveraging its in-house semiconductor IP.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www.verisilicon.com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606406169/en/ 언론연락처: VeriSilicon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베리실리콘의 초저에너지 NPU,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온디바이스 LLM 추론을 위해 40TOPS 이상의 성능 제공

베리실리콘(688521.SH)은 초저에너지 및 고성능 신경망 처리 장치(NPU) IP가 이제 40TOPS를 넘는 AI 컴퓨팅 성능으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온디바이스 추론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 에너지 효율적인 NPU 아키텍처는 모바일 플랫폼에서 생성형 AI 기능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 이 아키텍처는 AI PC와 기타 최종 기기에 강력한 컴퓨팅 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AI폰과 기타 모바일 플랫폼의 점점 더 엄격해지는 에너지 효율성 과제를 충족하도록 최적화되었다. 베리실리콘의 초저에너지 NPU IP는 구성 및 확장성이 뛰어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혼합 정밀도 계산, 고급 희소성 최적화 및 병렬 처리를 지원한다. 이 설계에는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와 희소성 인식 가속이 통합되어 계산 오버헤드와 지연 시간을 줄이고, 원활하고 반응성이 뛰어난 AI 처리를 보장한다. 이 설계는 AI-NR, AI-SR을 비롯한 수백 개의 AI 알고리즘과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LLaMA-7B와 같은 주요 AI 모델을 지원한다. 또한 베리실리콘의 다른 프로세싱 IP와 완벽하게 통합되어 이기종 컴퓨팅을 지원하고, SoC 설계자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포괄적인 AI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베리실리콘의 초저에너지 NPU IP는 텐서플로우 라이트(TensorFlow Lite), ONNX, 파이토치(PyTorch)와 같은 인기 있는 AI 프레임워크도 지원하여 다양한 AI 사용 사례에서 고객의 배포를 가속화하고 통합을 간소화한다. 베리실리콘의 최고전략책임자이자 수석부사장 겸 IP 사업부 총괄 책임자 웨이진 다이(Weijin Dai)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개인용 AI 서버로 진화하고 있다. AIGC와 다중 모달 LLM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AI 컴퓨팅에 대한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모바일 제품의 주요 차별화 요소가 되고 있다”며 “이렇게 큰 AI 컴퓨팅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에너지 소비를 제어하는 것이다. 베리실리콘은 AI폰과 AI PC를 위한 초저에너지 NPU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왔다. 선도적인 SoC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우리 기술이 차세대 AI폰과 AI PC용 실리콘에서 구현되는 것을 보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베리실리콘 소개 베리실리콘(VeriSilicon)은 플랫폼 기반의 종합 원스톱 맞춤형 실리콘 서비스와 인하우스 반도체 IP를 활용한 반도체 IP 라이선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www.verisilicon.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베리실리콘(VeriSilicon)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스노우플레이크, PaaS 사업자로 금융보안원 CSP 안전성 평가 완료

글로벌 AI 데이터 클라우드 기업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는 금융보안원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안전성 평가에서 PaaS(서비스형 플랫폼) 사업자로서 평가 기준을 충족하며 플랫폼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인정받았다. 이에 따라 금융권 중요 업무에 자사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스노우플레이크는 이번 CSP 안전성 평가 기준을 충족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개발, 배포, 운영, 관리를 포함하는 PaaS 사업자로서 플랫폼 전반의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이를 통해 국내 금융 기관들은 신뢰성이 검증된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AWS 및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환경에서 AI와 데이터를 보다 쉽고 빠르게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CSP 안전성 평가는 전자금융거래법 감독 규정에 따라 금융기관이 상업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할 때 거쳐야 하는 필수 절차다. 평가는 데이터 보호, 접근 통제, 사고 대응, 시스템 운영 등 다양한 보안·운영 항목에 대한 검증을 포함한다. 스노우플레이크는 2023년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사업자 평가를 통과해 금융권의 비중요 업무에 활용돼 왔으며, 올해는 PaaS 사업자로 인증을 받음으로써 중요 업무까지 활용 범위를 확대했다. 이를 통해 국내 금융권에서 데이터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했다. 최근 금융 업계에서는 AI를 활용한 고도화된 데이터 분석과 의사결정 자동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거래 데이터, 고객 정보, 리스크 분석 등 방대하고 민감한 데이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업계 특성상 안전하고 데이터 분석이 편리한 AI 플랫폼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스노우플레이크는 국내 금융권에 보다 폭넓은 클라우드 활용 환경을 제공하며, AI 기반의 고도화된 데이터 분석과 업무 혁신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미 유수의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스노우플레이크를 도입해 데이터 분석과 업무 혁신에 활용하고 있다. 이들은 AI 기반 투자 모델, 사기 탐지, 리스크 관리, 고객 맞춤형 서비스 개발 등 데이터를 다양하게 활용하며, 스노우플레이크의 통합된 단일 데이터 플랫폼에서 보안성과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빠르고 안정적인 AI 기반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스노우플레이크 고객들은 2025년 4월 30일 기준, 글로벌 데이터 유통 플랫폼인 자사 마켓플레이스(Snowflake Marketplace)에서 750개 이상의 업체가 제공하는 3000개 이상의 금융 데이터 세트, 서비스, 네이티브 앱에도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다. 결제 처리업체,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업체 등으로 구성된 글로벌 금융 서비스 생태계와도 연결돼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국내에서도 주요 금융 기업들이 스노우플레이크 기반 분석 환경을 바탕으로 대규모 데이터 처리, AI 기반 전략 수립, 금융 특화 인프라 고도화 등을 추진하며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최기영 스노우플레이크 코리아 지사장은 “국내 금융권에서도 AI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운영 환경에 적용하고, 다양한 AI/ML 작업을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 플랫폼과 연동해 방대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높다”며 “스노우플레이크는 단일 데이터 복사본 기반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데이터 이동 없이 워크로드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어, 민감한 정보를 많이 다루는 국내 금융사들도 안전하게 데이터를 활용해 AI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스노우플레이크 홍보대행 KPR 김수빈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아디다스 ‘아디다스 오리지널스 도산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아디다스코리아(대표 피터 곽)는 서울 도산공원 인근에 브랜드의 철학과 미래지향적인 비전을 입체적으로 담아낸 ‘아디다스 오리지널스 도산 플래그십 스토어(adidas Originals Dosan Flagship Store)’를 오는 13일 공식 오픈한다고 밝혔다. 이번 플래그십 오픈은 단순한 리테일 개념을 넘어 MZ세대의 소비와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반영해 새로운 문화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한때 하이엔드 브랜드 중심지였던 도산공원 일대는 현재 MZ세대와 글로벌 트렌드 세터들이 주목하는 패션·예술의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 아디다스는 이번 플래그십을 통해 문화적·스타일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다는 방침이다. 매장은 기존 주거 건축물을 조형적인 리테일 공간으로 탈바꿈한 것이 특징이다. 성스러운 건축물과 미래지향적 구조물을 연상시키는 대담한 실루엣을 바탕으로, 한쪽 벽면을 금속 커튼으로 감싸 강렬한 인상을 준다. 입구에는 거친 자연석 오브제를 배치해 시각적 임팩트를 더했다. 전체 디자인은 절제된 미니멀리즘과 과감한 조형미 사이의 균형을 이루며, 도산 지역의 세련되고 진취적인 분위기와 조화를 이룬다. 스토어 내부는 대형 디지털 스크린과 서스펜디드 레일로 구성된 캠페인 존이 방문객을 맞이하며 시즌별 메시지를 직관적으로 전달한다. 1층 매장 내에는 아디다스의 대표 의류 및 슈즈 컬렉션과 서울과 도산 매장에서만 한정 판매되는 그래픽 티셔츠가 전시돼 있으며, 오픈을 기념해 아티스트 노상호와 협업으로 제작된 아트 리미티드 에디션 제품을 ‘City Shop’ 코너를 통해 선보인다. 2층은 프리미엄 라인을 위한 전용 공간으로, 국내 출시 전 제품을 만나볼 수 있는 Y-3 숍인숍(Shop-in-Shop)을 비롯해 새롭게 선보이는 스테이트먼트(Statement) 및 프리미엄(Premium) 컬렉션 전용 룸이 큐레이션 돼 있다. 천창을 통해 자연광이 가득 들어오는 신발 존으로 이어지는 동선 설계는 고객이 여유롭게 머무르며 브랜드와 깊이 교감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매장 곳곳에는 로컬 아티스트들과의 협업 작품도 전시돼 예술 요소가 결합됐다. 작가 미키킴(Miki Kim)은 동양적 감성과 도시적 무드를 결합한 회화 작품을 선보이며, 아티스트 오재훈은 제품 소재를 재해석한 조형 라운지 체어를 통해 예술과 소비의 경계를 허문다. 아디다스는 오픈 기념으로 슈퍼스타 제품 또는 20만원 이상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도산 한정판 리유저블 백’을 증정하는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해당 리유저블 백은 도산 플래그십에서만 한정 수량으로 제공된다. 아디다스코리아 리테일 부문 본부장 프레스턴 페이지(Preston Page)는 “이번 도산 플래그십 스토어는 브랜드 철학, 로컬 크리에이티비티, 글로벌 트렌드가 교차하는 새로운 플랫폼이며, 익숙하면서도 차별화된 감성을 통해 소비자들과 더욱 깊이 있는 연결을 이어가고자 한다”며 “도산 한가운데에서 서울의 진화하는 패션과 문화 신(Scene)을 함께 만들어갈 수 있어 매우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도산 플래그십의 오픈은 아디다스코리아의 현지화 전략 강화와 소비자 중심의 혁신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지난 4월에는 스트리트 컬처와 오리지널스 브랜드 DNA를 결합한 ‘아디다스 오리지널스 플래그십 성수’를, 지난해에는 한국 전통미에서 영감을 받은 ‘아디다스 북촌 헤리티지 스토어’를 오픈한 바 있다. 언론연락처: 아디다스코리아 홍보대행 커뮤니크 윤서영 대리 02-788-737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가민 스마트워치, 공황장애 예측 및 관리에 효과 입증

스마트 기기를 선도하는 가민(www.garmin.co.kr)이 자사 기기에 탑재된 24/7 건강 모니터링 기능을 약물치료와 함께 병행할 경우 공황장애 환자의 생활 습관 개선 및 발작 위험 감소에 실질적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대만대학 생체의공학 및 바이오정보학과(BEBI) 연구팀과 대만 은추공병원이 공동으로 수행했다. 공황장애 환자 138명을 대상으로 최대 3년 동안 실제 생활 환경에서 가민 스마트워치를 착용하게 하고 심박수, 활동 수준, 수면 등 12가지 생체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집해 진행됐다. 환자들은 매일 스마트워치를 통해 수면 및 운동 데이터를 기록하고, 1~2주 간격으로 정신 건강 상태와 스트레스 수준을 확인하는 설문에 응답했다. 또한 공황발작 발생 시에는 전용 앱을 통해 증상을 입력하고 시스템에 보고함으로써 실시간 상태 추적이 가능하도록 했다. 연구 결과, 건강 추적 장치로 측정된 생리학적 데이터와 평가 척도 및 환경 데이터를 결합할 경우 공황장애의 발생 시점, 특성, 중증도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등 심박수, 신체 활동량, 수면 패턴을 적절히 관리할 경우 공황발작 재발률을 5% 수준까지 낮추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를 이끈 찬헨 차이(Chan-hen Tsai) 은추공병원 정신의학과 박사는 “공황장애는 유전 요인 외에도 환경과 스트레스 등 조절 가능한 외부 요인의 비중이 약 3분의 2에 달한다”며 “다양한 증상으로 많은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고 있다. 정신과 전문의들이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개입 연구를 확대해 나간다면 보다 정밀한 진단과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민 스마트워치는 긴 배터리 수명과 함께 심박수, 혈중 산소, 수면 패턴, 스트레스 지수 등 생체 데이터를 24시간 정밀 측정할 수 있는 24/7 건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가민은 공황장애 환자들이 정신과 전문의 진단 및 약물치료 후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자에게 맞는 생활 패턴과 운동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넬슨 첸(Nelson Chen) 가민코리아 총괄은 “가민은 24/7 건강 모니터링 기능을 기반으로 디지털 헬스케어의 미래를 선도하고, 웨어러블 기술을 의료 및 웰니스 솔루션에 적용해 환자와 기업, 유저의 건강한 삶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가민 헬스는 의료, 연구 및 임상 시험, 스포츠,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면, 회복, 신체 활동, 질병 관리를 포괄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며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민 헬스와 가민 웨어러블 기반 공황장애 장기 추적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가민 헬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연구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생체 지표 조건을 만족할 때 공황발작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졌다. 평균 심박수는 72~87bpm, 안정 시 심박수는 55~60bpm 수준이며, 하루 9층 이상 계단을 오르고, 총수면 시간은 깊은 수면 50분 이상과 깨어 있는 시간 53분 미만을 포함해 6시간 23분에서 10시간 50분 사이인 경우에 해당한다. 언론연락처: 가민(Garmin) 홍보대행 KPR 하지민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우리은행, 간편결제 연계형 계좌 ‘CJ PAY 우리통장’ 선보여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은 지난 10일 CJ올리브네트웍스(대표이사 유인상)와 제휴를 맺고 간편결제 연계형 상품인 ‘CJ PAY 우리통장’을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CJ PAY 우리통장’은 CJ PAY 간편결제 서비스와 연계해 선불 충전금이 자동으로 예치되는 입출금식 통장이다. 고객은 충전금으로 일반 입출금통장처럼 자유롭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으며, CJ ONE 앱을 통해 계좌 거래내역 조회 및 간편결제 기능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상품은 높은 금리 혜택이 주목된다. 우리은행은 ‘CJ PAY 우리통장’을 개설한 고객에게 1년간 200만원 이하 잔액에 대해 최대 연 3.0% 금리를 제공한다. 기본 금리 0.1%에 통장 개설 후 CJ PAY에 연결만 해도 최대 2.9%포인트의 우대금리가 추가로 적용된다. 이외에도 △CJ PAY 간편결제 이용 시 결제 금액의 최대 2%를 CJ ONE 포인트로 적립 △이체 및 인출 수수료 무제한 면제 △선불충전금의 안전한 예치 등 다양한 실용적 혜택도 함께 제공한다. ‘CJ PAY 우리통장’은 CJ ONE 앱에서만 개설 가능하며, 출시를 기념해 통장을 개설하고 CJ PAY에 연결한 고객 전원에게 CJ ONE 2000포인트를 즉시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적립된 포인트는 올리브영, CGV, CU, 메가MGC커피 등 CJ ONE 제휴처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우리은행은 CJ PAY 우리통장은 플랫폼과 금융의 융합을 통해 소비자 중심의 혁신적인 금융 경험 제공하고, 디지털 플랫폼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이 실질적인 금융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생활 밀착형 금융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우리은행 홍보실 김홍중 과장 02-2002-307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LX하우시스 방염 인테리어필름, 친환경성 입증

LX하우시스의 ‘LX Z:IN(LX지인) 방염 인테리어필름’이 환경부의 ‘환경표지인증’을 획득, 화재 안전성에 이어 친환경성까지 확보해 시장 선도 제품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높이게 됐다. 인테리어필름은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제품 뒷면에 점착 처리가 돼 있어 호텔, 병원 등 상업 공간 벽면뿐만 아니라 주방가구와 문 표면 등 주거 공간에도 다양하게 사용되는 표면 마감재다. 방염 인테리어필름은 화재 확산을 막아주는 방염 성능을 확보한 제품이다. 그동안 인테리어필름의 제품 뒷면(점착면) 보호를 위해 사용되던 이형지에는 PE (폴리에틸렌)코팅 소재가 쓰여 왔는데, 한번 사용되면 필름 잔여물과 함께 폐기물로 버려져 왔었다. LX하우시스는 이러한 이형지의 원재료를 PE 대신 점토 소재로 바꿔 버려지던 이형지를 종이로 재활용해 다시 쓸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환경부가 제품 제조과정에서의 유해물질 감소, 자원순환이 가능한 원재료 사용 여부 등을 엄격하게 평가해 부여하는 ‘환경표지인증’을 획득하게 됐다. 또한 LX하우시스의 방염 인테리어필름은 뛰어난 화재 안전 성능을 국내외 공인 기관에서 입증했다. 난연제를 원재료 배합 단계에서 적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필름 자체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LX하우시스만의 방염 기술을 적용, 화재 발생 시 필름 표면에 탄화층이 형성돼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준다. 이러한 기술로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의 방염성능 검사 합격은 물론 유럽연합(EU)의 안전성 검증 규격인 CE인증과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상장비지침(MED) 인증까지 획득, 건축물 뿐만아니라 선박까지 사용할 수 있는 화재 안전 성능을 국내외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한편, LX하우시스는 차별화된 디자인의 방염 인테리어필름 신제품도 대거 출시했다. 나무 무늬의 입체감과 나뭇결 촉감의 프리미엄 우드 계열, 부드러운 무광택 촉감의 단색 계열, 고급스러움이 돋보이는 메탈 계열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103개 컬러의 신제품을 새롭게 선보였다. LX하우시스는 방염 성능을 확보한 인테리어필름 전체 제품군이 이번에 환경표지인증까지 획득하며 LX하우시스 인테리어필름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더욱 높이게 됐다며, 최근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사건 이후 화재 확산을 막아주는 마감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화재 안전성은 물론 친환경성까지 동시에 확보한 제품을 선보이는 만큼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LX하우시스 홍보팀 조지민 책임 02-6930-157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레이저옵텍, 방콕서 ‘아시아 파트너스 미팅’ 개최

피부 미용 및 질환 치료용 레이저 기기 전문기업 레이저옵텍(대표 이창진)은 지난 5일 태국 방콕에서 아시아 지역의 파트너사와 의료진 등을 초청해 ‘아시아 파트너스 미팅(Asia Partners Meeting)’을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레이저옵텍은 방콕에서 열리는 ‘임카스 아시아(IMCAS Asia)’와 연계해 2022년부터 매년 ‘아시아 파트너스 미팅’을 개최하고 있으며, 자체 행사로는 아시아 지역 내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임카스 아시아 개막 하루 전인 5일 방콕 그랜드 센터 포인트 호텔 플런칫에서 개최됐으며,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필리핀, 베트남, 일본 등 다양한 국가의 파트너 및 의료진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치러졌다. 특히 올해는 아시아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헬리오스785(HELIOS 785 PICO)’와 함께 레이저옵텍의 대표 장비인 ‘피콜로프리미엄(PicoLO PREMIUM)’ 그리고 국내에서 먼저 출시돼 선풍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스컬피오(SCULPIO)’ 장비에 대한 강연에 관심이 집중됐다. 레이저옵텍 이창진 대표이사는 초청 연자들의 강연에 앞서 신제품 ‘스컬피오’, 출시 예정인 라만 레이저 ‘바스큐라589(VasCURA 589)’ 및 신제품 개발 현황을 소개하며 회사의 비전과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인도 단라지 차반 박사(Dr. Dhanraj Chavan), 일본 타로 코노 교수(Prof. Taro KONO), 인도네시아 노리타 셈바다 박사(Dr. Norita Sembada)와 찬드라 페르마나 박사(Dr. Chandra Permana) 그리고 마지막으로 매디캐슬의원 장호선 원장 순으로 주요 장비와 임상 경험에 대한 강연이 이어졌으며, 패널 토론으로 행사가 마무리됐다. 행사 종료 후에는 인근 아난타라 시암 방콕 호텔에서 ‘레이저옵텍 나이트’ 갈라 디너가 열려 참석자들 간의 네트워킹과 교류의 장도 마련됐다. 한편 6일부터 8일까지 열린 ‘임카스 아시아’에서는 헬리오스785, 팔라스프리미엄, 피콜로프리미엄 등 레이저옵텍의 주력 장비가 소개됐으며, 일본 도카이대학 타로 코노 교수의 ‘피코 레이저를 이용한 색소 질환 치료 전략(Treatment strategies for Pigmented diseases using Picosecond lasers)’ 강연을 통해 피콜로프리미엄 장비의 우수성과 뛰어난 기술력을 학회 참가자들에게 알렸다. 이창진 대표는 “이번 행사가 아시아 지역 파트너들 간의 상호 교류와 공동 성장을 위한 뜻깊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시아 지역에서는 헬리오스785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았는데, 이번 행사를 통해 신제품 스컬피오와 출시 예정인 바스큐라589에 대한 성공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레이저옵텍 소개 레이저옵텍은 2000년 설립된 레이저 기반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 약 50개국에 자체 브랜드로 제품을 수출해 피부과 등 전 세계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다. 2023년 매출 344억원을 달성하고 지난해 2월 코스닥에 상장했으며, 차별화된 기술력과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해외 영업 강화를 통해 2027년 매출 약 8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레이저옵텍 홍보대행 브랜드셋 심우태 대표 070-8287-102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서울광역청년센터, 면접왕 이형과 52인의 현직자가 전하는 ‘청년정책 팝업스토어’ 진행

서울광역청년센터는 6월 19일부터 21일까지 성수동에서 ‘2025 서울 청년 취업 멘토링 페스타 - 청년정책 팝업스토어’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동 중인 현직자들과 직접 소통하며 직무별 취업 전략과 방향을 탐색할 수 있는 행사다. 이번 행사에는 유튜브 구독자 60만 명을 보유한 ‘면접왕 이형’이 멘토링 연사로 참여, 실전 면접 전략과 인사이트를 전할 예정이다. ‘면접왕 이형’은 취업 정보 콘텐츠로 많은 청년들의 지지를 받는 대표적 크리에이터로, 이번 행사에서 ‘취업준비 꿀팁’을 주제로 멘토링에 나선다. 그 외에도 크리에이터 자취남, 한솔, 밍찌, 앙찡이 멘토로 함께하며, 진로 고민, 긍정 마인드셋, 나만의 성장, 실패 극복과 성장 등에 대해 나누는 경험 기반 멘토링이 진행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청년은 AI, SW, 인사, 기획, 유통, 마케팅, 사회공헌 등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해 신청할 수 있으며, 관련 누리집(https://sype.kr)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서울광역청년센터는 이번 페스타는 정보 제공을 넘어서 정책 팝업 체험과 멘토링을 중심에 둔 실질적 만남이라며, 산업 현장에서 활동하는 선배들과 인플루언서의 만남을 통해 청년들이 스스로의 길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 청년 취업 멘토링 페스타 행사는 총 4개 층으로 구성된다. △1층 ‘청년 성장 스트레칭존’에서는 인기 크리에이터들의 취업·성장 멘토링과 문화프로그램이 진행되고, △2층 ‘스킬강화존’에서는 정책 팝업 체험과 맞춤형 상담, △3층 ‘맞춤형 성장존’에서는 직무별 현직자 멘토링, △4층은 청년을 위한 힐링 라운지로 운영된다. 서울광역청년센터 소개 서울광역청년센터는 청년정책 전달체계의 기능 강화를 위해 ‘서울특별시청년활동지원센터’와 ‘청년허브’가 통합된 기관으로 2024년 새롭게 출범했다. 청년수당, 서울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청년 사회안전망 구축 등 청년의 다양한 욕구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청년센터 15개소의 컨트롤 타워로서 성과관리, 전문인력 양성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서울광역청년센터 정책정보팀 유진호 대리 02-6358-061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에이수스, 게이머를 위한 화려한 하이앤드 키보드 ‘ROG Azoth X’ 출시

에이수스 코리아(오픈플랫폼 비즈니스그룹 지사장 David Fu, 이하 에이수스)는 차세대 ROG NX 기계식 스위치와 5중 댐핑 구조 등 다양한 고급 기능으로 커스텀 키보드의 기준을 한단계 끌어올린 75% 게이밍 키보드 ‘ROG Azoth X’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ROG Azoth X는 ROG 게이머를 위한 기존 ‘ROG Azoth’의 정체성을 이어가면서도 더욱 정교한 입력 감도와 커스터마이징 요소를 강화한 하이엔드 모델이다. 정방향 PCB 레이아웃을 적용하고, 세 면이 반투명한 섀시 디자인에 화려한 블랙, 화이트, 퍼플 컬러 조합의 특수 염료 키캡을 채택해 RGB 조명이 통과하도록 해 개성 넘치는 비주얼을 보여준다. 유연하고 편안한 키 입력을 위한 FR4 포지셔닝 플레이트와 더불어 1개의 실리콘과 4개의 PORON 폼으로 구성된 5중 댐핑 설계로 키 타건 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하울링을 억제해 선명한 키 사운드를 제공한다. 또한 실리콘 손목 받침대를 기본으로 제공해 장시간 작업에 따른 손목의 피로도를 최소화한다. 키 스위치는 이전보다 한단계 개선된 부드러운 입력감과 만족스러운 타건음을 주는 ‘ROG NX Snow V2’와 클리키 타입의 뚜렷한 키 사운드를 제공하는 ‘ROG NX Storm V2’ 스위치 중 선택이 가능하다. 두 스위치 모두 먼지 유입 방지, 흔들림을 개선한 키 안정성, 이물질 축적으로 인한 키 입력의 이질감을 최소화해 사전 윤활된 부드러운 느낌을 유지한다. ROG Azoth X는 쿨한 화이트 컬러 기반의 75% 레이아웃을 가진 키보드로, 주변과 잘 어울리는 외형을 갖고 있다. 우측 상단에 자리잡은 OLED 디스플레이로 컨트롤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화면에 사용자 맞춤 애니메이션 및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3방향 제어 노브를 통한 직관적인 조작으로 밝기, 볼륨, 조명 효과 등을 쉽고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ROG Azoth X는 2.4GHz / USB-C / Bluetooth 연결이 가능한 트라이 모드를 지원하며, ROG SpeedNova 기술을 통한 응답성 향상, 최대 130시간의 배터리 수명으로 장시간 게임 플레이에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기본 1000Hz의 폴링레이트를 지원하며, 별도의 ROG 폴링레이트 부스터 사용시 최대 8000Hz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에이수스는 ROG Azoth X 게이밍 키보드 출시를 기념해 6월 12일부터 일주일간 쿠팡을 통해 예약 판매를 진행하며, 구매자 특전으로 ‘둠: 다크에이지(DOOM: The Dark Ages)’를 한정 증정한다. 제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에이수스 공식 홈페이지 및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에이수스 소개 ASUS (에이수스)는 대만에 본사를 둔 글로벌 IT 기업으로, 1989년 설립됐다. 주로 컴퓨터 하드웨어 및 전자기기를 제조하며,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노트북, 데스크톱, 모니터, 네트워킹 장비,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서버 등을 생산한다. ASUS는 혁신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지속적으로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ASUS는 게이밍 브랜드인 ‘ROG (Republic of Gamers)’를 통해 고성능 게이밍 하드웨어를 제공하며, 전 세계 게이머들 사이에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한다. 품질과 성능을 중시하는 ASUS는 다양한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신뢰받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에이수스 홍보대행 티샷 정지은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5 헤럴드경제 대한민국 미래경영대상’ 국책연구기관 부문 수상

한국지방행정연구원(원장 육동일)이 ‘2025 헤럴드경제 대한민국 미래경영대상’ 국책연구기관 부문 수상기관으로 선정돼 오는 6월 13일(금)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리는 시상식에 참석한다. ‘대한민국 미래경영대상’은 헤럴드경제·코리아헤럴드가 주최하고 월간 파워코리아가 주관하는 행사로, 지속가능한 성장과 미래지향적 경영 역량을 갖춘 기관과 기업을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이번 선정은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지방자치·균형발전 분야 국책연구기관으로서 수행해온 정책연구 성과와 공공적 기여를 높이 평가받은 결과로 의미가 깊다. 연구원은 지방자치 30주년을 맞아 ‘지방자치 30년, 개혁과 성공의 새 길’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간 연계 연구를 강화하고, 지역 현안 대응을 위한 실천적 정책 제안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특히 △자치분권 종합계획 수립과 평가 지원 △지방행정체계 개편 연구 △지방재정 건전성 제고 방안 △지방소멸 대응과 균형발전 전략 개발 등 주요 연구를 통해 정책 현장과 국민 체감도를 높이는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축적해왔다. 육동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은 “이번 수상은 연구원이 지방자치와 지역균형발전 그리고 지역사업의 타당성 분석을 통한 정책적 기여가 대외적으로 주목받는 뜻깊은 기회”라며 “앞으로도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의 변화와 혁신을 뒷받침하는 전략적 정책 연구기관으로서 소임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이번 시상식을 계기로 주민중심·지방주도·현장중시를 선도하는 지역 정책 싱크탱크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실효성 높은 연구 성과 창출에 한층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소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1984년 설립된 정책연구기관으로, 지방자치 관련 국정 과제 개발, 정책, 제도 입안을 주도하며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비전 제시 및 자문, 경영 진단 및 컨설팅 등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연구원은 지방자치를 선도하는 중추적 기관으로서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지방자치행정의 발전에 이바지했으며, 자치 분권과 균형 발전 관련 학문적 기반을 구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문혜리 전문연구원 033-769-993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문화 더보기

신기술 인재 육성에서도 ‘건국대는 발군’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가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산업 맞춤 단기 직무능력 인증과정(매치업)’ 사업의 공간컴퓨팅 분야 운영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 매치업 사업은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신산업·신기술 분야의 직무능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온라인 기반의 교육과정을 개발해 운영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공간컴퓨팅, 지능형 클라우드, 사이버보안 등 3개 분야를 대상으로 운영기관이 선정됐다. 건국대 김경모 교수팀(문화콘텐츠학과, 메타버스융합대학원)은 지난해 ‘3D프린팅’ 분야에 이어 이번 ‘공간컴퓨팅’ 분야에도 연이어 선정되며, 매치업 사업에서 동일 연구책임자가 2개 분야를 운영하는 최초 사례를 기록했다. 또한 건국대학교 차원에서도 2개 분야 동시 선정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교수팀은 이번 사업을 통해 공간컴퓨팅 분야의 기초·심화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며, 산업현장 중심의 실무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교육은 유니티테크놀로지스코리아,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등 대표 기업과의 협업을 기반으로 진행되며, 실제 산업 요구에 맞춘 실용적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사업단장을 맡은 김경모 교수는 “차세대 산업에서 공간컴퓨팅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만큼,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무 중심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겠다”며 “협력 기관들과 긴밀히 협업해 산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매치업 교육과정은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누리집 ‘K-MOOC’ (http://www.kmooc.kr)를 통해 누구나 무료로 수강할 수 있다. 기초 과정 이수 후 선발된 학습자는 심화 과정을 수강할 수 있으며, 교육 이수자는 대표기업과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공동 발급하는 ‘직무능력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다. 언론연락처: 건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본부 최지희 02-450-3131~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온-오프라인 대표 플랫폼, GS25-네이버 ‘지금배달’ 서비스 개시

GS25가 네이버의 신규 퀵커머스 서비스 ‘지금배달’에 입점해 퀵커머스 채널 강화에 나선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는 6월 11일부터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 내 ‘지금배달’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5000여 종의 상품을 빠르게 배송한다. 이번 입점은 퀵커머스 경쟁력 강화와 신규 고객 유입과 매출 상승을 도모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운영 초기에는 전국 1000여 개 GS25 점포에서 서비스가 시작되며, 전 점포로 신속하게 확대해 전국 고객을 만날 예정이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웹 또는 앱에서 ‘지금배달’ 메뉴를 통해 GS25를 선택한 후, 배달 또는 픽업 방식으로 상품을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다. 도시락·음료·스낵 등 식음료부터 생활용품까지 다양한 상품이 제공되며, 기존 GS리테일 퀵커머스 플랫폼 ‘우리동네GS’와 동일한 카테고리 구성으로 운영된다. 서비스 오픈 기념 프로모션도 마련됐다. 6월 11일부터 30일까지 GS25를 통해 2만원 이상 구매 시 △5000원 할인 쿠폰 △배달비 무료 쿠폰이 함께 제공돼 초기 고객 유입을 유도할 계획이다. 네이버 ‘지금배달’은 사용자 반경 1.5km 내에 위치한 매장에서 1시간 이내 배송을 지향하는 퀵커머스 서비스다. 특히 네이버플러스 멤버십과 연계한 포인트 적립 및 할인 혜택은 이용자 충성도를 높이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GS25는 자사 퀵커머스 플랫폼인 ‘우리동네GS’ 앱을 통해 1월부터 5월까지 배달 및 픽업 중심의 퀵커머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69.6% 증가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네이버 ‘지금배달’ 입점을 계기로 채널 다각화 및 디지털 소비자 접점을 확장해, 퀵커머스 시장 내 주도권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전진혁 GS리테일 O4O 부문장은 “이번 네이버 지금배달 입점은 고객이 자주 찾는 GS25 상품을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라며 “앞으로도 GS25는 디지털 커머스 접점을 확장하고 고객 맞춤형 O4O 서비스를 강화해 편의점 퀵커머스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GS리테일 커뮤니케이션팀 박도영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김행선 시인, 네 번째 시집 ‘꿈과 희망, 기지개 켜다’ 출간

김행선 시인이 네 번째 시집 ‘꿈과 희망, 기지개 켜다’(시사문단 그림과책)를 출간했다. 김행선 시인은 1954년 생으로 현재 71세의 원로 여류시인이다. 그는 1977년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한 후, 1986년 고려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그동안 종교, 역사, 문화 정책에 관한 저서 25권을 출간했고, 이번에 발표한 네 번째 시집 ‘꿈과 희망, 기지개를 켜다’는 2025년 제20회 빈여백동인문학상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 시집은 4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총 93편의 시가 수록돼 있다. 시인은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절망과 희망을 주제로 작품을 구성했다. 시인의 말에서는 다음과 같은 자아 성찰이 담겨 있다. 시인이란 어둠 속에서도 빛을 찾고,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길러내는 별이어야 한다. 희망은 미래의 씨앗이다. 사람은 희망하는 것만큼 일어서고, 절망하는 것만큼 무너진다. 이 짧은 시집을 통해 나의 빛이 타인에게로 비쳐 그들의 노래가 되고, 위로가 되며, 희망이 되기를 바란다. 우리는 시를 통해 서로 사랑할 수 있고, 사랑받을 수 있다. 한편 그림과책의 대표인 손근호 평론가는 이번 시집이 김행선 시인의 총 25번째 저서 중 네 번째 시집이라며 아래와 같이 평가했다. 손근호 대표는 “그의 문학은 역사적, 문학적으로 이 정도의 저서 출간량은 매우 드문 사례로, 일반적으로 문인은 평생 한 권의 책을 출간하기도 힘든 상황”이라며 “김행선 시인의 저서 출간량은 그의 창작력과 한국 문학사에서의 독특한 위치를 잘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2025년 제20회 빈여백동인문학상 대상에 선정된 이번 시집은 그의 문학적 여정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행선 시인의 약력 저자 소개 ·1977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불어불문학과 졸업 ·1996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 문학박사 ·월간 ‘시사문단’ 시로 등단(2024) ·제20회 빈여백동인문학상 대상 수상(2025) 저서 ·구약성경, 절망 가운데서도 희망을 노래하다(블루앤노트, 2024) ·예수의 사상과 활동(선인 2024) ·성백광 외 지음 ‘살아 있다는 것이 봄날’(문학세계사 2024) ·어둠은 빛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을 이길 수 없습니다(선인 2022) ·공을 던져 하늘의 빛을 쏘아라(선인 2019) ·하늘을 향한 기도와 감사의 노래(선인 2019) ·김교신과 우치무라 간조의 사상과 재평가(선인 2019) ·한국개신교의 수용과 성장 그리고 비판(선인 2018) ·1970년대 유신체제기 경찰의 조직과 활동(선인 2018) ·1970년대 유신체제기 학교새마을운동의 조직과 활동-대학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선인 2017) ·1980년대 전두환 정권의 수립(선인 2015) ·고난을 딛고 일어나 걸어라(선인 2014) ·유신체제기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권한과 활동(선인 2014)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과 문화통제(선인 2012) ·루소의 생애와 사상(노란숲 2011)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석가모니의 생애와 사상(선인 2010) ·6·25전쟁과 한국사회문화변동(선인 2009) ·역사와 신앙(선인 2008) ·한국근현대사 강의(선인 2007) ·박정희와 유신체제(선인 2006) ·4·19와 민주당(선인 2005) ·해방정국 청년운동사(선인 2004) ·동서양 고전의 이해(이회출판사 1999) 시집 속으로 작품 중 한편 읽기 인생의 끝은 희망의 시작이다 - 김행선 / 꿈과 희망, 기지개를 켜다 중 어둠과 절망 가운데 모두 갇히고 사방이 막힌 그곳으로부터 자유가 시작되고 삶의 수레바퀴가 모두 망가져 버린 상태에서 새로운 인생이 펼쳐진다 죽음 가운데서도 길이 열리고 누구나 꺼리는 오욕의 십자가를 통해 인류의 소망의 길이 열리듯 출구 없는 절망 가운데서도 오직 믿음과 소망으로 끝까지 견디는 자는 구원을 받을 것이다 우리는 빛이니 어둠의 터널을 통과할 것이요 마음만 있으면 방법이 있고, 고난은 은혜의 시간이니 인생의 끝은 희망의 시작이다 사람은 희망하는 것만큼 일어서고, 절망하는 것만큼 무너진다 월간 시사문단사 소개 월간 시사문단사는 한국문단에 문학뉴스를 전하고 있는 종합중앙순수문예지로서 한국문학에 정평있는 잡지사로 현재 10만여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성문인 현재 1800여명이 소속작가로 활동 중이다. 언론연락처: 월간 시사문단 김숙현 편집장 02-720-9875/298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해송해상풍력발전, 해저케이블 운송·설치 분야 우선협상대상자로 LS마린솔루션 선정

글로벌 그린에너지 투자개발사 CIP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의 신안 해상풍력 프로젝트 법인인 해송해상풍력발전이 11일, 해저케이블 시공 전문기업 LS마린솔루션을 해저케이블 운송 및 설치 분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해 협력 기반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따른 우선협상공급합의서(Preferred Supplier Agreement, 이하 PSA) 체결식에는 조나단 스핑크(Jonathan Spink) COP (코펜하겐 오프쇼어 파트너스) 코리아 대표, 권지안 해송해상풍력발전 공급망전략담당 상무, 김병옥 LS마린솔루션 대표, 최인규 LS마린솔루션 영업부문장을 포함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합의에 따라 양사는 해송해상풍력 1·3 프로젝트의 해저케이블 운송 및 설치 부문에서 전략적 협력관계를 수립하고, 향후 설계·조달·시공(EPC) 본계약 체결 전까지 실제 설치 시공 등의 일정 및 기술 요건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상호 이해를 모았다. 해송해상풍력발전은 해상풍력 산업의 국산화 및 공급망 안정화 전략의 일환으로, 운송·설치 분야에 우수한 역량을 갖춘 LS마린솔루션과의 협업을 추진하게 됐다. 이번 협력을 통해 프로젝트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나단 스핑크 COP코리아 대표는 “LS마린솔루션과의 이번 PSA 체결은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뿐만 아니라, 국내 해저케이블 시공 전문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산업 전반의 역량을 함께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해송해상풍력발전은 앞으로도 국내 기업과의 실질적 협업을 확대해 나가며, 지역과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권지안 해송해상풍력발전 공급망전략담당 상무는 “이번 PSA 체결은 기술력과 경험을 겸비한 국내 기업과 함께 안정적인 프로젝트 기반을 다져간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협력을 포함해 해송해상풍력발전은 우수한 기술과 경험을 보유한 국내 공급망과의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해 산업 경쟁력 확보와 더불어 협력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옥 LS마린솔루션 대표는 “해송해상풍력 1·3 프로젝트에 LS마린솔루션이 주요 파트너로 참여하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수십 년간 축적해 온 해저케이블 운송 및 설치 기술력 등 당사의 차별화된 역량을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송해상풍력발전은 전남 신안에서 각 500M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2개의 발전사업허가를 획득하고 환경영향평가 최종 승인을 앞두고 있다. 해송해상풍력 1·3 프로젝트는 CIP가 투자 및 프로젝트 전반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CIP 산하의 해상풍력 개발사인 COP가 시행, 인허가, 기술개발 등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CIP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 커뮤니케이션 & PR 유지수 부장 CIP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 홍보대행 피알게이트 신다정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GCT Semiconductor Celebrates Major Milestone with Delivery of 5G Chipsets and Modules to Customers

GCT Semiconductor Holding Inc.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3A%2F%2Fwww.gctsemi.com&esheet=54272351&newsitemid=20250611726053&lan=en-US&anchor=GCT+Semiconductor+Holding+Inc&index=1&md5=69df37564f637cb5b8a94a4bb1c4e3b1) (“GCT”) (NYSE: GCTS), a leading designer and supplier of advanced 5G and 4G semiconductor solutions, today announced the initial delivery of its new 5G chipsets to its customers, including Airspan Networks and Orbic North America, LLC, among others, for their immediate evaluation. GCT will continue to provide samples in the next several weeks to complete the initial demand from its lead customers. These samples are being provided in both chip and module forms, depending on customer needs. “We are thrilled to achieve this major milestone and now have our 5G chips in the hands of our customers,” said John Schlaefer, CEO of GCT. “Our chips are currently being evaluated and we’re eager to receive positive feedback from our customers. Our first priority is to focus on mid-tier applications and immediate demand for the growing 5G market. This will include the development of a Verizon-certified module. We’re also excited to expand sampling to all our customers in the near future.” After the evaluation process is complete, GCT will work with customers to optimize their device performance, and to determine production demands. GCT is fully prepared to meet these demands, supported by a robust supply chain built on years of proven experience delivering high-performance solutions efficiently and reliably. About GCT Semiconductor Holding, Inc. GCT is a leading fabless designer and supplier of advanced 5G and 4G LTE semiconductor solutions. GCT’s market-proven solutions have enabled fast and reliable 4G LTE connectivity to numerous commercial devices such as CPEs, mobile hotspots, routers, M2M applications and smartphones, etc., for the world’s top wireless carriers. GCT’s system-on-chip solutions integrate radio frequency, baseband modem 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functions, therefore offering complete 4G and 5G platform solutions with small form factors, low power consumption, high performance, high reliability, and cost-effectiveness. For more information, visit www.gctsemi.com. Cautionary Statement Regarding Forward-Looking Statements - This press release contains certain forward-looking statements within the meaning of the “safe harbor” provisions of the Private Securities Litigation Reform Act of 1955. These forward-looking statements include, without limitation, statements regarding delivery of 5G chipset and completion of customer evaluation processes. Words such as “believe,” “project,” “expect,” “anticipate,” “estimate,” “intend,” “strategy,” “future,” “opportunity,” “plan,” “may,” “should,” “will,” “would,” “will be,” “will continue,” “will likely result,” and similar expressions are intended to identify such forward-looking statements. Forward-looking statements are predictions, projections and other statements about future events that are based on current expectations and assumptions and, as a result, are subject to significant risks and uncertainties that could cause the actual results to differ materially from the expected results. Most of these factors are outside the Company’s control and are difficult to predict. Factors that may cause actual future events to differ materially from the expected resul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ability of the Company to develop its 5G products and generate revenue; the ability of the Company to enter into and meet the obligations under partnership and collaboration agreements; the ability of the Company to grow and manage growth profitability and retain its key employees; the Company’s financial and business performance, including the Company’s financial projections and business metrics; changes in the Company’s strategy, future operations, financial position, estimated revenues and losses, forecasts, projected costs, prospects and plans; the Company’s inability to anticipate the future market demands and future needs of its customers; the impact of component shortages, suppliers’ lack of production capacity, natural disasters or pandemics on the Company’s sourcing operations and supply chain; the Company’s future capital requirements and sources and uses of cash; the ability of the Company to raise sufficient capital to fund its operations; the ability to implement business plans, forecasts, and other expectations, including the growth of the 5G market; the risk that the Company may not be able to repay its debt; the risk of economic downturns that affects the Company‘s business oper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isk that the Company may not be able to develop and design its products acceptable to its customers; actual or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of the Company’s management with its public stockholders; and other risks and uncertainties indicated from time to time in the Company’s filings with SEC, including the Annual Report on Form 10-K for the fiscal year ended December 31, 2024 and those disclosures under the “Risk Factors” section therein. The foregoing list of factors is not exhaustive. Forward-looking statements speak only as of the date they are made. Readers are cautioned not to put undue reliance on forward-looking statements, and the Company assumes no obligation and does not intend to update or revise these forward-looking statements, whether as a result of new information, future events, or otherwise.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611726053/en/ 언론연락처: GCT Semiconductor Holding, Inc. Investor relations contact Gateway Group Ralf Esper Media contact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LS일렉트릭, 파워일렉트로닉스와 글로벌 신재생 사업 협력 강화

LS ELECTRIC(일렉트릭)이 글로벌 톱티어 신재생에너지 솔루션 기업과 함께 북미 전력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LS일렉트릭은 최근 ‘파워일렉트로닉스’(Power Electronics)와 스페인 발렌시아에 위치한 파워일렉트로닉스 본사에서 ‘글로벌 ESS(에너지저장장치) 전용 변압기 등 전력기기 공급 사업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과 김종우 LS일렉트릭 사장, 데이비드 살보(David Salvo) 파워일렉트로닉스 CEO, 랄로 살보(Lalo Salvo) 파워일렉트로닉스 부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전력 산업 트렌드 변화와 신재생 에너지 시장 확대에 따른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파워일렉트로닉스는 스페인 발렌시아에 본사를 둔 전력변환장치(PCS) 전문기업으로 1987년 설립됐다. 대용량 태양광 인버터 및 PCS, 급속 전기차 충전기 등이 주요 제품이다. 북미, 유럽, 호주 등 지역에서 신재생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약 2800개의 태양광 프로젝트, 315개의 ESS 프로젝트를 수행해 PCS 누적 설치 120GW를 넘어섰다. 특히 북미 시장 점유율은 60% 수준이다. LS일렉트릭은 북미, 아시아 등 지역에서 추진하는 ESS 사업에 파워일렉트로닉스의 대용량 PCS(에너지 변환장치)를 우선 적용해 프로젝트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파워일렉트로닉스는 향후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글로벌 최고 수준의 LS일렉트릭 배전용 변압기 등 전력 솔루션 적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LS일렉트릭은 이번 협약을 통해 프로젝트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것은 물론, 대용량 전력변환장치(PCS)맞춤형 배전 변압기 등 전력기기 공동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LS일렉트릭은 에너지 전환으로 대표되는 전력시장 트렌드 변곡점에서 글로벌 톱 플레이어와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사업 경쟁력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킬 것으로 기대된다며, 북미, 유럽 등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가파르게 확대되고 있는 시장을 중심으로 적극적 사업 개발 등을 추진해 가시적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LS일렉트릭 홍보실 권도엽 차장 02-2034-416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AI 기반 Web3.0 콘텐츠 공동제작 프로젝트 본격화… DMC LAB·A-NEXUS 전략적 제휴 체결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음악 플랫폼을 개발 중인 DMC LAB PTE. LTD (싱가포르 법인)와 아시아의 재능을 글로벌 시장과 연결하는 전략적 게이트웨이 A-NEXUS (미국 법인)가 AI 기반 Web3.0 콘텐츠 공동제작 플랫폼 구축을 위한 포괄적 사업 제휴를 체결하고,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돌입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제휴를 통해 양사는 DJ, 가수, 크리에이터들이 AI를 활용해 음악 및 콘텐츠를 공동 제작하고, 해당 콘텐츠의 관리·유통·판매까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처리하는 새로운 창작 플랫폼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 플랫폼에서는 누구나 음악 제작에 참여할 수 있으며, DJ가 편곡하고, 가수가 노래를 녹음하며, 영상 크리에이터가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 등 다방면의 협업이 가능하다. 또한 향후에는 AI 기반 아바타를 생성해 메타버스 클럽에서 공연을 펼치고, 전 세계 관객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음악 발표 기회가 부족했던 창작자나 장애인들에게도 새로운 무대를 제공하며, 음악을 ‘듣는 즐거움’에서 ‘만드는 즐거움’으로 확장해 음악 산업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DMC LAB이 보유한 블록체인 기술 및 Web3.0 비즈니스 운영 역량과 A-NEXUS의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 및 아시아-미국 간 전략적 브랜딩 노하우가 결합된 모델이다. 현재 AI 음악 툴 대부분이 콘텐츠 제작에 그치고 있는 상황에서 양사는 콘텐츠의 제작부터 편집, 유통, 수익화까지 가능한 통합 플랫폼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공하며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들이 공동 개발 중인 AI 음악 제작 엔진 ‘DAIM (DMC AI MUSIC)’은 자연어 입력만으로 음악을 이미지화해 자동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며, 영상과 아바타 자동 생성 기능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동시에 아티스트 지원 플랫폼 ‘D-NEXUS’를 통해 프로·아마추어를 불문하고 글로벌 데뷔를 목표로 하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Web3.0 기반의 등용문도 제공한다. 특히 D-NEXUS는 자체 발행 토큰인 ‘DMCCOIN’을 활용한 ‘토큰 커밋먼트(Token Commitment)’ 방식을 통해 팬들이 직접 아티스트의 데뷔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투자자에게도 일정 수익이 환원되는 스테이킹 구조로 작동해 Web3 시대에 적합한 창작자-팬 간 상생 생태계를 구축하게 된다. 해당 프로젝트는 오는 2025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우선 파트너 아티스트들을 중심으로 DAIM의 클로즈드 버전 운영이 시작되며, 9월에는 D-NEXUS 플랫폼이 일반 공개돼 공동 제작자를 모집하게 된다. 이후 10월에는 제1차 오디션 이벤트가 열리고, 11월에는 이를 바탕으로 첫 메이저 데뷔 프로젝트가 준비된다. 12월에는 DAIM 엔진의 정식 오픈이 예정돼 있다. 한편 DMC LAB PTE. LTD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팬과 아티스트를 직접 연결하는 분산형 음악 생태계를 구축해오고 있으며, 생태계 내 핵심 통화인 DMCCOIN의 발행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플랫폼 개발 외에도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와 협업 중이다.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를 거점으로 하는 A-NEXUS는 일본 및 아시아 지역의 연예인, 스포츠 스타, 아티스트, 크리에이터들이 미국 및 전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전략적 브랜딩, 미디어 연계, IP 비즈니스 지원 등 다양한 글로벌 진출 솔루션을 제공해오고 있다. AKB48 해외 자매 그룹 총괄 프로듀서인 테라다 나루노리 대표이사와 2023년 빌보드가 선정한 최고 음악 전문 변호사이자 전 Gala Music 글로벌 책임자인 브랜든 테이텀 CSO가 이끌고 있다. DMC LAB 소개 DMC (Decentralized Music Chain)는 AI 기반 음악 제작 도구인 DAIM을 통해 누구나 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창작된 음악은 MyTube 등의 채널에 업로드돼 유통되며, 팬들과 아티스트는 BUZZ를 통해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DMCC 토큰을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대형 엔터테인먼트 기업과 협력해 메타버스 콘서트, 팬미팅 등 다양한 Web3 기반 음악 경험을 제공한다. 언론연락처: DMC LAB Chris Lee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또 사회복지직 공무원 폭행, 정부 대책 시급하다…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 성명 발표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회장 이용규, 이하 한사연)는 최근 발생한 사회복지공무원 폭행 사건과 관련해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하는 성명서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성명서는 경남에서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해 헌신하던 사회복지공무원이 민원 과정 중 폭행을 당해 전치 6주의 중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한 것에 대한 심각한 우려에서 비롯됐다. 한사연은 해당 사건이 단순한 우발적 사고가 아닌 구조적 문제의 단적인 예라고 강조하며 사회복지공무원들이 폭력의 위협에 일상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현재 사회복지 현장은 다음과 같은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첫째, 만성적인 인력 부족으로 인해 정부가 제시한 ‘2인 1조 방문’ 원칙은 현실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둘째, 지속적인 업무 과중으로 인해 공무원들은 단독으로 개별 가정을 방문하는 것이 일상화돼 있다. 셋째, 폭력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아 신속한 보호 조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넷째, 공무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보호 장치가 부족해 그 책임이 개인에게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사연은 이와 같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사회복지공무원들이 국민을 위한 봉사를 이어가고 있으나 정부는 근본적인 인력 확충이나 안전 대책 없이 ‘가정방문은 2인1조’ 지침만을 반복하고 있어 실효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한사연은 정부에 다음과 같은 조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한사연의 주요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 폭행 사건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고, 특별 수사체계를 구축해 엄정히 대응해야 한다. 아울러, 가해자에 대한 가중처벌이 가능하도록 관련 법적 근거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공무원 인력 확충을 위한 특별한 계획을 수립하고, 종합적인 안전보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장에 필요한 안전 장비를 지급하고 비상연락망을 마련하며,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셋째, 공공기관을 이용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전방위적인 예방 교육을 포함한 시민 인식 개선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의무화해야 한다. 넷째, 폭력 피해를 입은 공무원에 대해서는 치료비 전액 지원, 심리 상담 제공, 업무 배제 전환 등의 실질적인 피해 회복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 한사연은 정부가 더 이상 말이 아닌 행동으로, 미봉책이 아닌 근본적 해결책으로 공무원 보호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며, 정부의 조속한 안전 대책 발표와 성실한 이행 여부를 지속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 소개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는 대한민국 사회복지 발전을 위해 공공사회복지행정연구와 사회복지정보 교류를 통한 지식 공유, 사회복지전문가로서의 자질 향상을 꾀하고 사회복지 전달체계 구축을 통한 개혁자로서의 사명을 다하고, 국민의 참 복지를 실현하고자 설립됐다. 본 회의 지부로는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도·자치시 및 각 도에 지방사회복지행정연구회를 두고 있으며, 지방사회복지행정연구회는 시군구 단위의 지회를 두고 있다. 언론연락처: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 이용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라이온코리아-굿윌스토어 6년째 동행… 1억2000만원 상당 물품 기부

건강한 생활 습관을 만드는 기업 라이온코리아가 밀알복지재단 산하 발달장애인 직업재활시설 굿윌스토어에 총 1억2000만원 상당의 물품을 기부하며 장애인 자립 지원에 힘을 보탰다고 밝혔다. 라이온코리아는 최근 굿윌스토어 매장 4곳(주안점, 안산상록점, 대구수성점, 대구엑스코점)의 신규 개소를 응원하고 안정적인 운영에 도움이 되고자 대규모 기부를 결정했다. 기부품은 자사 생활용품인 ‘에이플러스 랩 블랙빈 탈모 샴푸·트리트먼트’로, 신규 매장을 포함한 전국의 굿윌스토어 7개 매장에 진열된다. 판매 수익금은 이곳에서 근무 중인 장애인 근로자들의 급여와 고용 확대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라이온코리아는 굿윌스토어 신규 매장들의 의미 있는 출발에 함께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이번 나눔이 장애인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고 경제적 자립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굿윌스토어는 발달장애인들이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자립을 지원하는 직업재활시설이다. 현재 전국에 40개의 매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총 470여 명의 장애인 일자리를 창출했다. 라이온코리아는 2020년부터 밀알복지재단 굿윌스토어와 협력하며 따뜻한 나눔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다. 지난해 개소한 밀알석남점에 3000만원 상당의 생활용품을 기부한데 이어 올해는 굿윌스토어 전국체전에 자사 제품을 후원하며 장애인 고용 확대와 자립을 응원했다. 라이온코리아 소개 라이온코리아는 건강한 생활 습관 만들기로 사람들의 일상에 기여하는 라이프&헬스케어 전문 기업으로, 130여 년 역사의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일본 라이온의 한국 법인이다. 라이온코리아는 변화하는 트렌드와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고자 가산디지털단지 내 연구소와 인천에 자체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아이! 깨끗해 △비트 △참그린 △시스테마 등 주력 브랜드 상품 대부분을 직접 생산하고 있다. 또 △휴족시간 △아이미루 △페어아크네 등 일부 제품군은 일본 라이온에서 완제품을 수입해 합리적 가격대에 제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라이온코리아 홍보대행 커뮤니크 김현정 대리 02-788-733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올해의 과학도서 저자강연 4회차’ 개최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소장 사사키 미사오, APCTP)는 ‘APCTP 올해의 과학도서 저자 강연’의 네 번째 강연을 개최한다. 이번 강연은 ‘수학이 생명의 언어라면’의 저자 김재경 교수(KAIST 교수, IBS 선임연구원)를 초청해 6월 19일(목) 오후 6시 30분 김천녹색미래과학관 세미나실*에서 열린다. * 경북 김천시 혁실6로 31 김천녹색미래과학관 세미나실 ‘APCTP 올해의 과학도서 저자 강연’은 APCTP에서 선정한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주제로 도서의 저자, 역자 또는 관련 전문가를 초청해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는 지역민 대상 저자강연 프로그램이다. * ‘APCTP 올해의 과학도서’ 선정작: △폭염 살인(제프 구델) △1초의 탄생(체드 오젤) △세 개의 쿼크(김현철) △물질의 세계(에드 콘웨이) △한글과 타자기(김태호) △수학이 생명의 언어라면(김재경) △뉴럴 링크(임창환) △찬란한 멸종(이정모) △한국인의 기원(박정재) △당신은 화성으로 떠날 수 없다(아마데오 발비) 김 교수는 이번 강연에서 수학이 어떻게 생명현상을 설명하는 언어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쉽고 흥미롭게 풀어내고, 수학이라는 도구를 통해 생명의 본질에 다가가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예정이다. 강연 후에는 저자와의 질의응답 세션을 통해 궁금증을 해소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으며, 도서 증정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강연 상세 일정 및 장소 등의 내용은 APCTP 과학웹진 ‘크로스로드’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참가 신청은 선착순으로 마감되며, 관련 문의는 APCTP로 하면 된다. ※ 크로스로드 웹사이트 : https://crossroads.apctp.org ※ 참가 신청 링크 : https://forms.gle/gvX8HKRB24t7b57DA APCTP 사사키 소장은 “물리, 생물, 수학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듯 하지만 결국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수학이라는 학문을 통해 생명현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다양한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대중과 소통하는 매개체 역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APCTP는 경상북도와 과학문화확산 협력체계구축사업을 수행하며, 지역 과학관을 포함한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해 문화적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정부의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 지원을 받아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 중이며, 보다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그 성과를 사회에 환원함으로써 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소개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는 국내 최초이자 한국의 유일한 국제이론물리연구소로, 1996년 설립 이후 이론물리학 및 학제 간 첨단 연구, 젊은 과학자 연수, 대중과 커뮤니케이션 활동 등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19개 회원국을 비롯한 그 외 지역 이론물리학자들과 국제 협력 증진을 통해 아태 지역 과학자들의 연구 경쟁력 향상 및 세계적 수준의 차세대 과학 리더 양성에 힘쓰고 있다. 현재 회원국은 한국, 호주,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라오스, 몽골,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캐나다, 키르기스스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19개국이다. 언론연락처: 아태이론물리센터 김지훈 담당 054-279-1288 강연 문의 054-279-129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대한민국 No.1 수학 학습만화 ‘수학도둑’이 ‘S수학도둑’으로 돌아왔다

넥슨의 인기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IP (지식재산권)를 기반으로 한 어린이 수학학습만화 ‘S수학도둑’이 6월 12일 출간된다. 지난해 5월 대한민국 No.1 수학 학습만화 ‘수학도둑’ 시리즈 100권 완간 후 현재 누적 부수 870만 부를 돌파한 경이로운 기록과 함께 새로운 전설이 될 슈퍼 수학만화 탄생이 임박한 것이다. ‘S수학도둑 1권 미스터리한 소년의 등장’은 지난해 ‘수학도둑’ 100권 완간 안내 기사 속에 예고돼 ‘수도키즈(수학도둑을 좋아하는 어린이)’들과 학부모의 큰 기대를 받아왔으며, 기대에 부응하고자 출판사와 작가진이 강력함과 특별함으로 무장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다했다. 작가진을 살펴보면 학습만화 대가인 동암 송도수 작가가 글을 쓰고 서정은 작가가 그린 만화에 여운방 수학 박사의 수학 콘텐츠를 담고 있으며, 현직 초등학교 선생님들의 참여가 강화됐다. 강력함과 특별함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먼저 ‘수학의 개념부터 응용까지! 창의융합 학습만화’라는 표어에 걸맞게 초능력을 보유한 만화 주인공들이 펼치는 수학 모험 스토리에 과학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수학과 과학을 융합했다. 수학 콘텐츠는 수학의 기본 개념부터 응용 능력까지 키울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했으며, 수학 용어를 국어, 한자어, 영어로 설명하는 것을 강화해 용어의 유래나 개념을 명확하게 익히고 수학 문해력을 높여 서술형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힘도 키울 수 있게 했다. 특장점 중의 하나인 ‘워크북’ 지면이 두 배 증면되고 컬러로 변신한 점이 돋보인다. 또한 빈칸 채우기, 짝 연결하기, OX 문제, 창의 퀴즈 등 문제의 유형과 난도가 다양해져 기초 단계의 어린이부터 초등 고학년 학생들 모두가 도전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워크북 문제를 풀며 실력을 점검하고 어려운 문제는 정답과 해설을 통해 해결하면서 수학 우등생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현직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어린이의 과학, 수학 궁금증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해 뉴스 형태로 소개하는 코너도 신설했다.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쉽고 재밌는 설명과 용어 풀이로 과학 수학 상식을 쌓고, 생각이 자라나는 미니 토론으로 창의력도 키울 수 있도록 구성했다. ‘S수학도둑’의 ‘S’는 SUPER, SMART, SPECIAL, SCIENTIFIC, SURPRISING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앞글자를 따서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수학 콘텐츠와 워크북을 집필한 여운방 박사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응용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 대학원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교육부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KMEC) 소장, 한국과학기술원(KAIST)·세종대학교 겸임교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교과서연구재단 이사, 시스템수학연구회 회장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경제와 교육 발전에 이바지했다. 여운방 박사는 “수학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답을 찾는 것보다 그 과정을 즐기는 마음”이라고 거듭 강조하고 “사랑하는 대한민국 어린이를 위해 사명을 다해 ‘S수학도둑’의 수학 콘텐츠를 준비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S수학도둑’ 1권 초판 독자에 한해 특별 선물 ‘수학 초능력증’을 증정하며, 5월 22일부터 온라인 서점 3사(예스24, 교보문고, 알라딘) 및 서울문화사 공식 쇼핑물 스마일24에서 예약 구매가 진행 중이다. 출간 문의가 쇄도하고 있는 ‘S수학도둑’은 6월 12일 정식 출간 이후 전국 온오프라인 서점, 대형 마트, 쿠팡 등 보다 많은 판매처에서 만나볼 수 있다. 서울문화사 소개 서울문화사는 누적 판매 1850만 부를 돌파한 ‘코믹 메이플스토리(100권 완간)’를 비롯해 국내 NO.1 수학 학습만화 ‘수학도둑’, ‘쿠키런 시리즈’, ‘신비아파트 시리즈’ 등 유익하고 재밌는 학습만화를 출간하며 아동 학습만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2004년 ‘코믹 메이플스토리’ 출간을 계기로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아동 학습만화를 출간, 새로운 캐릭터 아동 학습만화 장르를 구축했으며 지속적인 글로벌 캐릭터 라이선스 출판 사업 진행으로 국내 아동 부문 베스트셀러 최다 보유 출판사로서 다양한 장르의 유아, 아동 도서 시장을 성장시키고 있다. 언론연락처: 서울문화사 브랜드마케팅 김지선 과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Illicit Cigarettes in European Union at Highest Level Since 2015, KPMG Study Shows

Philip Morris International Inc. (NYSE: PM) today issues an urgent call for effective policymaking to counter the growing threat of illicit trade in the EU. In 2024, 38.9 billion illicit cigarettes were consumed in the region—the highest level since 2015—accounting for 9.2% of total cigarette consumption, with governments losing as much as €14.9 billion in tax revenues at a time when many countries face intense economic pressures. PMI believes that exacerbating the issue are steep and abrupt tax increases, benefitting criminals who supply unregulated, untaxed and inferior products, including counterfeits, at a lower price. To combat this growing threat, PMI urges the adoption of evidence-based regulation with balanced and predictable taxation through tax calendars, continued public-private collaboration and enhanced support of regional and national law enforcement agencies, as criminal organizations dealing in illicit cigarettes have cemented their presence in higher-priced Western European countries. According to the 2024 KPMG study (https://www.pmi.com/illicit-trade-prevention/kpmg-report-2024), commissioned by Philip Morris Products SA, a large number of counterfeit cigarettes were consumed in the EU in 2024: 15.3 billion, a 20.2% increase vs. 2023. Additionally, so-called “illicit whites”—legally manufactured cigarettes smuggled across borders to countries where they have limited or no distribution—reached 8.2 billion. “The illicit tobacco trade threatens the European economy, public health, security and social stability; today, higher-taxed and higher-priced markets such as France and the Netherlands are especially impacted by illegally imported and counterfeit goods,” said Christos Harpantidis, PMI’s Senior Vice President, External Affairs. “Its massive socioeconomic impact negatively affects tax collection, job creation, and legitimate businesses, the engine of our European economies. The availability of cheap, unregulated cigarettes in the underground economy also impairs efforts to reduce smoking rates and achieve a smoke-free future.” The 2024 KPMG report indicates the increase in illicit cigarette consumption was primarily driven by France and the Netherlands. The study points to an especially alarming situation in France, where 18.7 billion illicit cigarettes were consumed in 2024, almost 7.8 billion of which were counterfeits. In the Netherlands, illicit cigarette volumes increased drastically, by 1.1 billion—more than doubled in a year—reaching 17.9% of total consumption. Had these cigarettes been legally purchased, an additional €9.4 billion would have been raised in taxes in France and almost €900 million in the Netherlands. In contrast, countries such as Bulgaria, Greece, Italy and Portugal—and Ukraine, outside the EU—have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curbing the illicit tobacco market. Greece, for instance, had a 6.2 ppt drop in illicit cigarette consumption in 2024, to 17.5%—the largest decrease the country has seen in a decade. “Predictable tax regimes and robust support for local law enforcement actions have proven an effective policy recipe: We now know how to effectively counter the criminal entities that engage in the illicit manufacturing, distribution, and sale of consumer products.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should emulate that approach to get control over this dangerous trend,” said Massimo Andolina, PMI’s President, Europe Region. “This is the way forward if we are serious about defeating the illicit tobacco trade in our continent, which harms Europe’s economies, undermines European competitiveness and growth, and opens the door to other criminal activities. Citizens cannot afford to be deprived of much-needed state revenues in this critical moment for Europe, which are being lost rather than applied to key issues such as defense, internal security, and social programs.” Illicit trade affects the whole of Europe Across the 38 European countries included in KPMG’s study (the 27 EU member states, as well as Albania, Bosnia and Herzegovina, Kosovo, Moldova, Montenegro, North Macedonia, Norway, Serbia, Switzerland, Ukraine, and the United Kingdom), 52.2 billion illicit cigarettes were consumed in 2024, accounting for 10.0% of total consumption. Tax revenue losses amounted to an estimated €19.4 billion. Illicit cigarette volumes in the U.K. decreased by almost 0.8 billion in 2024, though illicit cigarettes as a share of total consumption remained stable. The U.K. is still the third-largest illicit market in Europe, with 5.9 billion illicit cigarettes consumed last year. Ukraine, in contrast, saw the largest decline in illicit consumption, with contraband and counterfeit volumes decreasing by 2.4 billion or 29% (vs. a 1.1 billion or 14% increase in 2023). This is the 19th consecutive year that KPMG has measured and reported on illicit cigarette consumption across Europe. Heated tobacco products For the first time, the KPMG study included in its scope the illicit consumption of heated tobacco products in selected European countries: the Czech Republic, Germany, Greece, Hungary, Italy, Lithuania, Poland, Romania, Spain, and the United Kingdom. The study reveals that contraband consumption stood at 0.4 billion sticks (the consumables used in heated tobacco devices) in 2024, representing 0.9% of total consumption. The highest contraband volumes were found in Germany (0.15 billion sticks) and Poland (0.08 billion), with the U.K. having the highest share (7.8%). To date, no counterfeit flows have been identified. “Policymakers must recognize that repeating the policy mistakes that drive the illicit cigarette market when regulating smoke-free products—excessive and market-distorting taxation, extreme control measures such as bans, and inadequate law enforcement against illicit activities across the value chain—may and will lead to the same disaster we see today in the cigarette sector in countries adopting such policies, and that we are starting to see in countries banning the legal sale of smoke-free products,” said Andolina. Illicit trade does not just affect the people who consume these products. It fuels ruthless criminal gangs, typically impacting the most vulnerable communities and populations. It deprives governments of critical revenues needed to fund public services, including security, defense and social services. And its proceeds facilitate other serious crimes such as human trafficking, corruption, and money laundering. For PMI, eliminating the illicit tobacco and nicotine trade has been a long-standing priority. The company implements preventive and protective measures and works wi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advance efforts to address this global issue. As PMI progresses on its commitment to deliver a smoke-free future—a future without cigarettes, by far the most harmful way to consume nicotine—it is increasing efforts to secure its supply chain and the products it sells and to protect consumers and its brands from smugglers and counterfeiters. PMI works closely with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other organizations worldwide to root out and shut down illegal activities, including counterfeiting and smuggling. A detailed overview of the results, country profiles and methodology of the KPMG study is available here (https://www.pmi.com/illicit-trade-prevention/kpmg-report-2024). For more information about PMI’s illicit trade prevention efforts, visit PMI.com. Note to editors Definitions of illicit cigarette categories, as detailed in the KPMG report: · Counterfeit: “Cigarettes that are illegally manufactured and sold by a party other than the original trademark owner.” · Illicit whites: “Cigarettes that are usually manufactured legally in one country/market but which the evidence suggests have been smuggled across-borders during their transit to the destination market under review where they have limited or no legal distribution and are sold without payment of tax.” · C&C: “Counterfeit and contraband, including illicit whites. Contraband refers to genuine products that have been either bought in a lower-tax country and which exceed legal border limits or acquired without taxes for export purposes to be illegally re-sold (for financial profit) in a higher priced market.” · Other C&C: “Other C&C comprises contraband which does not fall within the Illicit Whites definition. It is often Duty Paid product from both EU27 and non-EU27 countries. There may also be counterfeit of brands that are not trademark-owned by participant manufacturers.” Philip Morris International: A Global Smoke-Free Champion Philip Morris International is a leading international consumer goods company, actively delivering a smoke-free future and evolving its portfolio for the long term to include products outside of the tobacco and nicotine sector. The company’s current product portfolio primarily consists of cigarettes and smoke-free products, including heat-not-burn, nicotine pouch, and e-vapor products. As of December 31, 2024, PMI's smoke-free products were available for sale in 95 markets, and PMI estimates they were used by 38.6 million adults around the world. The smoke-free business accounted for 42% of PMI’s first-quarter 2025 total net revenues. Since 2008, PMI has invested over $14 billion to develop, scientifically substantiate, and commercialize innovative smoke-free products for adults who would otherwise continue to smoke, with the goal of completely ending the sale of cigarettes. This includes the building of world-class scientific assessment capabilities, notably in the areas of pre-clinical systems toxicology, clinical and behavioral research, as well as post-market studies. Following a robust science-based review,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as authorized the marketing of Swedish Match’s General snus and ZYN nicotine pouches and versions of PMI’s IQOS devices and consumables - the first-ever such authorizations in their respective categories. Versions of IQOS devices and consumables and General snus also obtained the first-ever Modified Risk Tobacco Product authorizations from the FDA. With a strong foundation and significant expertise in life sciences, PMI has a long-term ambition to expand into wellness and healthcare areas and aims to enhance life through the delivery of seamless health experiences. References to “PMI”, “we”, “our”, and “us” mean Philip Morris International Inc., and its subsidiari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www.pmi.com and www.pmiscience.com.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611507314/en/ 언론연락처: Philip Morris International David Fraser +41 (0)58 242 450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비즈플레이, 서울평가정보와 마케팅 협업 위한 MOU 체결

Expense 비용관리 Total 솔루션 기업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가 서울평가정보(대표 고인묵)와 마케팅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협약식은 지난 11일 서울 영등포구 서울평가정보 본사 대회의실에서 열렸으며, 비즈플레이 이용희 전무와 서울평가정보 정훈 부사장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보유 광고 매체 교차 활용 △양사 고객 대상 콘텐츠 배포 △향후 공동 웨비나 및 캠페인 등 심화 협업 추진 등 세 가지 주요 사항에 대해 전략적 마케팅 협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초기 협업 단계에서는 각사 홈페이지 배너 광고 영역을 상호 교차적으로 활용해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향후에는 콘텐츠 마케팅과 웨비나 등 공동 캠페인 활동으로 협업 범위를 넓혀 나갈 계획이다. 비즈플레이는 기업 비용관리 솔루션 분야 1위를 기록하고 있는 기업으로, 최근에는 국내 유일 올인원 출장 솔루션인 ‘bzp출장관리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다. 대한민국 75만 공무원을 위한 출장 예약 및 정산 관리 플랫폼을 구축한 데 이어 국내 주요 대기업과 기관이 해당 서비스를 도입하며 빠르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서울평가정보는 기업과 금융권을 대상으로 신용평가 및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기업이다. 최근 ‘SCI평가정보’에서 사명을 변경한 바 있다. 양사는 기업 및 기관 고객의 효율적인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B2B 전문 기업으로, 일부 공통된 고객군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공동 마케팅을 통해 높은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이번 협약을 통해 각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평가정보 고인묵 대표는 “양사가 보유한 강점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만들어가겠다”며 “이번 MOU가 마케팅 협력을 넘어 솔루션 고도화의 시너지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비즈플레이 김홍기 대표는 “서울평가정보와의 협업을 통해 보다 폭넓은 고객 접점을 확보하고, 고객 기업에게 더욱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 다양한 마케팅 협업을 통해 시장에서 더 큰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비즈플레이 소개 비즈플레이는 디지털 경비지출관리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2014년 6월 웹케시 사내 벤처로 출발한 비즈플레이는 독자 비즈니스 추진을 위해 같은해 12월 별도 법인으로 분사했다. 2016년 9월 ‘경비지출관리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리포지셔닝하고 새롭게 출범했다. 기업의 무증빙 경비지출관리를 위해 비즈플레이는 국내 최초로 법인 카드는 물론 개인 및 해외 카드 실물 영수증이 필요 없는 전자적 경비지출관리를 구현하고, 기업 전체 경비지출 현황을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100대 기업의 75%, 국내 약 1000개 대기업만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종이 영수증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10년 뒤 대한민국 75% 기업에서 종이 영수증이 사라질 것을 확신하는 비즈플레이는 그 시장을 만들어 간다는 비전 아래 끊임없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비즈플레이 홍보대행 웹케시그룹 김도열 이사 02-3774-4743 공하영 대리 02-3774-4756 강민지 주임 02-3774-4755 이민주 주임 02-3779-910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지구촌 더보기

Blue Planet Prize 2025: Announcement of Prize Laureates

This year marks the 34th awarding of the Blue Planet Prize,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ward sponsored by the Asahi Glass Foundation, chaired by Takuya Shimamura. Every year, the Foundation selects two laureates,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who hav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resolution of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Board of Directors has selected the following 2025 Blue Planet Prize laureates. 1. Professor Robert B. Jackson (USA) Born on September 26, 1961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 Stanford University Professor Robert B. Jackson is an expert on the carbon cycle in terrestrial ecosystems, including forests, grasslands, and wetlands. He has conducted pioneering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vegetation, and soil bacterial communities. In addition, he has quantified the balance of greenhouse gases, such as carbon dioxide, methane, and nitrous oxide, from natural ecosystems and from fossil fuel use. Since 2017, he has served as chair of the Global Carbon Project (GCP), leading efforts to monitor an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2. Dr. Jeremy Leggett (UK) Born on March 16, 1954 Founder and CEO of Highlands Rewilding Ltd. Inaugural chairman of the Carbon Tracker Initiative Dr. Jeremy Leggett, as the inaugural chairman of the Carbon Tracker Initiative (CTI),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carbon bubble,” highlighting the economic risks associated with fossil fuel assets. Through CTI’s activities, he influenced investors and policymakers, advancing the divestment movement. In addition, as a practical effort to balance economic activity with environmental conservation, he founded one of the UK’s leading solar energy companies. More recently, he has been spearheading initiatives in Scotland to connect ecological restoration with community prosperity. · Each laureate is presented with a certificate of merit, a commemorative trophy, and 500,000 US dollars in prize money. · The Award Ceremony is scheduled on Wednesday, October 29, 2025, at Tokyo Kaikan. Commemorative lectures will be given on October 30th and November 1st, 2025, at the University of Tokyo and at the Kyoto International Community House (kokoka), respectively.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603602267/en/ 언론연락처: THE ASAHI GLASS FOUNDATION Toshihiro Tanuma, PhD +81-3-5275-062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2025 블루 플래닛 프라이즈’ 수상자 발표

아사히 글라스 재단(Asahi Glass Foundation)이 후원하고 시마무라 타쿠야(Takuya Shimamura)가 의장을 맡고 있는 국제 환경상인 ‘블루 플래닛 프라이즈(Blue Planet Prize)’가 올해로 34회를 맞이했다. 재단은 매년 지구 환경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한 2명의 개인(또는 조직)을 선정한다. 이사회는 다음과 같이 ‘2025 블루 플래닛 프라이즈’ 수상자를 선정했다. 1. 로버트 B. 잭슨(Robert B. Jackson) 교수. 미국, 1961년 9월 26일생 스탠퍼드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 Stanford University) 로버트 B. 잭슨 교수는 숲, 초원, 습지를 포함한 지상 생태계의 탄소 순환 분야 전문가로, 토양, 식생, 토양 박테리아 군집 간의 관계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또한 자연 생태계와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와 같은 온실가스의 균형을 정량화했다. 그는 2017년부터 글로벌탄소프로젝트(Global Carbon Project, GCP) 의장을 맡아 온실가스 배출을 모니터링하고 줄이기 위한 노력을 주도해왔다. 2. 제레미 레겟(Jeremy Leggett) 박사. 영국, 1954년 3월 16일생 하이랜드 리와일딩(Highlands Rewilding Ltd.)의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 카본트래커이니셔티브(Carbon Tracker Initiative)의 초대 회장 카본트래커이니셔티브(CTI)의 초대 회장인 제레미 레겟 박사는 화석연료 자산과 관련된 경제적 위험을 강조하며 ‘탄소 버블(carbon bubble)’이라는 개념을 소개했다. 그는 CTI의 활동을 통해 투자자와 정책입안자들에게 영향을 미쳐 투자 철회 운동을 촉진했다. 또한 그는 경제 활동과 환경보호 사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영국 최고의 태양광 에너지 회사 중 하나를 설립했다. 최근 그는 스코틀랜드에서 생태 복원을 지역 사회의 번영과 연결하는 이니셔티브를 주도해왔다. · 각 수상자에게는 공로증, 기념 트로피, 그리고 50만달러의 상금이 수여된다. · 시상식은 2025년 10월 29일(수) 일본 도쿄회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기념 강연회는 2025년 10월 30일과 11월 1일에 각각 도쿄대학과 교토 국제교류회관(kokoka)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603602267/en 언론연락처: 아사히 글라스 재단(ASAHI GLASS FOUNDATION) 타누마 토시히로 박사(Toshihiro Tanuma, PhD) +81-3-5275-062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안랩, 다양한 내용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 주의 당부

안랩(대표 강석균, www.ahnlab.com)이 최근 ‘급여 변동’, ‘이메일 수신 실패’ 등 다양한 내용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 사례를 발견하고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안랩이 공개한 두 가지 사례에서 공격자는 사용자가 피싱 사이트에 계정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해 계정 탈취를 시도했다. 특히, 사용자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는 첨부파일 및 URL을 자연스럽게 메일에 삽입하고, 정상 웹사이트와 구분이 어려운 정교한 피싱 페이지를 제작하는 등 고도화된 수법을 활용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첫 번째 사례 속 공격자는 기업 인사 부서를 사칭해 ‘2025년 6월부터 적용되는 급여 변동 사항을 확인’하라는 내용의 피싱 메일을 유포했다. 메일 본문에는 ‘급여 변동 사항을 PDF 파일, 온라인 포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문구와 함께 .html 파일을 첨부해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했다. 첨부파일 클릭 시,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공식 홈페이지와 유사하게 제작된 가짜 로그인 페이지로 연결되며, 해당 페이지에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공격자는 특정 기업의 홈페이지를 모방한 피싱 페이지를 제작하고 임직원 이메일을 수집하는 등 사전에 계획된 표적 공격을 수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용자가 피싱 페이지에 무심코 입력한 비밀번호는 공격자의 C2 서버로 전송되며, 추후 크리덴셜 스터핑 등 추가 공격에 악용될 수 있다. ※ C2 서버: Command & Control 서버. 공격자가 원격에서 정보 탈취, 악성코드 유포 등 공격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버 ※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탈취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활용해 다른 서비스에 무작위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공격 기법 두 번째 사례에서 공격자는 ‘귀하의 사서함에 배달되지 않은 이메일 메시지 5개가 있다’라는 내용으로 피싱 메일을 발송했다. 공격자는 ‘전달되지 않은 메시지는 여기에서 확인하세요’라는 문구에 URL을 삽입해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했다.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URL을 클릭하면, 가짜 로그인 페이지로 연결돼 계정 정보 입력을 요구한다. 정보 입력 후에는 피싱 페이지가 사용자 이메일 계정의 정상 도메인 주소로 자동 리다이렉트되어, 사용자가 피싱 피해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다. 피싱 메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 속 첨부파일 및 URL 실행 금지 △URL 접속 시 기업 및 서비스의 공식 사이트 주소와 비교 △PC, OS(운영체제), SW, 인터넷 브라우저 등에 대한 최신 보안 패치 적용 △백신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계정별 다른 비밀번호 설정 등 기본 보안 수칙을 지켜야 한다. 이번 사례를 분석한 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ASEC, AhnLab SEcurity intelligence Center) 분석팀 이익규 연구원은 “정교한 가짜 로그인 페이지를 사용한 계정 탈취 시도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대표적인 피싱 유형을 숙지하고 기본 보안 수칙을 준수하는 것만으로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랩은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안랩 TIP’에서 이번 사례를 포함한 다양한 피싱 공격 동향과 보안 권고문, 침해지표(IoC) 등을 제공 중이다. 또한, V3 제품군과 샌드박스 기반 지능형 위협 (APT) 대응 솔루션 ‘안랩 MDS’는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는 URL에 대한 탐지 및 실행 차단 기능을 지원한다. 언론연락처: 안랩 커뮤니케이션팀 임선진 031-722-855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플래닛월드투어 ‘한반도 미래백년 5060 바른역사스쿨 강화도 트레킹’ 프로그램 출시

한반도의 역사적 격변기를 체험할 수 있는 ‘한반도 미래백년 5060 바른역사스쿨 강화도 트레킹’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플래닛월드투어가 선보인 이 프로그램은 몽골제국과 청나라의 형성기를 거쳐 서양 세력의 세계 진출과 한반도의 정치적 충돌 현장이었던 강화도의 역사문화 유적지를 탐방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1970년대 냉전 시대에 군사정권이 강화도의 진·보·돈대 등 관방시설을 복원하고, 이를 전국학교 ‘학도호국단’ 청소년들을 상대로 한 국가 주도의 이데올로기 교육과 호국 체험학습의 장소로 활용했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번 트레킹 프로그램은 5060세대가 전문 해설사와 함께 아직도 냉전의 현장으로 있는 강화도를 돌아 보며 시대의 대전환점에 놓인 한반도 미래를 고민하는 역사 여행이다. 이 프로그램은 5명 이상의 소모임은 물론 기업체 및 친목 단체 행사에도 적합하다. 플래닛월드투어에서는 여행자의 요청에 따라 출발일과 인원수에 맞춰 맞춤형 여행을 진행할 예정이다. 여행 상품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상품명: 한반도 미래백년 5060 바른역사스쿨 강화도 트레킹 - 여행 경비: 3만5000원 - 상품 소개: https://buly.kr/1xyjtz8 - 행사일: 7월부터 매주 월요일 - 포함 사항: 여행자 보험, 전문 해설사 - 최소 인원: 5명부터 상품 문의 및 예약은 플래닛월드투어로 연락하거나 웹사이트 (https://www.planetworldtour.com)를 방문하면 된다. 플래닛월드투어 소개 플래닛월드투어는 전 세계 교민이 직접 운영하는 지역 전문 여행 서비스 네트워크다. 현지에 있는 교민이 직접 운영하는 다양한 여행정보와 여행상품을 통해 쇼핑, 옵션 등 패키지 단체관광에서 오는 불편 없이 자유로운 일정으로 여행을 준비할 수 있다. 현장답사 후 역사문화 및 사진촬영 등 다양한 테마가 있는 여행프로그램을 개발해 제공한다, 언론연락처: 플래닛월드투어 한재철 대표 070-7124-140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동선컴퍼니, 시흥시와 MOU 체결… 시흥콘 기프티콘 서비스 본격 도입

모바일 O2O 플랫폼 ‘동네선물:동선’을 운영하는 동선컴퍼니가 시흥시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지역화폐 기반의 모바일 기프티콘 시스템 ‘시흥콘’을 공식 도입했다. ‘시흥콘’은 ‘시흥’과 ‘기프티콘’을 결합한 이름으로, 지역 브랜드와 연계된 로컬 디지털 상품권이다. 소비자는 동선 앱에서 ‘시흥콘’을 구매하거나 선물한 뒤 시흥시 내 300여 개 가맹점에서 ‘시루 QR’을 스캔해 사용할 수 있다. 결제는 앱 내에서 사전 완료되며, 가맹점은 별도 단말기 없이 QR 인식만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어 디지털 시스템 도입에 대한 부담도 낮다. 이번 협약은 지역 축제, 공공 행사 등과 연계해 운영될 예정이며, 다른 지자체에서도 유사 시스템 도입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 5월에는 ‘시흥콘’ 출시 기념으로 앱 내에서 5% 할인 판매가 이뤄졌으며, 결제 수단으로 지역화폐 ‘시루’를 사용한 경우 시루 충전 시 6% 추가 할인까지 적용돼 최대 11%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그 결과, 한 달간 500건 이상의 실사용이 발생하며 소비자와 가맹점 모두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김성민 동선컴퍼니 대표는 “시흥시와의 협약은 지역화폐와 기프티콘이 융합된 전국 최초의 서비스로, 지역 기반 디지털 인프라의 새로운 출발점”이라며 “매년 지자체·공공기관이 약 1조원 규모의 프랜차이즈 기프티콘을 사용하고 있는 가운데, 이제는 지역 상권을 위한 기프티콘이 소상공인을 위한 새로운 경제 수단이 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존 프랜차이즈 중심 시장에서 소외됐던 자영업자들을 위해 AI 마케팅 기술을 결합한 통합 기프티콘 플랫폼으로 진화시켜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DX)과 고객 경험 혁신(AX)을 지원하겠다”며 “벤처캐피탈과 지자체 협력을 통해 로컬 기프티콘의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동선컴퍼니 소개 동선컴퍼니는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모바일 기프티콘 기반 O2O 플랫폼 ‘동네선물:동선’을 운영하고 있다. 누구나 손쉽게 기프티콘을 발행·유통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카카오 선물하기, QR 기반 정산 시스템, 지역화폐 연동 구조를 갖추고 있다. 낮은 수수료 체계를 통해 가맹점 부담을 최소화했으며, 공공기관·기업·단체 등에서 디지털 선물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전국 600여 개 이상의 매장에서 운영 중이다. 언론연락처: 동선컴퍼니 기획운영팀 최재훈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아윤채, 맨즈 스타일 살롱 케어 신제품 2종 출시

아모스프로페셔널의 디테일한 경험을 디자인하는 고기능 살롱 케어 브랜드 아윤채(AYUNCHE)가 맨즈 스타일링에 최적화된 신제품 2종, ‘프로 케어 그리즈 왁스’와 ‘프로 다운 크림’을 출시하며 2025 맨즈 스타일 비주얼을 함께 공개했다. 이번 신제품은 최근 남성들의 스타일링 트렌드에 맞춰 깔끔한 핏의 다운 펌 스타일과 세련된 웨트 스타일링을 완성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구성됐다. 자연스러운 윤기와 디테일한 텍스처 연출, 산뜻한 고정력이 특징인 ‘프로 케어 그리즈 왁스’로 요즘 유행하는 내추럴한 맨즈 웨트 스타일링을 완성할 수 있다. 피부 자극 반응도 0.00*로 피부에 닿는 자극에 대한 부담 없이 손쉬운 스타일링 연출이 가능하며, 찬물로도 잔여감 없이 세정되는 점이 바쁜 일상 속 실용성까지 더해 사용감과 실용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웨트 왁스로 제안된다. 함께 선보이는 ‘프로 다운 크림’은 헤어 살롱 전용 전문가 제품으로, 필요한 성분만 담아 충분한 밀착감으로 깔끔한 핏의 다운력을 제공하며, 시스테아민 시스템**을 적용해 열처리 및 중화 없이도 다운 펌 스타일을 간편하게 연출할 수 있다. 아윤채 ‘프로 케어 그리즈 왁스’는 아윤채 입점 헤어 살롱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살롱 정보는 아윤채몰(www.ayunch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24시간 피부 첩포를 통한 일차 자극 평가(대한피부과학연구소)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시스테아민 맨즈 스타일 살롱 케어 신제품 2종 · 아윤채 프로 케어 그리즈 왁스 100ml / 소비자가 2만9000원대 - 자연스러운 광택과 고정력, 번거로움 없는 세정이 가능한 스타일링 왁스 · 아윤채 프로 다운 크림 200ml / 헤어 살롱 전용 제품 - 충분한 밀착감의 깔끔한 핏을 연출하는 맨즈 다운펌 스타일 완성 아모스프로페셔널 소개 아모레퍼시픽 계열사 아모스프로페셔널은 정직과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 가치를 창조하는 전문 미용 솔루션 제공 기업이다. 프로페셔널 시장에서 뷰티 전문가를 위해 최적화된 헤어 케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언론연락처: 아모스프로페셔널 MC팀 김보람 부장 02-6040-205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프로젝트 솔져, 한국전쟁 75주년 기념 특별전 개최

사단법인 프로젝트 솔져가 한국전쟁 발발 75주년을 맞아 국내외 참전용사들의 신념과 헌신을 기리는 특별전 ‘FREEDOM IS NOT FREE: 한국전쟁 참전용사를 찾아서’를 개최한다. 이 특별전은 현충일인 6월 6일부터 6.25 전쟁이 발생한 6월 25일까지 20일 동안 서울 강남구 논현동 SJ쿤스트할레에서 진행된다. 프로젝트 솔져는 군인과 참전용사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하며, 자유와 평화의 가치를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프로젝트 솔져를 이끄는 사진작가 라미 현(현효제 대표)은 2013년부터 6.25 한국전쟁에 참여한 참전용사와 가족들의 사진을 찍어 액자에 담아 전달하는 사회공헌활동을 펼쳐왔다. 그는 한국전쟁 참전 22개국 중 200개 도시에 거주하는 약 2500명의 참전용사를 찾아가 5500개 이상의 사진액자를 전달했다. SJ쿤스트할레에서 열리는 이번 특별전을 찾는 관람객들은 전통적인 기록 방식과 현대적 아트 형식이 결합된 11개의 주제를 통해 전쟁이 단순히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현재의 삶과 자유의 본질과 연결되어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관람객들은 3개 층에 걸쳐 완전히 암흑 상태인 ‘Into the Dark (인 투 더 다크)’ 전시에서 소리만으로 한국전쟁의 참혹함을 체험할 수 있다. 한국전쟁 당시와 그 이후에도 인도주의적 원조로 아이들에게 초콜릿을 나눠준 허쉬 초콜릿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전시도 마련됐다. 라미 현 사진작가는 “이번 특별전은 청소년과 대학생 등 미래 세대가 6.25 참전용사들의 희생으로 지켜진 자유의 소중함을 느낄 귀중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준비됐다”며 “현재 생존해 계신 6.25 참전용사가 전 세계적으로 약 13만 명에 이르는데, 더 늦기 전에 더 많은 분들을 기록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6월 6일부터 25일까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열린다. 일반인은 유료 입장이며, 국가유공자, 군인, 경찰, 소방관 등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프로젝트 솔져 홍보대행 웨버샌드윅 최윤근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WISET, 2025년 여성과학기술인 담당관 상반기 직무교육 개최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이사장 문애리, 이하 WISET)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상반기 여성과학기술인 담당관 직무교육’(이하 직무교육)을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 여성과학기술인 담당관 제도는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2조 및 동법 시행령 제14조·제15조에 따라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기관 및 국공립대학의 장이 소속 직원 중 담당관을 지정해 여성과학기술인의 채용 확대, 지위 향상, 일·생활균형 연구문화 조성을 위한 협력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도다. WISET은 담당관의 업무역량 강화와 제도 실효성 제고를 위해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번 교육에는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및 국공립대학에서 활동 중인 여성과학기술인 담당관 100여 명이 참석했다. 교육은 △우수 담당관 사례 발표 △연구현장 성평등계획(GEP, Gender Equality Plan) 및 DEI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워크숍으로 구성됐다. 조미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소기팀 책임연구원과 채선하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수처리연구팀 연구위원이 담당관으로서 각 기관에서 수행한 여성과학기술인 활용 촉진과 일-생활균형 연구문화 연구문화 확산을 위한 노력 및 성과를 각각 발표했다. 이어서 진행한 호라이즌 유럽 성평등계획(GEP) 실습 교육은 국내에서 처음 마련한 것으로 참석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은 세계 최대 다자간 연구혁신 프로그램으로, 한국은 올해 준회원국으로 가입했다. 이에 따라 국내 연구기관이 이 프로그램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으려면 사업신청서에 성평등계획과 성별 특성 고려 요건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이는 국내 연구현장에서는 아직 생소한 개념이다. WISET은 본 실습 교육을 통해 호라이즌 유럽의 GEP 가이드라인을 설명하고, 각 연구기관이 현장에서 성평등계획을 직접 수립해 볼 수 있도록 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앞으로도 기관별 양성평등 현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제공 등, 연구기관들이 계획을 원활히 수립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어진 DEI 강의는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와 연계해 진행됐으며, 연구기관 내 실질적인 다양성·포용성 달성을 위해 각 기관이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안내해 담당관들의 이해도를 높였다. * 유엔글로벌콤팩트는 2000년 유엔(UN) 주도로 출범한 세계 최대 자발적 기업시민 이니셔티브다. 인권과 노동, 환경, 반부패 분야의 10대 원칙을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글로벌 플랫폼으로,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국내 기업의 10대 원칙과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2007년 창립됐다. 권지혜 WISET 정책연구센터장은 “여성과학기술인 담당관은 연구기관 현장 최전선에서 여성과학기술인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며 “이번 교육에서 다룬 성평등계획 가이드라인이 각 기관의 계획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이를 토대로 보다 포용적인 연구문화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호라이즌 유럽 성평등계획 가이드라인 및 2025년 여성과학기술인 담당관 직무교육 자료는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누리집(https://www.wiset.or.kr/kor/index.do) 내 ‘정책·통계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소개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은 ‘여성과기인법’에 근거해 설립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공공기관으로, 국가 여성과학기술인 정책 및 사업을 전담하고 있다. 기관의 주요 목표는 여성 과학기술인의 역량을 높이고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이공계 분야의 여성 일자리 발굴 및 취업 연계 △경력개발 교육과 멘토링 △법/제도 지원 △정책연구 및 통계조사 △과학기술계의 지속성장 생태계 문화 조성 등이 있다. WISET은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복권기금은 여성과학기술인의 육성과 활용 활성화를 통해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한다. 언론연락처: WISET 경영기획실 오은성 대외협력홍보팀장 02-6411-104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래엔, KBS ‘우리말 겨루기’ 여름방학 특집 협찬 및 예심 참가자 모집

교과서 발행 부수 1위 기업 미래엔이 KBS1 ‘우리말 겨루기’ 여름방학 특집 방송을 협찬하고, 전국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예심 참가자를 모집한다. 미래엔은 1954년 제1차 교육과정 이래 70여 년간 국어 국정 교과서를 발행해 온 교육 출판 전문기업으로, 우리말의 소중한 가치와 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확산하고자 지난해부터 ‘우리말 겨루기’ 여름방학 특집 방송을 후원하고 있다. 지난해 자사 교수 지원 플랫폼 ‘엠티처’를 통해 전국 1544명의 학생과 교사가 예심에 참여해 큰 호응을 얻었으며, 회차별 우승자에게 각각 1000만 원의 상금이 지급돼, 총 4000만 원이 수여됐다. 12월에는 최강자전에 총상금 1억원을 후원하기도 했다. 올해 여름방학 특집은 교사와 학생이 한 팀을 이루는 사제(師弟) 대결 형식으로, 초·중·고 부문별로 총 3편에 걸쳐 방송된다. 총상금은 4500만원 규모로, 부문별 우승팀에는 총 15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이 중 교사에게는 300만원, 학생에게는 200만원이 각각 지급되며, 소속 학교에는 1000만원의 장학금이 별도로 제공돼 교육 현장에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참가 대상은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재학생과 현직 교사로, 같은 학교 소속의 교사 1명과 학생 1명이 한 팀을 이뤄야 신청할 수 있다. 예심 지원서 접수는 6월 2일 오후 7시부터 초등부 6월 24일, 중학부 6월 29일, 고등부 7월 6일 자정까지 KBS ‘우리말 겨루기’ 공식 홈페이지에서 진행된다. 현장 예심은 △6월 28일 초등부 △7월 5일 중학부 △7월 12일 고등부 순으로 진행되며, 필기시험과 면접을 통해 본선 진출팀이 선발된다. 미래엔 신광수 대표는 “국어 교육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는 ‘우리말 겨루기’를 지속적으로 후원하게 돼 뜻깊다”며 “교사와 학생이 함께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게 돼 의미 있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미래엔 홍보대행 KPR 최하람 대리 02-3406-288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우리은행, 금융권 처음으로 ‘AI 개발 지원 플랫폼’ 구축 나선다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이 금융권 최초로 ‘AI 개발 지원 플랫폼’ 구축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내부 IT 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우리은행이 도입하는 ‘AI 개발 지원 플랫폼’은 △코드 자동완성 △오류 수정 △코드 설명 및 문서 자동화 △코드 리팩토링(구조 재조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이 반복적이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코딩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가 개발자가 작성 중인 코드를 실시간으로 예측해 자동으로 완성해 주고, 내부 개발 표준에 맞게 코드를 수정하거나 오류를 사전에 감지해 알려준다. 또한 복잡한 소스 코드를 알기 쉽게 직관적으로 설명해 주고, 문서 자동화 기능으로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문서와 주석을 신속하게 생성해 주는 기능도 포함된다. 특히 이번 플랫폼 도입은 초급 개발자나 외부 개발자에게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AI 기반 코딩 지원으로 우리은행 표준 코드에 쉽게 맞출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은 물론 IT 품질과 보안 수준까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은행은 금융업에서 AX(AI Transformation)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생존의 문제로 우리은행은 전사적으로 AX를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내부 시스템 혁신으로 금융권 AI 개발을 선도하고 디지털 금융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우리은행 홍보실 박화범 차장 02-2002-307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프랑스 감성 스윔웨어 루프루프, 롯데백화점 부산 본점서 2025 첫 여름 팝업 오픈

프랑스 감성 수영복 브랜드 루프루프(LOOPLOOP)가 오는 6월 6일부터 19일까지 롯데백화점 부산 본점 지하 1층에서 2025 첫 여름 팝업스토어를 오픈한다. 이번 팝업은 ‘Vintage Kitchen (빈티지 키친)’을 테마로 한 감각적인 공간에서 2025 Summer ‘Salty Breeze: 솔티 브리즈’ 컬렉션을 첫 공개한다. 루프루프는 프랑스 파리 출신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이끄는 브랜드로, 예술성과 인체공학적 패턴이 조화를 이루는 스윔웨어 라인을 전개하고 있다. 매 시즌 루프루프 아틀리에에서는 인하우스 디자이너 및 글로벌 아티스트와 협업해 독창적인 아트워크를 기반의 컬렉션을 선보이며 브랜드 특유의 예술적 감성을 확장해 가고 있다. 롯데백화점 부산 본점 지하 1층에서 만날 수 있는 이번 팝업스토어는 햇살이 스며드는 빈티지 키친을 연상시키는 따뜻하고 감성적인 무드로 구성된다. 루프루프의 시그니처 패턴으로 완성된 공간 속에서 부드럽고 러블리한 여름의 취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2025 Summer ‘Salty Breeze: 솔티 브리즈’ 컬렉션은 ‘계획 없이 떠난 여행에서 우연히 마주한 바다’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 짭조름한 공기 속 햇살, 흘러가는 여름의 순간을 담아낸 디자인으로 감성적인 무드를 한껏 끌어올려 오래도록 마음에 남는 여름의 온도와 결을 담아낸 컬렉션이다. 이번 팝업 현장에서는 루프루프의 대표 아이템인 실내 수영복을 비롯해 래쉬가드, 비치웨어, 라이프스타일 제품 등 다양한 여름 아이템을 선보인다. 특히 ‘Salty Breeze: 솔티 브리즈’ 컬렉션의 두 번째 드롭 제품이 한정 선공개돼 루프루프의 새로운 여름 감성을 누구보다 먼저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현장을 찾은 고객들을 위한 풍성한 이벤트도 마련돼 있다. 스윔웨어 전 상품을 15%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 금액대별로 사은품이 증정되는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된다. 루프루프는 부산에서의 첫 팝업스토어를 선보이게 돼 매우 설레고, 직접 만날 수 있게 돼 기대가 크다며, 햇살 가득한 키친처럼 따뜻하고, 잘 익은 체리처럼 사랑스러운 수영복을 통해 여름의 온기가 담긴 당신만의 취향을 발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루프루프는 지난 여름 현대백화점 압구정 본점에서 첫 팝업을 성료했으며, 스니커즈 브랜드 케즈(Keds)와 협업한 컬래버레이션 컬렉션으로도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번 부산 팝업은 브랜드가 고객과 직접 만나는 두 번째 오프라인 접점으로, 루프루프만의 감성으로 완성된 여름 공간으로 기대를 모은다. 루프루프 제품과 관련 소식은 홈페이지(https://looploop.co.kr)를 비롯해 공식 인스타그램(@looploop.official)을 통해 만날 수 있다. 루프루프 소개 루프루프(LOOPLOOP)는 프랑스 감성의 수영복 브랜드로, 프랑스 파리 출신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필두로 예술성과 인체공학적 패턴이 더해진 스윔웨어 라인을 전개하고 있다. 루프루프 아틀리에에서는 매 시즌 인하우스 디자이너 및 글로벌 아티스트와 협업해 아트웍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컬렉션을 선보인다. 언론연락처: 루프루프(LOOPLOOP) 홍보대행 바이브컴퍼니 김지영 AE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밈이 곧 IP 자산이 되는 시대… 스토리 재단, IP 수익화 플랫폼 ‘뱅어스’로 뮤직바이버추얼스와 협업

IP 블록체인 생태계를 선도하는 스토리 재단이 밈(meme), 이미지, 게시물 등 온라인 콘텐츠를 음악 또는 뮤직비디오로 실시간 생성하고, 이를 거래 가능한 IP 자산으로 전환하는 플랫폼 ‘뱅어스(Bangers)’의 운영사이자 AI 콘텐츠 플랫폼 ‘뮤직바이버추얼스(Music By Virtuals, 이하 뮤직)’와 협업한다고 밝혔다. 스토리와 뮤직의 이번 협업은 온라인에서 소비되는 밈을 활용해 누구나 쉽게 IP를 만들고 콘텐츠를 확장하는 새로운 창작 경제 모델을 제시한다. 뱅어스는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에 공유된 다양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뮤직의 AI가 음악 또는 뮤직비디오를 자동 생성하고, 이를 스토리 블록체인상에서 IP로 등록 및 토큰화해 거래와 수익 공유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플랫폼이다. 이용자가 X에서 뮤직 공식 계정(@MusicByVirtuals)을 태그한 뒤 △창작물 유형(음악 또는 뮤직비디오) △제목 △프롬프트 △토큰 티커 심볼 등 네 가지 정보를 입력하면, AI가 해당 콘텐츠의 맥락을 분석해 자동으로 창작물을 제작한다. 완성된 결과물은 스토리 블록체인상에 IP 자산으로 등록되며, 누구나 스트리밍하거나 거래할 수 있다. 뱅어스 운영의 핵심은 창작과 수익 분배의 자동화 구조에 있다. 콘텐츠 제작에 기여한 △원작 트윗 작성자 △콘텐츠 제작 요청자 △확산에 참여한 커뮤니티 구성원 모두에게 IP 거래 수수료가 자동으로 분배된다. 이를 통해 창작과 소비, 보상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순환 구조를 갖췄다. 스토리는 이번 협업을 계기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IP 포트폴리오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뮤직은 세계적인 DJ 리햅(R3HAB)과 우콩(Wukong)이 공동 작업한 음원 ‘Drip Drip (https://orcd.co/dripdripdripdrip)’을 스토리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IP 기반 토큰 발행을 완료했다. 100만 회 이상의 글로벌 스트리밍을 기록한 Drip Drip을 바탕으로 전 세계 팬과 창작자들이 자유롭게 콘텐츠를 재창작하고 수익화에 참여할 수 있다. 저스틴 비버, 셀레나 고메즈, 마룬5 등 세계적 아티스트의 대표곡 일부 저작권을 온보딩해 온 스토리 생태계는 EDM을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음악 IP를 지속적으로 블록체인 생태계로 확장함으로써, 창작자와 팬 모두에게 새로운 참여와 수익 모델을 제공할 계획이다. 스토리 재단 이사장 안드레아 무토니(Andrea Muttoni)는 “미래의 IP 시장에서는 밈과 같이 누구나 쉽게 창작할 수 있는 바이럴 콘텐츠들도 IP로 인정받고, 콘텐츠에 기여한 사람 모두가 공정하게 보상받을 수 있어야 한다”며 “뮤직의 뱅어스는 이러한 미래 콘텐츠 산업의 실증 사례로써, 밈을 바탕으로 한 AI 음악 콘텐츠의 생성부터 수익 분배까지의 과정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실행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토리는 현재 음악, 영화, 디자인 등 다양한 글로벌 IP를 스토리 블록체인에 빠르게 늘려가고 있으며, 약 61조달러 규모의 글로벌 IP 시장에서 블록체인 생태계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스토리(Story) 홍보대행 KPR 최윤희 02-3406-224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현장진단 전문기업 아이젠텍 ‘2025 감염병 예방 치료기술 개발 사업’ 상용화 과제 최종 선정

현장진단(POC, Point Of Care) 전문 벤처기업 아이젠텍(www.igenetech.co.kr, 대표 김경호·강진석)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에서 상용화 중심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진단 플랫폼의 기술 성숙도 고도화 및 상용화를 목적으로 하며, 아이젠텍은 공동연구기관인 삼성서울병원(진단검사의학과, 연구책임자 김태열 교수)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실제 의료 현장의 니즈를 반영한 진단 솔루션 개발 및 임상 검증을 함께 수행할 예정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진단 정확도, 사용자 편의성, 다양한 검체 적용성 등 의료현장 실용성 검토와 임상시험을 총괄하며 상용화 가능성 제고에 핵심적 역할을 맡는다. 아이젠텍은 이번 과제를 통해 MoiM Dx100 및 Dx200 올인원 분자진단 플랫폼과 함께 전처리 없이 다양한 검체를 즉시 검사할 수 있는 MoiM Detection kit 카트리지를 포함한 총 3개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해당 플랫폼은 1시간 이내에 정량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고성능 대형 장비 수준의 정량 분석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해 개발도상국이나 1차 의료기관에서도 활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해당 플랫폼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2등급 인허가 및 GMP 인증, ISO13485:2016 국제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완료했으며, CE 인증 및 수출용 인허가도 진행 중이다. 임상시험에서는 대형 장비와 동등한 성능을 입증했으며, 관련 연구는 네이처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이번 과제를 통해 아이젠텍과 삼성서울병원은 향후 2년간 26억원의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받아 저비용·저침습·고민감도·고특이도를 갖춘 차세대 진단 플랫폼의 상용화 및 의료 현장 확산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이젠텍은 현재 국내외의 체외진단 및 동물진단 기업과의 시약 개발 및 ODM 공급 협력, 글로벌 유통망 확대를 위한 협력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누적 투자금 55억원, 지난 3월 시리즈 A 투자 유치 완료 등의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아이젠텍 강진석 대표는 “이번 과제 선정은 자사 기술력의 상용화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계기”라며 “진단 사각지대에 놓인 전 세계 1차 의료기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현장 중심의 진단 혁신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아이젠텍 소개 아이젠텍은 2022년 3월 설립돼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장진단 플랫폼 및 카트리지, 시약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 중심의 의료기기 벤처 기업이다. 분자진단과 면역진단 플랫폼 및 시약/카트리지 개발, 양산, 인허가를 포함한 전 주기 과정에 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강소기업이다. 당사는 기존 대형 자동화 장비 기반의 중대형 병원 및 의료 검진 센터 중심에서 환자가 있는 현장으로의 검사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현장에서 검사 니즈가 발생했을 때 즉각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높은 정확도의 소형 자동화 올인원 장비(MoiM Dx100 & Dx200) 및 진단 시약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소형 자동화 올인원 장비의 개발 및 식약처 2등급 인증을 획득했으며, 차별화된 시약 동결건조 기술을 기반으로 인체 진단 및 비인체 진단 전문 업체들과의 협력을 진행 중이다. 언론연락처: 아이젠텍 부설연구소 강진석 070-4077-155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뉴스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