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ON AIR
-
- 2080벤처스, 캄보디아 정부 산하 Khmer Enterprise와 손잡고 ‘캄보디아 스타트업 론치패드’ 출범
-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2080벤처스가 캄보디아 정부 산하 기관인 Khmer Enterprise (이하 KE)와 협력해 초기 단계 스타트업을 위한 집중 육성 프로그램 ‘캄보디아 스타트업 론치패드(Cambodia Startup Launchpad)’를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12주간 진행되는 집중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대학 졸업생 및 MVP (최소기능제품) 보유 초기 창업자들이 실제 시장에서 고객을 확보하고, 제품-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을 확보하며, 투자자 대상 피치까지 준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총 3개 코호트로 운영되며, 총 30개 팀(60명 이상)의 창업자를 선발해 지원한다. 프로그램 커리큘럼은 고객 확보 전략, 반복 실험 기반 제품 개선, 피치덱 고도화, 노코드·AI 도구 활용 등 실행 중심 교육으로 구성돼 있다. 코호트 종료 시에는 국내외 투자자 및 생태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하이브리드 데모데이도 함께 진행된다. KE의 대표이자 캄보디아 정부 대표인 Dr. 치엥 반무닌(Chhieng Vanmunin)은 “이번 프로그램은 창업 교육을 넘어 실질적인 사업화로 이어지는 실행 중심의 플랫폼”이라며 “3000여 명의 유니프러너 프로그램 수료생들이 직접 참여하며 창업 여정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80벤처스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캄보디아 유망 스타트업들이 아세안 및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2080벤처스의 공동대표 최성안(Sun Choi)은 “캄보디아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와 글로벌 멘토링 역량을 결합해 실질적인 스케일업을 지원할 것”이라며 “현지 기업, 정부, 투자자들과 협업해 지속가능한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스타트업 론치패드는 2025년 6월 10일 프놈펜에서 열린 공식 출범식을 통해 첫걸음을 내디뎠다. 행사에는 현지 스타트업, 생태계 관계자, 멘토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캄보디아 내 청년 창업 열기를 실감케 했다. 참석자들은 시장의 실제 문제를 기반으로 구성된 교육과정과 멘토진이 인상 깊었다며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Khmer Enterprise 소개 Khmer Enterprise (KE)는 캄보디아 정부가 설립한 공공기관으로, 캄보디아 내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스타트업 및 SME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유망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자금, 교육, 멘토링, 네트워킹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며, 국내외 파트너들과 협력해 캄보디아 경제 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혁신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2080벤처스 소개 2080벤처스는 미국에 본사를 두고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10개국 이상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및 벤처캐피탈이다. 초기 단계 스타트업을 글로벌 스케일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각국 정부, 대기업, 투자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시장 진입부터 엑싯(M&A)까지 전 주기적 성장을 지원한다. 특히 오픈이노베이션 기반의 공동 사업 개발과 현지화 전략을 통해, 스타트업뿐 아니라 중견·대기업, 정부기관, 투자자 등 생태계 전반의 파트너들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2080 Ventures Communication Team 최성안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삼성전자 ‘구글 캐스트’ 지원하는 호텔 TV 신모델 출시
- 삼성전자가 ‘구글 캐스트’ 탑재로 한 차원 높은 콘텐츠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2025년형 호텔 TV 신제품(모델명: HU8000F)을 12일 글로벌 출시했다. 구글 캐스트(Google Cast)는 다양한 기기 간에 쉽게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구글의 무선 공유 기술이다. 객실에 투숙하는 고객은 구글 캐스트 기능을 통해 번거로운 로그인 과정 없이 QR 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호텔 TV와 본인의 모바일 기기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기기가 연결되면, 모바일에서 즐기던 개인 OTT를 호텔 TV에서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어서 즐길 수 있다. 삼성 스마트 TV 플랫폼 ‘타이젠 OS 홈(Tizen OS Home)’에서 즐길 수 있는 콘텐츠의 폭도 넓어졌다. 기존 넷플릭스, 삼성 TV 플러스(Samsung TV Plus)에 더해 프라임 비디오(Prime Video)까지 새롭게 추가됐다. 삼성전자 2025년형 호텔 TV는 정교한 화질을 구현하는 ‘크리스탈 프로세서 4K(Crystal Processor 4K)’를 탑재했으며, 삼성전자의 고화질 영상 표준 기술인 ‘HDR 10+’와 10억 가지 색상으로 사실감 넘치는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는 ‘다이내믹 크리스탈 컬러(Dynamic Crystal Color)’기술도 적용했다. 그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사운드 소스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뉴스, 스포츠, 음악, 영화 등 각 장르에 최적화된 음질을 제공하는 ‘어댑티브 사운드(Adaptive Sound)’ 기능도 지원한다. 삼성전자의 보안 시스템인 ‘녹스(Knox)’가 적용돼 강력한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하며, 삼성전자의 최신 운영체제(OS)인 ‘타이젠(Tizen) 9.0’도 탑재됐다. 호텔 특화 기능인 욕실 스피커 연결 기능, 유선 랜(Lan), RJ12 커넥터 등을 두루 갖췄으며 HDMI, USB 등 다양한 유선 입출력 포트도 적용돼 한층 편리한 호텔 환경을 조성하는 여러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매끈하고 슬림한 ‘에어슬림’ 디자인이 적용돼 호텔 공간과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삼성전자는 효율적인 호텔 운영과 편리한 투숙 환경 조성을 돕는 다양한 솔루션도 제공한다. 호텔 관리자는 삼성전자의 호텔 TV 전용 통합 매니지먼트 솔루션 ‘링크 클라우드(LYNK Cloud)’를 통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호텔을 운영할 수 있다. 원격으로 기기를 관리할 수 있고 각 호텔 지점을 동시에 관리할 수도 있어 운영 효율을 향상시킨다. 고객 투숙 정보 확인이나 TV 사용 패턴 분석 등의 비즈니스 인사이트도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일관성 있는 맞춤형 광고도 진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객실 내 다양한 디바이스를 하나로 연결해 투숙객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고 관리 효율성도 높여주는 ‘스마트 싱스 프로(SmartThings Pro)’ △하나의 리모컨만으로 다수의 호텔 TV를 원활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멀티 코드 리모트(Multi-Code Remote)’ 등 편의 기능을 지원해 운영 편의성과 고객 만족도를 모두 높였다. 이번 신제품은 총 6가지 사이즈(43·50·55·65·75·85형)의 라인업으로 출시된다. 삼성전자는 이달 16일부터 19일까지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호텔 기술 전시회 ‘하이텍 2025(HITEC 2025)’에서 구글 캐스트가 지원되는 이번 2025년형 호텔 TV 신제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정훈 부사장은 “2025년 호텔 TV 신제품은 구글 캐스트 기능을 적용해 편리한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압도적인 화질과 사운드, 높은 호환성과 보안을 갖춘 것이 특징”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호텔 TV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차원이 다른 호텔 경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최적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이전 호텔 TV(모델명: HBU8000)를 대상으로 ‘구글 캐스트’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 발리에 위치한 ‘캠핀스키(Kempinski)’와 자카르타 ‘스위소텔(Swissotel)’ 등 전 세계 주요 호텔에 설치된 TV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해, 엔터테인먼트에 최적화된 TV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실 박세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아이도트 URO dot AI, 혁신의료기술 1차 사용신청 성공적으로 접수
- 인공지능(AI) 기반 의료 솔루션 전문기업 아이도트가 자사의 혁신의료기술 ‘유로닷에이아이(URO dot AI)’의 첫 번째 사용신청 접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1차 신청 모집에는 서울성모병원, 한양대병원, 골드만비뇨의학과의원 등에서 도입 신청이 시작됐으며, 15개 이상의 2·3차 병원에서 신청 도입이 확정되고 있다. ‘URO dot AI’는 비조영 전산화단층촬영(CT) 영상을 활용해 요로결석의 유무, 크기, 위치 등을 자동 분석하는 인공지능 솔루션으로, 의료진의 판독 효율성 향상과 치료 계획 수립에도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혁신의료기술로 선정된 이후 임상 및 현장 적용을 위한 병원들의 관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월 혁신의료기술 고시 이후 국내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URO dot AI 도입 및 제품 관련 문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1차 사용신청 승인은 오는 7월 초로 예정돼 있다. 현재 URO dot AI는 비급여 수가가 적용 가능한 혁신의료기술로, AI 기반의 신속하고 정밀한 진단을 통해 의료기관이 효율적인 수익 창출과 차별화된 진료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 실제 도입 의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실질적인 임상 효과와 수요가 입증되고 있는 만큼 향후 급여화(보험 적용) 필요성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이도트 정재훈 대표는 “현재 사용기관 모집에 예상을 넘는 많은 병원이 신청 문의를 해주셨고, 실제 현장에서 AI 기기 도입을 원하는 의료기관의 관심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비급여 공급을 통한 수익화와 요로결석의 효율적인 진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더 많은 의료기관과 협력해 국내 의료 인공지능의 임상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URO dot AI의 사용 신청 및 관련 문의는 공식 유통 파트너인 체외충격파쇄석기 전문기업 에이치엔티메디칼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 아이도트 소개 아이도트는 2014년 6월 설립된 의료 인공지능 개발 전문 기업으로, 인공지능 기반 자궁경부암 판독 시스템 ‘써비레이(Cerviray) A.I.’를 시작으로 요로결석 진단 인공지능 솔루션 ‘URO dot AI’, 위대장내시경 인공지능 솔루션 ‘GIGA dot AI’ & ‘COLON dot AI’, 그리고 중이염 진단 인공지능 솔루션 ‘ECHO dot AI’ 등 다양한 의료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며, 글로벌 사업화로 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언론연락처: 아이도트 임가람 본부장 02-6497-880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앙상블 공간 프로젝트 열 여섯 번째 이야기 ‘Blue Summer’ 공연 개최
- 앙상블 ‘공간’이 오는 7월 2일(수) 오후 7시 30분 예술의전당 IBK기업은행챔버홀에서 열여섯 번째 프로젝트인 ‘Blue Summer’를 개최한다. 클래식 음악의 다양한 매력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이번 무대는 무더운 여름날 청중들에게 시원한 음악적 감흥을 선사할 예정이다. 2009년 창단 이후 매년 정기연주회를 비롯해 다양한 초청공연과 기부연주 등을 통해 활발한 활동을 이어온 앙상블 ‘공간’은 순수 클래식 음악을 대중과 나누고자 하는 목표로 꾸준히 실내악 레퍼토리를 발굴하고 완성도 높은 연주를 선보여 왔다. 이번 ‘Blue Summer’ 공연에서는 러시아 낭만주의부터 바로크,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명곡들이 펼쳐진다. △아렌스키의 차이콥스키 주제에 의한 변주곡으로 시작해 △라흐마니노프의 아름다운 선율이 돋보이는 보칼리제와 △차이콥스키의 녹턴(첼로 정재윤)이 이어진다. 이어 △알비노니의 Adagio가 여름밤의 감성을 더할 예정이다. 후반부에는 △비발디의 사계 중 여름 편인 ‘Summer’가 바이올리니스트 김성아의 협연으로 연주된다. 이어지는 △존 윌리엄스의 쉰들러 리스트 메인 테마(바이올린 정진희)는 영화음악의 감동을 클래식 무대에서 재현하며, 마지막으로 △레스피기의 고풍적 춤곡 모음곡 제3번이 공연의 대미를 장식한다. 이번 무대에는 국내외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는 정상급 연주자들이 참여한다. 지성호·권명·정진희·김성아 등 탄탄한 연주 경력을 지닌 바이올리니스트들과 비올리스트 이항석·라세원·공세정, 첼리스트 정재윤·장혜리, 더블 베이스 박노익 등 최고의 연주자들이 한 무대에 올라 클래식 음악이 가진 풍부한 표현력과 깊이를 대중들에게 전하며 음악으로 함께하는 여름밤을 선사할 예정이다. 본 공연은 앙상블 ‘공간’ 주최, 리드예술기획 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한국메세나협회 후원, THINKPOOL 지원, 하나은행 협찬으로 진행된다. 입장권은 R석 5만원, S석 3만원(학생 S석에 한해 1만원)으로, 예술의전당 홈페이지와 인터파크를 통해 예매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리드예술기획 이한울 02-518-979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용산구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서울디지텍고등학교-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청소년 AI·게임개발 교육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용산구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이하 미래야)와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가 지난 10일 청소년 진로 교육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신산업 및 게임 개발 관련 교육 프로그램 ‘솔깃한X프로젝트’의 운영을 통한 청소년 진로활동 지원을 위해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솔깃한X프로젝트는 두 개의 직업군을 융합해 청소년이 새로운 진로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인공지능(AI)’과 ‘게임 개발’의 융합을 통해 참가 청소년이 자신만의 게임을 직접 기획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한다. 세 기관은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 운영에 함께해 청소년이 디지털 기술과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이종익 미래야 센터장은 “이번 협약은 청소년이 흥미를 느끼는 게임과 미래 산업인 인공지능을 결합해 실질적인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학교 및 지역 유관 기관들과 협력해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박선갑 서울디지텍고등학교 교장은 “학생들이 실무 중심의 진로 체험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을 키우고,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현장 중심 교육과 진로 연계 활동을 더욱 활성화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솔깃한X프로젝트는 오는 7~8월 중 운영될 예정이며, 2007~2012년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한다. 모집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미래야 누리집(www.miraeya.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미디어제작팀 안아름 담당 070-7165-10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제주대학교·조천초 교례분교·에코랜드 공동 주최 ‘음악셰프 아트플레이트 어드벤처’ 성료
- 제주대학교, 조천초등학교 교례분교, 에코랜드가 공동으로 진행한 AI·예술·심리·쿠킹 융합 프로그램 ‘음악셰프, 첼리스트와 떠나는 아트 플레이트 쿠킹 어드벤처’가 6월 12일 에코랜드의 연회장 에코볼륨(Ecovolume)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제주대학교 체육예술교육기부단의 창의적 예술교육기부 확산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됐으며, 전교생 12명의 소규모 학교인 조천초 교례분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히 에코랜드는 천혜의 자연환경인 제주 곶자왈 숲속에 위치하고 테마파크·호텔·골프장이 함께 어우러진 복합 리조트로, 다양한 문화행사와 공연, 축제 등을 개최하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행사는 에코랜드가 이러한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공간에서 감성 중심의 융합 교육장으로 전환돼 대한민국 교육기부의 새로운 모범 사례로 평가받았다. 학생들은 디즈니 영화 ‘인사이드 아웃’ 속 감정 캐릭터를 활용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AI가 생성한 감정별 색상 및 푸드 이미지를 감상하며 AI 음악을 통해 색과 소리로 감정을 체험하는 몰입형 활동을 경험했다. 이어 제주대학교 체육예술 총괄 수석이자 첼리스트인 임현정의 이탈리아와 제주를 테마로 한 라이브 첼로 연주와 에코랜드호텔 총주방장이자 한라윈드앙상블 트럼펫 연주자인 김명균 셰프의 음악 퍼포먼스가 더해져 감동적인 무대를 선사했다. 프로그램의 마지막에는 학생 전원이 함께 부른 ‘문어의 꿈’ 합창이 진행되며 특별한 추억을 완성했다. 또한 학생들은 감정의 색을 활용해 △한라봉잼과 블루베리 머핀케이크 △시금치 페스토와 토마토소스를 곁들인 새우 오픈샌드위치를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을 통해 ‘어린이 셰프’가 되어 예술·자연·미래기술이 어우러진 오감 체험의 시간을 가졌다. 프로그램을 기획·개발한 제주대학교 임현정 총괄 수석은 “예술과 기술, 음식이 감정이라는 키워드로 연결되며 아이들의 감성과 상상력이 살아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지역성과 창의성이 융합된 교육모델을 지속적으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남제 교수(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또한 “이번 프로그램은 대한민국 교육기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의미 있는 시도였다”며 “디지털 리터러시와 예술 감수성이 융합된 미래형 교육이 제주에서 실현된 매우 인상적인 교육 실험이었다”고 평가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소규모 학교, 지역 리조트, 대학, 문화예술 전문가가 함께 만든 새로운 형태의 융합교육 모델로, 향후 제주 지역뿐 아니라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보여줬다. 한편 에코랜드는 이외에도 다양한 문화행사와 함께 야간개장 프로그램인 ‘컬러풀 에코랜드’를 운영하며 곶자왈 숲을 배경으로 빛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특별한 야경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관람객들은 낮과는 또 다른 매혹적인 제주의 자연을 체험하며 가족 단위 관광객과 문화예술 애호가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에코랜드 소개 제주 에코랜드 테마파크는 제주 곶자왈 숲속의 기차여행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로, 제주도 관광의 최대명소다. 4.5km의 기차여행을 즐기는 동안 신비의 숲 곶자왈에서 서식하는 곤충과 동물 그리고 다양한 식물을 체험할 수 있다.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무한한 혜택을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이다. 언론연락처: 에코랜드 콘텐츠기획팀 이준승 부장 064-802-80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 2025년 천왕청소년마을축제 ‘All Day Youth Day’ 성료
- 구립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관장 이은미)이 청소년들이 직접 기획하고 만들어가는 ‘천왕청소년마을축제 All Day Youth Day’를 6월 7일(토) 문화의집 일대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 올해로 세 번째로 진행된 이번 축제는 ‘혼자 어때, 둘이 어때, (다가)올 여름 천왕 어때!’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청소년 주도의 자치·참여 및 문화예술을 실현하는 장을 마련했고, 청소년대표단이 선정한 ‘여행’이라는 콘셉트에 맞추어 올해의 자치기구 소속 청소년들의 톡톡 튀는 기획력을 바탕으로 마을의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아동·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했다. 이날 축제는 △개막식 △‘여행’ 테마 체험부스 △VIP 라운지(먹거리 부스) △플리마켓 △청소년 동아리공연 등 구로구 내 청소년 시설 뿐 아니라 다양한 유관기관들의 참여로 더욱 알차고 풍성한 볼거리로 구성돼 청소년뿐 아니라 가족 단위 지역 주민들까지 축제의 즐거움을 나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대표단이 준비한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동아리 공연 등 축제의 처음과 끝을 마을 안에서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모습으로 채울 수 있어 단순한 행사 참여를 넘어 청소년이 주인공이 되는 축제의 의미를 실감할 수 있었다. 구립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 이은미 관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마을의 변화를 이끄는 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하겠다”며 “이번 축제를 기획하고 준비한 자치기구 청소년들과 아동·청소년을 위해 함께 참여한 지역 내 유관기관 그리고 성공적인 축제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은 구로구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천왕청소년마을축제는 앞으로도 지역 청소년의 자치 역량을 강화하고, 마을과 청소년이 함께 성장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해나갈 예정이다.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 소개 구립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은 구로구(구청장 장인홍)가 설립하고 한국청소년재단이 위탁 운영하며 청소년들의 건강한 꿈을 성장시키기 위해 다양한 공간과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 비영리 청소년시설이다. 언론연락처: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 최진주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AI 보험 플랫폼 보닥-고령자 케어 서비스 케어벨, 전략적 제휴로 고령사회 대응 나선다
- AI 기반 보험 플랫폼 ‘보닥’을 운영하는 코스닥 상장사 아이지넷(462980)과 시니어를 위한 디지털 라이프케어 서비스 ‘케어벨’을 운영하는 제로웹이 지난 11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 중인 한국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선제적 복지 솔루션을 기업 간 협업으로 확장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제휴는 단순한 서비스 입점 수준을 넘어 두 기업이 각자의 전문 영역에서 축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니어 맞춤형 디지털 라이프케어 모델을 공동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닥’은 AI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보험 상품을 추천하고 비교해주는 플랫폼으로, 이미 중장년층 사용자 사이에서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케어벨’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비접촉·무자각 센서를 통해 독거노인의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가족과 응급 대응 기관에 알리는 서비스로 고령친화 서비스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자의 핵심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디지털 플랫폼 간의 통합적 경험을 제공하는 한편 사회적 가치를 위한 공동 프로젝트도 함께 추진하는 등 상호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협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제휴의 가장 큰 의미는 보험 중심의 인슈어테크(InsurTech)와 비접촉 센서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결합해 보다 정교한 고령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점에 있다. 실제로 고령자 가구의 상당수가 상해보험, 장기요양보험 등에 가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시간 이상 감지나 비상 대응 체계는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협업을 통해 ‘보닥’은 단순 보험 가입을 넘어 실제 상황에서 케어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연결하고, ‘케어벨’은 새로운 가입자 유입 경로와 보호자 대상 부가 서비스를 확보할 수 있다. 협약에는 단순 수익 모델을 넘어서 사회적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CSR 프로젝트도 포함돼 있다. 양사의 협력은 향후 지자체, 복지기관, 보험사 등 제3영역과의 삼각협력 모델로의 확장 가능성도 크며, 특히 공공의 복지 재정 부담을 줄이면서도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민간 주도의 복지 모델로 주목된다. 제로웹 이재현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단순한 기술 제공을 넘어 사회적 문제 해결에 공헌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국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보닥’과 ‘케어벨’의 협력은 고령자 돌봄을 위한 서비스들이 ‘효율’과 ‘안전’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현 시점에 마련된 기술 기반의 새로운 해결 모델이다. 이와 같은 연계형 협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되며,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시대를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제로웹 소개 제로웹은 홀몸노인, 혼자 지내는 가족의 안전하고 편안한 일상을 위한 케어 모니터링 서비스 ‘케어벨’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형 뉴딜의 핵심 사업인 스마트시티, 시니어 헬스케어, 사회 안전망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 자사 기술을 적용하며 디지털 기술로 사회의 현안을 해결하고 혁신을 견인하는 벤처기업이다. 언론연락처: 제로웹 미래전략실 김지영 이사 070-4077-438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엑사그리드 ‘스토리지 어워드’에서 2개 부문 신규 산업상 수상
- 리텐션 타임락(Retention Time-Lock) 기능과 랜섬웨어 복구를 위해 지연 삭제(delayed deletes) 및 불변성(immutability)을 제공하는 유일한 비네트워크 연결 계층형 에어갭(non-network-facing tiered air gap)을 갖춘 업계 유일의 계층형 백업 스토리지(Tiered Backup Storage) 솔루션인 엑사그리드(ExaGrid®) (https://www.exagrid.com/)가 채널 파트너 프로그램(Channel Partner Programme) 및 올해의 스토리지 기업(Storage Company of the Year), 두 개의 상을 2025년 6월 5일 런던에서 열린 제22회 연례 스토리지 어워드(Storage Awards) (https://storage-awards.com/) 시상식 ‘더 스토리즈(The Storries)’에서 수상했다고 발표했다. 스토리지 어워드는 대중의 투표로 수상자가 결정된다. 엑사그리드는 2025년 수상으로 ‘더 스토리즈’에서 14년째 수상했다. ‘채널 파트너 프로그램’ 상은 엑사그리드 리셀러 파트너 프로그램을 인정하는 상으로, 이 프로그램은 엑사그리드 영업팀의 지원과 마일스톤 약정 없이 파트너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혁신적으로 설계됐다. 엑사그리드는 ‘제대로 작동하며(just works)’ 과대 판매되거나 과소 사양으로 판매되지 않으며, 배정된 레벨 2 기술 지원 엔지니어가 배정된 업계 최고의 고객 지원을 제공해 파트너사 고객이 잘 관리받도록 보장하는 계층형 백업 스토리지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유명하다. ‘올해의 스토리지 기업’ 상은 엑사그리드의 독자적인 계층형 백업 스토리지 제품군을 인정한 것으로, 이 제품군은 데이터 중복 제거, 사용자의 생산성 유지를 위한 가장 빠른 백업 및 복원, 랜섬웨어 복구 기능을 갖춘 포괄적인 보안을 포함하는 업계 최대 규모의 단일 스케일아웃(scale-out) 시스템을 제공한다. 엑사그리드는 계층형 백업 스토리지로 계속 인정을 받고 있으며, 2025년 현재까지 다음과 같은 6개의 업계 상을 수상했다. · 데이터 브레이크스루 어워드(Data Breakthrough Awards) - 올해의 데이터 백업 솔루션(Data Backup Solution of the Year) · 네트워크 컴퓨팅 어워드(Network Computing Awards) - 올해의 에어 갭 랜섬웨어 복구 제품(Air-gapped Ransomware Recovery Product of the Year) · 네트워크 컴퓨팅 어워드 - 올해의 기업(Company of the Year) · 네트워크 컴퓨팅 어워드 - 올해의 스토리지 제품(Storage Product of the Year) · 스토리지 어워드(Storage Awards) - 채널 파트너 프로그램(Channel Partner Programme) · 스토리지 어워드 - 올해의 스토리지 기업(Storage Company of the Year) 엑사그리드의 사장 겸 최고경영자인 빌 앤드류스(Bill Andrews)는 “채널 파트너 프로그램 및 올해의 스토리지 기업 상을 수상하게 돼 영광이다”라며 “투표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파트너와 고객의 성원과 우리 팀, 프로그램 및 계층형 백업 스토리지 제품 라인에 대한 지속적인 인정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엑사그리드 소개 엑사그리드는 고유한 디스크 캐시 랜딩 존, 장기 보존 리포지토리, 확장형 아키텍처 및 포괄적인 보안 기능을 갖춘 계층형 백업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엑사그리드의 랜딩 존은 가장 빠른 백업, 복원 및 즉각적인 VM 복구 역량이 있으며 리포지토리 계층은 장기 보존을 최저 비용에 제공한다. 엑사그리드의 확장형 아키텍처는 전체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하고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고정 길이 백업 기간을 보장해 비용이 많이 드는 대대적인 업그레이드와 예정된 노후 제품 폐기를 제거한다. 엑사그리드는 비네트워크 계층(계층형 에어갭), 지연된 삭제 및 랜섬웨어 공격으로부터 복구할 수 있는 불변 객체를 포함하는 유일한 2계층 백업 스토리지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엑사그리드는 아르헨티나, 호주, 베네룩스, 브라질, 캐나다, 칠레, 독립국가연합(CIS), 콜롬비아, 체코 공화국, 프랑스, 독일, 홍콩, 인도,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멕시코, 북유럽, 폴란드, 포르투갈,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남아프리카, 한국, 스페인,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 영국, 미국 및 기타 지역에 실제 판매 및 사전 판매 시스템 엔지니어를 보유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exagrid.com을 방문하거나 링크드인에서 회사와 연결하면 된다. 엑사그리드의 고객 성공 사례를 통해 고객이 엑사그리드 경험에 대해 말하는 내용을 둘러보고 이제 백업 스토리지에 훨씬 적은 시간을 소비하는 이유도 알아볼 수 있다. 엑사그리드의 NPS는 +81점으로 높은 점수를 확보하고 있다. ExaGrid는 ExaGrid Systems, Inc.의 등록 상표이다. 기타 모든 상표는 해당 소유자의 자산이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610147479/en 언론연락처: 엑사그리드(ExaGrid) 메리 도메니첼리(Mary Domenichelli)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ExaGrid Wins 2 New Industry Awards at the Storage Awards
- ExaGrid (https://www.exagrid.com/)®, the industry’s only Tiered Backup Storage solution with Retention Time-Lock and the only non-network-facing tiered air gap with delayed deletes and immutability for ransomware recovery, today announced that the company was honored with two awards, Channel Partner Programme and Storage Company of the Year, during the 22nd annual Storage Awards (https://storage-awards.com/) ceremony, ‘The Storries,’ held in London on June 5, 2025. The Storage Awards are determined by public vote. The 2025 awards mark the 14th year of wins for ExaGrid at ‘The Storries.’ The Channel Partner Programme award recognizes the innovative ExaGrid Reseller Partner Program, which is designed to be easy for partners with support from the ExaGrid sales team and without milestone commitments. ExaGrid is known for having a Tiered Backup Storage system that ‘just works,’ is not oversold or undersized, and provides its customers with the best customer support industry from an assigned level 2 technical support engineer, ensuring that partners’ customers are well taken care of. The Storage Company of the Year award recognizes ExaGrid’s unique Tiered Backup Storage product line, which offers the largest single scale-out system in the industry that includes data deduplication, that fastest backups and restores to keep users productive, and comprehensive security with ransomware recovery. ExaGrid continues to gain recognition for its Tiered Backup Storage, winning six industry awards so far in 2025, including: ·Data Breakthrough Awards - Data Backup Solution of the Year ·Network Computing Awards - Air-gapped Ransomware Recovery Product of the Year ·Network Computing Awards - Company of the Year ·Network Computing Awards - Storage Product of the Year ·Storage Awards - Channel Partner Programme ·Storage Awards - Storage Company of the Year “We are honored to win Channel Partner Programme and Storage Company of the Year,” said Bill Andrews, President and CEO of ExaGrid. “Thank you to everyone who voted for us, we are grateful to our partners and customers for their support, and for the continued recognition of our team, our programs, and our Tiered Backup Storage product line.” About ExaGrid ExaGrid provides Tiered Backup Storage with a unique disk-cache Landing Zone, long-term retention repository, scale-out architecture, and comprehensive security features. ExaGrid’s Landing Zone provides for the fastest backups, restores, and instant VM recoveries. The Repository Tier offers the lowest cost for long-term retention. ExaGrid’s scale-out architecture includes full appliances and ensures a fixed-length backup window as data grows, eliminating expensive forklift upgrades and planned product obsolescence. ExaGrid offers the only two-tiered backup storage approach with a non-network-facing tier (tiered air gap), delayed deletes, and immutable objects to recover from ransomware attacks. ExaGrid has physical sales and pre-sales systems engineers in the following countries: Argentina, Australia, Benelux, Brazil, Canada, Chile, CIS, Colombia, Czech Republic, France, Germany, Hong Kong, India, Israel, Italy, Japan, Mexico, Nordics, Poland, Portugal, Qatar, Saudi Arabia, Singapore, South Africa, South Korea, Spain, Turkey, United Arab Emirates,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and other regions. Visit us at exagrid.com or connect with us on LinkedIn. See what our customers have to say about their own ExaGrid experiences and learn why they now spend significantly less time on backup storage in our customer success stories. ExaGrid is proud of our +81 NPS score! ExaGrid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ExaGrid Systems, Inc. All other trademarks are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holders.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610147479/en/ 언론연락처: ExaGrid Mary Domenichelli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부산대학교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 연료전지 산업 세미나 6월 25일 개최
- 부산대학교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는 오는 6월 25일 부산시 내 호텔 세미나홀에서 ‘연료전지 산업 현황 및 발전 전략’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사업’의 일환으로, 연료전지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와 기술·시장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세미나는 △발전용 연료전지와 △모빌리티 연료전지를 각각 심층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송락현 박사는 발전용 연료전지를 주제로 △발전용 연료전지 개념과 이해 △기술·정책·제도 현황 △시장 전망 등을 소개하며, 김민진 박사는 모빌리티 연료전지를 주제로 △PEMFC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 개념과 특성 △기술·정책 동향 △실제 적용 사례 및 시장 전망에 대해 강의할 예정이다. 각 강의는 2시간씩 진행되며, 총 4시간의 집중 교육으로 구성된다. 이번 세미나는 고용보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연료전지 및 에너지 산업에 관심 있는 기업체 임직원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세미나 종료 후에는 참석자 전원을 대상으로 호텔식 석식과 기념품이 제공된다. 부산대학교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는 이번 세미나가 연료전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 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관심 있는 기업 관계자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세미나 신청은 부산대학교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 홈페이지(https://transenergy.pusan.ac.kr)를 통해 가능하며, 선착순 접수로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공고 또는 유선 문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부산대학교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 소개 최근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등에 따라 기업의 생산기술·생산품목·업종 등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기업 구성의 인식 변화, 기술 변화에 따른 R&D 교육, 생산방식변화에 따른 직무훈련, 기술변화에 따른 직무전환 지원 등이 필요하다.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는 이러한 과정에서 재직자에게 필요한 모든 형태의 교육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새롭게 운영하는 훈련 플랫폼이다. 부산대학교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는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의 공동훈련센터로, 재직근로자 교육훈련 지원 사업인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사업’을 승인받아 운영하고 있으며, 친환경 에너지 분야 교육 훈련을 정부 지원을 받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부산대학교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 산업전환공동훈련센터 한희탁 팀장 051-510-710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도시재생 성과관리·모니터링·활성화계획변경 실무전략, 현장에서 해법 찾다
- 공공도시는 지난 6월 4일(수) 대전 도심형산업지원플랫폼에서 도시재생 분야 실무자를 대상으로 사회공헌 프로젝트 ‘공공이음’의 네 번째 세미나 ‘도시재생, 다다르다’를 성황리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도시재생사업의 성과관리, 모니터링, 활성화계획 변경이라는 실무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지자체, 광역·기초·현장 도시재생지원센터,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공공이음’은 공공도시(대표 윤호준)가 기획한 도시정책·도시재생 실무자를 위한 사회공헌 프로젝트로, 실무자 간의 경험을 잇고, 정책과 실행을 잇고, 지역과 공공의 역할을 잇는 세 가지 연결의 가치를 담고 있다. 성과관리, 다음 기획을 여는 출발점으로 첫 번째 세션에서는 이남휘 공공도시 도시정책데이터연구소 소장이 ‘연차별 추진실적평가와 종합성과평가의 전략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소장은 도시재생사업의 성과관리 모니터링 추진전략을 △이중 트랙 분석 체계 △시계열 공공데이터 구축 △100m 격자 단위 데이터 분석 △비교군 설정 및 분석 등으로 구체화하며, 성과평가가 단순한 결과 정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음 전략 수립의 기반이 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공공데이터 시계열 분석 및 시각화, 주민설문설계, 내부자료 아카이빙, 사업관리카드 작성 등 다양한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론을 소개하며, 실무자가 직접 대응 가능한 실행 전략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이론과 현장성을 겸비한 전략이었다’, ‘성과관리의 관점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었다’는 평가를 전했다. 활성화계획 변경, 현장 중심의 실무 대응 전략 제시 두 번째 세션은 이성일 공공도시 이사(에이제로스튜디오 대표이사)가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변경 절차별 실무와 준비사항’을 주제로 발제했다. 이 이사는 도시재생사업 추진 중 계획 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법적인 기준과 사례 중심으로 설명하며, △계획 변경 사항 검토 및 대응 방안 △HUG도시재생지원기구 및 국토부와의 협의 △변경요청서 작성 시 주안점 등 실무자 관점의 대응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그는 “계획 변경은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조정이며, 지역 여건에 맞는 유연한 행정 운영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이론보다 실제에 가까운 지침이었다’, ‘막연했던 변경업무와 관련 절차가 명확해졌다’는 반응을 보였다. 소그룹 컨설팅 중심의 참여형 세션 운영 세 번째 세션은 사전 신청을 바탕으로 성과관리와 활성화계획 변경 두 주제를 중심으로 한 소그룹 컨설팅 방식으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실무 현장에서 마주한 구체적인 질문과 사례를 발제자와 공유하며, 개별 상황에 맞는 해법과 적용 전략을 함께 도출했다. 충북, 충남, 대전, 경남 등 각 지역에서 참석한 실무자들은 ‘실질적인 컨설팅이 업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됐다’, ‘지역별 시행착오를 공유하고 교차 학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소감을 남겼다. 공공이음, 매월 첫 수요일 온라인 개최… 뉴스레터 구독으로 소식 확인 가능 ‘공공이음’은 공공도시가 기획한 도시정책·도시재생 분야 실무자를 위한 사회공헌 프로젝트로, 매월 첫 번째 주 수요일 오후 2시에 온라인으로 정기 개최된다. 각 회차의 주제, 참여 방법 등은 공공도시 뉴스레터를 통해 사전에 안내되며, 구독 신청을 통해 행사 정보를 정기적으로 받아볼 수 있다. 공공도시 소개 공공도시는 전문직 공무원, 국책연구원, 도시재생 기초·현장센터, 도시재생기업(CRC),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출신의 석·박사들이 모여 정책 목표를 구체적인 실행 전략으로 제시하고 현장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가는 공공 파트너다. 호혜와 신뢰,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공공도시의 주요 활동 분야는 △공공정책사업 기획 ‘정책사업 아이디어 발굴 및 사업기획안 수립’ △도시재생사업 계획·관리 ‘전략·활성화계획 수립(변경) 및 성과모니터링’ △사회적경제 및 주민조직 역량강화 ‘사회적기업, 마을협동조합, 주민 등 교육 및 컨설팅’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 ‘지역상권 쇠퇴, 공실증가 문제 대응 및 해결책 마련’ 등이 있다. ‘공공이음’은 도시정책·도시재생 분야 실무자를 위한 사회공헌 프로젝트로, 매월 첫 번째 주 수요일 오후 2시에 온라인으로 정기 개최된다. 각 회차의 주제, 참여 방법 등은 공공도시 뉴스레터를 통해 사전에 안내된다. 언론연락처: 공공도시 윤호준 대표이사 02-6925-525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핫채널
뉴스더보기 +
-
이왕덕 06-12 23:34
항아리에 이어 ‘걷기’다… 디볼버디지털 ‘베이비 스텝스’ 체험판 공개
글로벌 인디 게임 퍼블리셔 디볼버디지털(Devolver Digital Games)이 퍼블리싱하는 신작 ‘베이비 스텝스’가 9월 8일 정식 출시를 앞두고 첫 체험판을 PC 스팀을 통해 공개했다. 이 게임은 게이브 쿠질로, 막시 보크와 ‘항아리 게임(Getting Over It)’으로 잘 알려진 베넷 포디가 함께 선보인다. ‘베이비 스텝스’는 주인공 네이트가 ‘걷는 법’을 배워가는 여정을 담은 3인칭 걷기 시뮬레이션 장르의 게임이다. 실직한 백수의 인생이 한 걸음 한 걸음 직접 다리를 조작해가며 앞으로 나아간다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기괴한 설정을 기반으로 구성됐다. 유머와 철학, 그리고 도전이 동시에 존재하는 이 게임은 물리 기반 조작 시스템을 통해 기존의 시뮬레이터와 차별화된 경험을 선사한다. 체험판에서는 산악 지형과 다양한 장애물로 가득한 구간을 탐험할 수 있으며, 수백 가지의 비트와 선율로 구성된 다이내믹 사운드트랙, 마스코트와 같이 존재감을 뽐내는 동물 NPC, 풀 3D 물리 시스템 기반의 조작 등 완성도 높은 구성도 미리 만나볼 수 있다. 특히 현실적인 걷기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플레이어는 좌우 다리를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며, 이를 통해 무의식적인 ‘걷기’라는 행위를 새롭게 경험하게 된다. 신작 ‘베이비 스텝스’는 2025년 9월 8일 PC 스팀 플랫폼과 플레이스테이션 5를 통해 출시될 예정이며, 정식 출시와 함께 한글을 지원할 예정이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와 디볼버디지털 한국 공식 X (Devolve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디볼버 디지털 소개 디볼버 디지털(Devolver Digital, Inc.)은 게임 업계 선구자들에 의해 설립된 다양한 수상 경력을 보유한 글로벌 게임 퍼블리셔이자 개발사로, 전 세계 인디 게임 개발자들과 협력해 독창적이고 재미있는 게임을 발굴한다. 개발자들을 공정하게 대우하고 그들의 창의성을 우선시하는 독특한 철학과 문화로 성공적인 사이클을 구축해왔다. 디볼버 디지털은 열정적인 팀과 함께 전 세계 게임 팬들에게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디볼버디지털 홍보대행 미티어컴퍼니 이재원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김용린 06-12 23:34
마우저, TDK와 협력해 산업 자동화의 정밀성·속도·효율성 과제를 조명한 새로운 전자책 발간
최신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 (https://www.mouser.kr/)는 세계 최대의 전자부품 제조사 중 하나인 TDK (https://www.mouser.kr/manufacturer/tdk-corp/)와 협력해 첨단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 안전성, 지속가능성 과제를 조명한 새로운 인터랙티브 전자책 (https://www.mouser.kr/tdk-transforming-industries-ebook/)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효율성과 혁신을 촉진하는 현대 산업 기술(Modern Industrial Technologies: Driving Efficiency and Innovation) (https://www.mouser.kr/tdk-transforming-industries-ebook/)’이라는 제목의 이 전자책은 최신 산업 자동화와 로보틱스, 에너지 및 센서 기술 분야에서 끊임없이 증가하는 정밀성, 속도, 효율성에 대한 요구를 심층적으로 조명하고, TDK의 기술 포트폴리오를 통해 엔지니어들이 어떻게 이러한 과제를 극복할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본다. TDK 솔루션은 이미 다양한 산업 자동화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 전자책에서는 간단한 전압·전류 측정을 비롯해 복잡한 내비게이션 신호 분석 및 시스템 진단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자동화 작업에 필수적인 다양한 고려사항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또한 이 전자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TDK의 다양한 제품들도 소개하고 있다. ERUC23 SMT (https://www.mouser.kr/new/tdk/epcos-tdk-eruc23-flat-wire-inductors/) 플랫 와이어(flat wire) 커플링 인덕터는 플랫 와이어 권선과 무연 주석 도금 단자를 갖춘 자체 리드 구조를 기반으로 저손실 페라이트와 높은 포화 전류, 낮은 DC 저항 등의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48V 입력에서 12V 출력 하이브리드 컨버터와 듀얼 위상 벅, 부스트, 벅-부스트 컨버터에 적합하다. 또한 ERUC23 인덕터는 소형 패키지로 뛰어난 효율성과 낮은 리플을 제공하며, RoHS 규정을 준수하고, AEC-Q200 인증을 획득했다. B43659 (https://www.mouser.kr/new/tdk/epcos-tdk-b43659-capacitors/) 초소형 스냅인(snap-in) 커패시터는 뛰어난 신뢰성과 높은 리플 전류 처리 능력을 제공하며, 전원공급장치, 주파수 변환장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의료 기기 및 태양광 인버터 등에 적합하다. 매우 높은 CV 특성을 가진 이 제품은 스냅인 솔더 핀과 알루미늄 케이스가 특징이며, 2단자 및 3단자 버전으로 제공돼 정확한 설치를 보장한다. B43659 시리즈는 RoHS 규정을 준수하며, 정격 전압은 450VDC, 정전용량은 140µF~1030µF(허용 오차 ±20%) 범위로 제공되고, -40°C~+105°C의 온도 범위에서 동작한다. TDK의 자회사인 엡코스(EPCOS)의 피에조햅트(PiezoHapt™) (https://www.mouser.kr/new/tdk/tdk-piezohapt-powerhap-actuators/) 및 파워햅(PowerHap™) (https://www.mouser.kr/new/tdk/tdk-piezohapt-powerhap-actuators/) 액추에이터는 스마트폰 및 터치패드 디스플레이,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 컨트롤러, 가전제품, 산업용 장비 및 의료기기 등에서 사용자 동작에 대한 촉각(haptic)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이상적인 솔루션이다. 피에조햅트 액추에이터는 다층 압전 소자와 진동판으로 구성된 진동 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며, 파워햅 버전은 구리 내부 전극이 포함된 다층 압전판 구조를 갖추고 있다. 두 제품 모두 RoHS 규정을 준수하며, 작동 온도 범위는 -10°C~+60°C 또는 -40°C~+85°C이다. 플레클리어(FLECLEAR) (https://www.mouser.kr/new/tdk/tdk-fleclear-ag-stacked-film-sheets/) 은(Ag)-적층 필름 시트는 필름 기판 위에 얇고 투명한 전도성 은 합금층이 증착돼 있으며, 스마트 윈도와 같이 외부 광을 조절할 수 있는 윈도를 비롯해 유기 태양전지(organic photovoltaics, OPV),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조명,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의 투명 전극에 이상적인 솔루션이다. 새로운 인터랙티브 전자책은 https://www.mouser.kr/tdk-transforming-industries-ebook/ 에서 볼 수 있으며,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TDK의 모든 제품은 https://www.mouser.kr/manufacturer/tdk-corp/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우저가 제공하는 방대한 전자책 목록은 https://resources.mouser.com/manufacturer-ebooks/ 에서, 마우저의 모든 뉴스 및 주요 최신 제품 정보는 https://www.mouser.kr/newsro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가장 다양한 최신 반도체와 전자부품 및 산업 자동화 제품을 공급한다™. 마우저의 고객은 제조사가 생산해 출처 확인이 가능한 100% 정품을 구매할 수 있다. 마우저의 웹사이트에서는 고객이 더욱 빠르게 설계할 수 있도록 제품 데이터시트, 제조사별 레퍼런스 설계, 애플리케이션 노트, 기술 설계 정보, 엔지니어링 도구 및 기타 유용한 정보, 기술 지원 센터 (https://www.mouser.kr/technical-resources/) 등 광범위한 기술 지원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엔지니어는 마우저가 제공하는 무료 전자 뉴스레터를 통해 최신 업데이트된 흥미로운 제품,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뉴스를 계속 접할 수 있다. 마우저의 고객과 구독자는 각자의 고유한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따라 마우저의 이메일 뉴스 및 레퍼런스 구독을 맞춤화할 수 있으며, 다른 어떤 유통기업보다 더 많은 맞춤형 서비스와 제어 권한을 엔지니어에게 제공한다. 새로운 기술, 제품 동향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sub.info.mouser.com/subscriber-kr 에서 등록해 확인할 수 있다. TDK 소개 TDK (TDK Corporation)는 스마트 사회를 위한 전자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 선도 기업으로, 일본 도쿄에 본사를 두고 있다. 재료 과학 전문성을 기반으로 설립된 TDK는 ‘미래를 이끌다(Attracting Tomorrow)’라는 철학 아래 기술 발전의 최전선에서 우리 사회의 혁신을 적극적으로 선도하고 있다. TDK는 전자 및 자기 제품의 핵심 소재인 페라이트(ferrite)를 사업화하기 위해 1935년 설립됐다. TDK는 혁신적이고 방대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세라믹, 알루미늄 전해 및 필름 커패시터 등 다양한 수동 부품을 비롯해 자기, 고주파, 압전 및 보호 디바이스 등이 있다. 또한 온도, 압력, 자기, MEMS 등 센서 및 센서 시스템과 전원공급장치, 에너지 디바이스, 자기 헤드 등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TDK, 엡코스(EPCOS), 인벤센스(InvenSense), 마이크로나스(Micronas), 트로닉스(Tronics), TDK-람다(TDK-Lambda) 등의 브랜드로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TDK는 자동차, 산업, 소비가전, 정보통신 기술 분야 등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시장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아시아, 유럽, 북남미 지역에 걸쳐 설계 및 제조 시설과 세일즈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소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는 업계 선도적인 제조업체 파트너의 신제품 소개에 주력하는 공인 반도체 및 전자 부품 유통기업이다. 전 세계 전자 설계 엔지니어 및 구매자들을 위한 Mouser.com 웹사이트는 세계 다국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다양한 화폐로 거래되며, 1200개 이상의 제조사에서 생산되는 제품 680만 종 이상을 판매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전 세계 28개 서비스 센터를 운영하면서 223개 이상 국가/지역의 65만 명 이상의 고객들에게 현지 언어, 통화 및 시간대를 지원함으로써 업계 최고의 고객 서비스와 상품을 제공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대도시 지역에 9만2900㎡ 규모의 최첨단 물류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우저와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의 등록 상표며, 여기에 언급된 모든 제품, 로고, 회사명은 각 소유주의 고유 상표다. 언론연락처: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홍보대행 페리엔 박윤희 실장 02-565-66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김용린 06-12 23:34
바른북스 출판사, 에세이 ‘너머, 너에게 가는 길’ 출간
출판사 바른북스가 에세이 분야 신간 ‘너머, 너에게 가는 길’을 출간했다. ◇ 책 소개 육십을 훌쩍 넘었으니 인생 후반전이라 해도 무방하겠다. 누군가 젊음과 늙음 중, 과거와 현재 중 하나를 고르라면 나이 든 지금을 택할 것이다. 불확실한 날에도 너머를 상상했고, 흐릿한 미래일지라도 희망을 품었다. 그리고 너머를 넘었다. 아픔과 상처로 점철된 지난날이 있었기에 평온한 오늘이 더욱 감사하다. 작고 대수롭지 않은 일을 쓰고 그리며 한줌 여유를 갖는다. 뒷모습이 아름다워야 진정 아름다운 삶이라고 생각한다. 손에 쥔 것은 없지만 고요한 시간 속에서 그림과 글을 벗 삼아 담담하게 늙고 싶다. 그 마음을 담아 쓰고 그렸다. ◇ 저자 · 조일희 전북 전주에서 태어나 초, 중, 고를 다녔고, 대학 진학을 위해 스무 살에 상경했다. 학업을 마치고 직장을 다니고, 가정을 이루고 자식을 낳아 기르는 등 일련의 시간을 힘겹게 넘었다. 넘을 때마다 ‘너머’를 상상했다. 토지문학상과 웅진문학상을 수상했다. 작품집 ‘네가 내게 온 까닭은’, ‘너머, 너에게 가는 길’이 있다. ※ 이메일 : cih9426@naver.com ◇ 차례 나의 마음 우리 집 벽에 귀가 달려 있다 버스 안에서 오늘도 무사히 에브리씽 오케이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고독한 거리 두기 욕심은 나이도 안 먹나 영이 이야기 너머, 너에게 가는 길 낯선 곳, 낯선 일 그녀의 집 아이고, 어쩐다냐 나의 ‘코모레비’ 그대, 부러운가 어느 날 갑자기 가을무는 쓰다 여전히, 아무도 모른다 관계에 대하여 열대야 속에서 보름달을 보다 코끼리와 나 백선(白扇) 꿈, 꽃으로 피어나다 자수하여 광명 찾자 소란한 마음 곱슬버들 통로가 필요해 그림 글밭 상상 놀이와 메타버스 전지적 아이 시점 배웅 우리의 마음 ◇ 책 속으로 나는 대개 외톨이였다. 무리에 섞이지 않고 혹은 못하고 둔덕에 앉아 들판 저 멀리를 바라보았다. 더 자라서는 바람에 일렁이는 청보리밭 너머로 눈길을 보냈다. ‘너머’를 꿈꾸는 이의 시선은 불안하다. 해서 아련하다. - 본문 내용 중 ◇ 추천사 엄마의 작품을 전부 읽은 건 아니지만 전반적인 흐름과 느낌은 알고 있다. 때로는 너무 깊이가 있고 때로는 수사가 매우 화려하다. 어떤 글은 마냥 읽기 쉬워 즐겁고 어떤 글은 뼈저리게 슬픔이 가득하다. 또 어떤 글은 필력이 좋아 머리가 확 트이는 느낌이 든다. 이렇게 다양한 글 안에서 공통적으로 느낄 수 있었던 건 엄마의 어린아이 같은 순수한 마음과 외로움과 향수다. 그래서인지 엄마의 글을 읽으면 양 볼이 빨갛게 튼 시골 소녀가 담벼락 밑에서 능소화를 올려다보며 배시시 웃는 모습이 떠오른다. 그 웃음 속엔 뭔지 모를 설렘과 쓸쓸함이 동시에 있다. 글은 평생 남는다. 엄마가 쓴 글을 통해 엄마의 본질적인 모습을 간직할 수 있다는 건 유전자를 공유한 아들로서 큰 즐거움이자 축복이다. - 김영민, 성형외과 전문의 바른북스 소개 바른북스 출판사를 나타내는 첫 번째 단어는 ‘정직(Honesty)’이다. 투명한 과정과 결과를 통해 기본과 원칙에 충실하며 ‘믿고 맡길 수 있는 출판사’가 되기 위해 오늘도 노력한다. 꼼꼼한 편집, 퀄리티 있는 디자인부터 체계적인 유통 시스템까지 단계 있는 매뉴얼로 출판 과정을 개진한다. 두 번째 ‘신뢰(Trust)’는 바른북스와 저자 사이의 가장 근본이 되는 가치다. 사람 관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가치는 신뢰다. 고단한 출판 과정에서 비즈니스적 전문성도 중요하지만, 그 밑바탕에는 서로 간 굳건한 믿음이 깔려 있어야 한다. 바른북스는 저자와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도서 판매’를 기준으로 인세를 지급하고 있으며 책이 언제, 어느 서점, 어느 지점에서 판매됐는지 실시간으로 알아볼 수 있는 ‘도서 판매 현황’ 시스템을 구축했다. 세 번째 ‘창의(Creative)’는 원고의 내용을 최상으로 구현하고 독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바른북스 임직원들이 늘 마음에 새기는 가치다. 바른북스의 전문 아트 디렉터들은 철저한 출판 동향 분석과 회의를 통해 원고 특성은 물론, 트렌드에 부합하는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소중하게 제작된 도서가 독자의 손안에서 소통할 수 있도록 바른북스는 치열하게 고민하며 협업한다. 바른북스는 위 세 가지 경영 이념을 통해 독자에게는 오래 간직하고 싶은 책, 저자에게는 누군가의 서재에 꽂힐 수 있는 책을 만들고 있다. 1800명 이상의 저자와 인연을 나누고, 다양한 분야의 책을 출판하며 얻은 노하우는 단단한 기둥이 돼 출판의 미래를 선도한다. 늘 새로운 시각으로 트렌드를 살피고, 쌓아온 추억과 경험을 견고하게 다져 올리며 저자 한 명 한 명의 소중한 원고를 기다리고 있다. 꺼지지 않는 출판에 대한 열정은 열과 성으로 피어난 원고가 힘껏 만개해 ‘여러 번 펼쳐 보고 싶게 만드는 힘이 있는 책’으로 탄생할 수 있도록 온힘을 다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바른북스 김병호 대표이사 070-7857-971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이왕덕 06-12 23:3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숙명여자대학교와 손잡고 폭력 예방·아동돌봄·여성 경력 개발까지 다방면 지원
서울시여성가족재단(대표이사 박정숙)이 6월 12일 여성의 안전·아동돌봄·여성 경력 개발을 위해 숙명여자대학교(총장 문시연)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학 내 폭력 피해 예방·대응 △아동 돌봄 시스템 구축 △IT 분야 여성의 커리어 성장을 위한 기반 마련에 협력하기로 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안전한 대학 문화 조성을 위해 맞춤형 ‘찾아가는 폭력 예방교육’을 지원할 예정이며, 날로 다양해지고 지능화되는 디지털 성범죄의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디지털성범죄안심지원센터와 연계해 원스톱 피해지원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숙명여자대학교 내 관련 학과와 협력해 아동 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참여 대학생들에게는 실무 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에는 돌봄 사각지대를 실질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대학생-아동 돌봄 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숙명여자대학교 학생들에게 ‘우먼테크 교육 플랫폼’을 홍보함으로써 IT 분야에 관심 있는 2030 여성들의 참여를 독려할 예정이며, 졸업생 중 IT 분야에서 활동 중인 현직자를 추천받아 우먼테크 사업의 일환으로 역량 강화 세미나도 계획하고 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박정숙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은 숙명여대와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함께 폭력 예방과 대응, 아동돌봄 체계 구축, 여성의 경력 개발이라는 사회적 과제에 협력한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을 통해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소개 올해로 23주년을 맞은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여성·가족을 위한 일·돌봄·안전 지원 플랫폼으로서 양성평등 행복도시 서울을 실현하겠다는 기관의 미션과 비전 아래 저출생대응사업, 돌봄사업, 양성평등사업 등 여성과 가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울시의 경력단절 여성들이 다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을 위한 보육 환경과 서울시민의 안전한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여성·가족 안전 소통 공간인 ‘서울여성플라자’와 양육자의 일·돌봄 지원 공간인 ‘서울가족플라자’도 운영 중이다. 재단과 관련해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장지호 홍보 담당 02-810-503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이왕덕 06-12 23:34
ams OSRAM, 청색부터 적외선까지 광범위한 레이저 기술로 적용 분야 확대
지능형 센서 및 이미터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 기업인 ams OSRAM (https://ams-osram.com)(한국 대표 강석원, SIX: AMS)은 2025년 6월 24일부터 27일(현지 시간 기준)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Laser World of Photonics 전시회(부스 번호: A2 홀 32번)에서 로봇 공학 및 자동화를 위한 최신 레이저 혁신 기술을 소개한다고 밝혔다. 레이저는 로봇 공학과 자동화 모두에서 고정밀 거리 측정을 비롯해 물체 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BIDOS® P3435 Q BELAGO 1.2 도트 프로젝터 (https://ams-osram.com/products/lasers/ir-lasers-vcsel/ams-belago1-2-dot-pattern-illuminator-vcsel) 및 BIDOS® P2433 Q V105Q121A 850 플러드 일루미네이터(flood illuminator) (https://ams-osram.com/de/products/lasers/ir-lasers-vcsel/osram-bidos-p2433-q-v105q121a-850)와 같은 VCSEL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기반 제품은 3D 감지에 사용된다. 940나노미터 파장에서 작동하는 도트 프로젝터는 근적외선(near-infrared, NIR) 이미지 센서가 캡처하는 정밀한 도트 패턴을 생성하고 3D 맵을 계산할 수 있게 한다. 이는 ASV (Active Stereo Vision) 및 SL (Structured Light)과 같은 기술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3D 맵은 로봇이 주변 환경에 대한 고해상도 공간 인식을 가능하게 해준다. 850나노미터 투광 조명기는 균일한 조명을 통해 무인 운반차(Automated Guided Vehicle, AGV)의 핵심 요건인 ToF (Time-of-Flight) 애플리케이션에서 정확한 거리 측정 기능을 제공한다. ams OSRAM은 레이저 소스와 함께 ASV 및 SL 카메라 시스템용 이미지 센서, VCSEL 한 개와 여러 개의 포토다이오드를 단일 패키지에 통합한 dToF (direct ToF) 센서 모듈 등 다양한 호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 센서 외에도 다양한 이미터 및 광검출기 포트폴리오를 통해 개발자들의 시스템 설계에 더 큰 유연성을 선사한다. 청록색, 녹색, 청색으로 다양하게 작동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파장이 488나노미터인 청록색(cyan) 레이저 다이오드는 형광 염료를 효과적으로 자극해 의료 진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기술은 DNA 시퀀싱과 같은 생물학적 샘플의 정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300밀리와트의 출력을 제공하는 PLT5 488HB_EP 청록색 레이저 다이오드 (https://ams-osram.com/de/products/lasers/color-lasers-eel/osram-metal-can-to56-plt5-488hb-ep)는 이전 제품보다 최대 5배 더 밝아 효율성과 응용 범위를 크게 확장한다. 이 제품은 ±2나노미터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파장 제어 기능을 갖춘 다이오드로 형광 현미경에서 미세한 부분까지 가시성을 향상시켜 세포 구조 연구를 간소화한다. 또한 무대나 경기장 조명에 사용하는 색상 스펙트럼을 확장한다. 녹색 레이저 다이오드는 높은 시각적 인식과 정밀한 광 유도가 필요한 분야에서 특히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색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은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가장 민감한 범위에 속하므로 일광 조건이나 밝은 주변 환경에서의 측정 작업에 이상적이며, 건설 측량에서 정밀한 레이저 레벨링과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녹색 레이저는 물류 분야의 바코드 스캐닝과 같은 거리 측정 및 목표물 획득에서도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엔터테인먼트 및 프로젝션 산업에서는 클럽, 무대, 콘서트에 필요한 화려하고 시선을 사로잡는 조명 효과를 연출한다. 520나노미터 파장의 PLT5 520HB_P 녹색 레이저 다이오드 (https://ams-osram.com/products/lasers/color-lasers-eel/osram-metal-can-to56-plt5-520hb-p)는 콤팩트한 폼 팩터와 이전 제품보다 최대 18% 더 높은 130밀리와트의 광 출력으로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에서 향상된 효율을 제공한다. 청색 레이저는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의 변환 기능 덕분에 고전력 백색광은 물론 빨간색, 녹색, 주황색을 포함한 여러 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 이 기술의 응용 범위를 크게 확장한다. 455나노미터에서 작동하는 PLPT9 450LC_E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 (https://ams-osram.com/de/news/media-updates/introducing-the-new-high-efficiency-blue-laser-diode-with-455-nm-wavelength)는 콤팩트한 디자인에 5.5와트의 높은 광 출력을 결합하고 있다. 이 제품은 높은 전력 밀도로 인해 현미경, 대형 프로젝션 및 레이저 조각과 같은 재료 가공에 적합하다. 또한 계측 및 무대 조명에서도 널리 활용되며, 우수한 광학 성능을 갖춘 강력한 청색 빔을 제공한다. ams OSRAM은 레이저 기술 외에도 최신 세대의 적외선 LED인 OSLON® Black, SFH 4715B, SFH 4716B를 선보인다. 1mm² 칩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R:6 기술을 탑재한 이 적외선 LED는 일반 복사 전력 출력이 1050밀리와트이며, 이전 제품에 비해 최대 26% 더 밝다. 이러한 성능 향상을 통해, OSLON® Black 시리즈는 광학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켜 산업 및 소비자 환경 모두에서 광범위한 산업 자동화와 안전 분야에 이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레이저 기술 세부 정보: VCSEL 및 EEL을 갖춘 적외선 및 컬러 레이저 ams OSRAM의 광범위한 레이저 기술 포트폴리오는 뮌헨에서 열리는 Laser World of Photonics에서 주력 제품으로 소개된다. ams OSRAM의 레이저는 가시광선 스펙트럼(400~700나노미터)부터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빛 스펙트럼(700나노미터 이상)까지의 광범위한 파장을 포괄한다. 이러한 다양성 덕분에 폭 넓은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성능 솔루션 설계가 가능하게 해준다. ams OSRAM 레이저 포트폴리오는 VCSEL과 EEL (Edge-Emitting Laser)이라는 두 가지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VCSEL은 반도체 표면에 수직으로 빛을 방출하며 특히 모바일 기기, 산업 시스템 및 자동차 분야의 3D 감지에 적합하다. EEL은 반도체 가장자리를 따라 빛을 방출하며 재료 처리, 조명이나 LiDAR 시스템과 같이 고강도 또는 연속 작동이 필요한 분야에 이상적이다. 로봇 공학에서 의료 기술에 이르기까지, ams OSRAM의 레이저 포트폴리오는 복잡한 문제에 정확하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ams OSRAM은 레이저 기술의 끊임없는 개발과 혁신을 통해 이 중요한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다. ams OSRAM은 전 세계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에서 2000개 이상의 사용 중인 특허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업계에서 독보적으로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 PatentSight (https://www.lexisnexisip.com/solutions/ip-analytics-and-intelligence/patentsight), 2025년 3월 27일 ams OSRAM 소셜 미디어 채널: · 트위터 (https://twitter.com/amsOSRAM) ·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ams-osram/)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amsOSRAMDE/?brand_redir=130260033676526)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amsOSRAMofficial) ams OSRAM 소개 ams OSRAM 그룹(SIX: AMS)은 혁신적인 조명 및 센서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기업이다. 110년 이상 축적된 업계 경험을 바탕으로, ams OSRAM은 탁월한 엔지니어링 및 글로벌 제조 능력을 통해 최첨단 혁신에 대한 열정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조명, 시각화, 센싱 분야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기술 개발에 대한 ams OSRAM의 헌신은 자동차, 산업, 의료 및 소비가전 산업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끌고 있다. ‘감동적인 빛의 힘을 전하는 ams OSRAM (‘Sense the power of light’)’의 성공은 빛의 잠재력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이미터 및 센서 기술에 대한 독창적인 포트폴리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 세계 약 1만9700명의 직원들이 디지털화, 스마트 리빙, 지속 가능성 등 사회적 메가트렌드에 발맞춰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1만3000개가 넘는 특허 등록 및 출원이 이러한 우리의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오스트리아 프렘슈테텐/그라츠와 독일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는 ams OSRAM 그룹은 2024년에 총 34억유로를 훨씬 넘는 매출을 달성했으며, 스위스 증권거래소에 ams-OSRAM AG로 상장돼 있다(ISIN: AT0000A3EPA4).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를 참조하면 된다. ams와 OSRAM은 ams-OSRAM 그룹의 등록 상표이다. 이와 함께 많은 제품과 서비스가 ams OSRAM 그룹의 상표로 등록되거나 출원됐다. 여기에 언급된 기타 회사명과 제품명은 해당 소유자의 상표이거나 등록 상표일 수 있다. 언론연락처: ams OSRAM 홍보대행 페리엔 박윤희 실장 02-565-66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이왕덕 06-12 23:34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6 N’ 티저 이미지 공개
현대자동차가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6 N(아이오닉 식스 엔)’의 티저 이미지를 12일(목) 공개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고성능 세단 전기차의 등장을 예고했다. 티저 이미지를 통해 공개된 아이오닉 6 N은 대형 윙 스포일러와 함께 넓어진 펜더와 차체가 돋보인다. 이는 현대 N의 고성능 노하우를 담아 공기역학적 효율성과 역동적 운동 성능이 강조된 요소들로 고성능 세단에 걸맞은 낮고 넓은 스탠스를 강조한다. 현대 N의 3대 성능 철학인 코너링 악동(Corner Rascal), 레이스트랙 주행 능력(Racetrack Capability), 일상의 스포츠카(Everyday Sports Car) 기반으로 개발된 아이오닉 6 N은 경쾌한 코너링 성능과 뛰어난 한계 주행 내구성을 비롯해 일상을 넘나드는 고성능 주행 감성을 전달할 예정이다. 현대차 N매니지먼트실 박준우 상무는 “고성능 고객들의 취향을 한껏 반영한 아이오닉 6 N은 고객에게 차원이 다른 운전의 즐거움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현대 N의 기술력을 총망라해 완전히 새로워진 아이오닉 6 N은 고성능 전기 세단으로서 운전의 즐거움을 다시 한번 재정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오닉 6 N은 오는 7월 영국 굿우드 페스티벌 행사 현장에서 최초로 공개하며 글로벌 고성능차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계획이다. 한편, 현대차는 2023년 현대 N 최초의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을 출시하며 글로벌 고성능 전동화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급부상했으며, 한계를 뛰어넘는 압도적인 주행 성능을 기반으로 △‘2024 월드카 어워즈(2024 World Car Awards)’의 ‘세계 올해의 고성능차 부문(World Performance Car)’ 수상을 비롯해 △‘2024 대한민국 올해의 차’ △‘2025 중국 올해의 고성능 차’ 등 수많은 진기록을 세우며 글로벌 고성능 전동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현대자동차 커뮤니케이션센터 02-3464-858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이왕덕 06-12 23:34
마이원픽 5월 결산, 서울가요대상·ASEA 투표 성료… KT지니뮤직과의 협업 콘텐츠까지 선보여
코스닥 상장사 FSN의 자회사 두허브가 자사 글로벌 팬덤 플랫폼 ‘마이원픽(my1pick)’의 5월 결산 결과를 발표했다. 마이원픽은 K-POP과 K-드라마는 물론, 글로벌 셀럽을 아우르는 팬 참여형 투표 서비스를 기반으로 전 세계 팬과 아티스트를 연결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SBS 서바이벌 프로그램 ‘비 마이 보이즈’의 공식 팬 투표 플랫폼으로 참여하며, 오는 6월 14일 첫 방송을 앞두고 있다. ◇ 아시아 스타 엔터테이너 어워즈(ASEA) ‘아시아 스타 엔터테이너 어워즈(ASEA 2025)’가 지난 5월 28일부터 29일까지 이틀간 일본 도쿄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시상식은 K-POP 아티스트부터 배우, 트로트 가수까지 총 13개 부문에서 수상자를 발표하며 전 세계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특히 FAN CHOICE 부문은 당일 오후 7시 이전까지 실시간 팬 투표가 진행되며 마지막까지 긴장감 넘치는 접전이 펼쳐졌다. 에스파가 ‘ARTIST OF THE YEAR (대상)’와 ‘SONG OF THE YEAR (대상)’ 2관왕에 오르며 막강한 존재감을 입증했고, ‘ALBUM OF THE YEAR (대상)’는 엔하이픈에게 돌아갔다. ‘RECORD OF THE YEAR (대상)’는 아이들이, ‘PERFORMANCE OF THE YEAR’는 제로베이스원이 수상하며 각기 다른 장르와 퍼포먼스로 한 해를 빛낸 팀들이 주목을 받았다. ◇ 서울가요대상(SMA) ‘제34회 서울가요대상(Seoul Music Awards)’의 본선 투표가 6월 1일 자정 라이징스타 부문 결선 투표를 마지막으로 모든 부문 투표가 마무리됐다. 6월 3일 서울가요대상 조직위원회는 지난 1일 자정 마감된 라이징스타 부문 파이널 투표에서 그룹 비비업(VVUP)이 최종 1위를 차지했다며, 비비업은 오는 6월 21일 인천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열리는 제34회 서울가요대상 무대에 오르게 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한편 ‘제34회 서울가요대상’은 6월 21일 인천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개최될 예정으로, 팬들의 뜨거운 참여 속에서 각 부문의 최종 수상자들이 베일을 벗게 될 전망이다. ◇ KM차트 ‘KM차트’의 5월 선호도 조사에서는 △K-MUSIC (음원) 부문 투모로우바이투게더 ‘Love Language’ △K-MUSIC ARTIST (아티스트) 부문 투모로우바이투게더 △HOT CHOICE (인기) 부문 투모로우바이투게더·엔믹스 △ROOKIE (신인) 부문 투어스·유니스가 각각 부문 1위를 기록했다. ◇ 플렉스온 차트 ‘플렉스온 차트’의 5월 선호도 조사에서는 △BEST SERIES 부문 ‘지금 거신 전화는’ △POWER RANKING 부문 황인엽·채수빈 △BEST COUPLE 부문 정해인·정소민 △BEST POPULARITY 부문 변우석·김혜윤 △BEST OST 부문 석매튜, 박건욱(ZEROBASEONE) ‘BACK PACKER’가 각각 부문 1위를 기록했다. 현재는 6월 선호도 조사가 진행 중이며, 해당 결과는 코리아드라마어워즈(KDA)의 원천 데이터로 활용된다. ◇ 마이원픽 스테이지(m.stage) 마이원픽(my1pick)의 팬 투표 콘텐츠 ‘마이원픽 스테이지(m.stage)’가 5월 한 달간의 휴식기를 마치고, KT지니뮤직의 유튜브 콘텐츠 ‘지니오리지널’과 함께 새로운 브랜디드 콘텐츠 ‘from.X’를 선보인다. ‘from.X’는 팬 투표로 선정된 아티스트가 무대의 주인공이 되는 팬 참여형 콘텐츠로, 단순한 공연이 아닌 팬과 아티스트, 그리고 브랜드가 함께 만드는 메시지 중심의 콘텐츠로 기획됐다. 그간 ‘마이원픽 스테이지’는 팬들의 투표를 바탕으로 선정된 아티스트에게 딩고 라이브 출연 기회를 제공하며 팬과 아티스트가 함께 무대를 만들어가는 독창적인 콘텐츠로 호평을 받아왔다. 이번 협업을 계기로 무대의 주체를 팬 중심으로 확장하고, 콘텐츠 제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마이원픽 원픽차트 마이원픽은 주간투표를 통해 부문별 Top 10을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월간 차트인 원픽차트를 진행하고 있다. 5월 원픽차트 결과, △트로트 부문 영탁 △K-솔로 부문 BTS 진 △K-그룹 부문 포레스텔라 △트렌드 부문 파우·BINI △셀럽 부문 변우석 △GLOBAL 부문 BINI Maloi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 마이원픽을 운영하는 두허브의 이종은 대표는 “KT지니뮤직과의 협업으로 브랜드와 아티스트, 팬 모두가 연결되는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됐다”며 “무대 너머의 진심을 전달하는 ‘from.X’가 K-POP 팬덤 문화에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두허브 소개 두허브는 지난 2021년 12월 설립된 비즈니스솔루션 개발 및 공급업체다. FSN의 신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 중 하나로, 자체 플랫폼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서비스는 글로벌 KPOP 팬덤 플랫폼 ‘마이원픽’, 게임형 앱테크 ‘캐시플레이’, 보상형 광고 플랫폼 ‘포인트클릭’ 등이다. 언론연락처: 두허브 마케팅팀 최한빈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김용린 06-12 23:34
누림센터, 장애인 기회소득 발전을 위한 시군 담당 공무원 워크숍 개최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이하 누림센터)는 도-시군 간 공감 및 소통을 바탕으로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의 발전을 위한 장애인 기회소득 담당 공무원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6월 10일부터 11일까지 곤지암리조트에서 장애인 기회소득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사업의 성과 및 운영현황을 공유하고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워크숍은 실무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됐으며, △장애인 기회소득 성과 보고 및 우수 사례 발표 △사업매뉴얼 교육 △98만 유튜버 ‘위라클 박위’의 특강 △소진 예방 교육 등이 진행됐다. 특히 시군 담당 공무원들 간의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사업 개선 방안에 대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정주 누림센터장은 “이번 장애인 기회소득 공무원 워크숍이 사업의 질적 향상과 공직자의 업무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이 도민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복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 소개 ‘경기도 장애인 한 사람 한 사람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 지원하겠습니다.’ 누림센터는 장애인의 선택과 권리를 존중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동반자적 역할 수행과 경기도 장애인복지 발전에 미래를 열어가는 전문 기관이다. 경기도민의 다양한 복지 수요에 부응하고 복지서비스의 전문성을 증진해 내실 있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경기도에서 설립했다. 언론연락처: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 기획홍보부 최나리 과장 031-299-501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김용린 06-12 23:34
셀리드, 주주배정 유상증자 발행가액 4260원 확정… 약 358억원 조달
셀리드(코스닥 299660)가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발행가액이 4260원으로 확정됐다고 12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총 모집 금액은 약 358억원이다. 유상증자 구주주 청약은 6월 16일과 17일 이틀 동안 진행되며, 1주당 신주 배정 주식 수는 0.39804810주다. 구주주 청약 후 실권주가 발생할 경우 6월 19일과 20일 일반공모 청약을 진행한다. 구주주와 일반공모 청약 후 실권주가 발생할 경우 주관 증권사인 LS증권과 한양증권에서 전액 인수한다. 총 840만 주의 신주를 발행하며, 7월 7일 상장 예정이다. 셀리드는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 약 358억원을 코로나19백신 임상 3상 시험과 신규 변이주 대응 및 상업화, BVAC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비로 사용할 계획이다. 셀리드는 2024년 11월 COVID-19 예방백신의 임상 3상 시험 투여를 완료하고 최종 분석 결과 도출 및 LP.8.1과 같은 신규 변이주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AdCLD-CoV19-1 OMI’ 임상 3상 시험의 승인과 신규 변이주 대응에 집중해, COVID-19 예방백신의 상업화를 위해 이번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사용할 계획이다. 강창율 셀리드 대표는 “국내외 불안정한 경제 여건에도 약 358억원의 자금조달을 하게 됐다. 주주들의 소중한 재원을 지원받은 만큼 상업화를 앞당기기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셀리드 IR/재무팀 김민수 팀장 070-4193-410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김용린 06-12 23:34
‘인공지능 시대, K-콘텐츠 실전형 인재 키운다’ 콘진원, 뉴콘텐츠아카데미 장기과정 3기 교육생 모집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이하 콘진원)은 콘텐츠 산업계의 기술 수요에 부응하는 실무형 융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뉴콘텐츠아카데미 장기과정 3기’ 교육생을 오는 7월 25일까지 모집한다. 뉴콘텐츠아카데미는 기술 기반 콘텐츠 창·제작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 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국내외 선도기업과 유수 교육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산업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을 설계·운영하고 있다. 본 과정은 2년간 단계적으로 구성되며, 1년 차에는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직무 역량과 인공지능(AI) 기반 융복합 콘텐츠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제고하고, 2년 차에는 신기술 기업 인턴십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을 통해 커리어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지원한다. 생성형 인공지능 중심 실무교육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병행 3기 교육생은 기획(20명 내외), 개발(25명 내외), 아트(20명 내외) 등 총 65명 규모로 모집된다. 교육과정은 콘텐츠 제작 현장의 실질적 요구를 반영해 실무 능력과 신기술 운용 역량을 동시에 강화하는 방향으로 구성됐다. 첫 해에는 △언리얼 엔진 △블렌더 △돌비 애트모스 △캡컷 △미드저니 등 주요 툴 교육과 함께 △가상시각화 △버추얼 프로덕션 △이머시브 공간 △인터랙션 디자인 등 융복합 분야를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실습 중심의 심화 교육 모듈이 제공된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팀 단위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 과정이 포함돼 있다. 이는 뉴콘텐츠아카데미만의 차별화된 교육방식으로,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무 역량을 배양한다. 글로벌 실무 프로젝트 중심의 경력 설계 등 다양한 교육생 혜택 제공 2년 차 교육과정에서는 1년 차의 직무 전문성을 기반으로 △신기술 콘텐츠 선도기업 연계형 인턴십 △국내외 대학 협력 공동 프로젝트 △퍼실리테이터 기반 자율 팀 프로젝트 등이 추진된다. 모든 프로젝트에는 산학 전문가의 맞춤형 멘토링이 수반되며, 진로 설계 및 취·창업 연계를 위한 1:1 컨설팅도 병행된다. 또한 모든 교육생에게 △교육비 전액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교육 바우처 △최신 장비(워크스테이션 등) 및 전용 학습공간 등을 지원한다. 1년 차 우수 교육생을 대상으로는 △해외 단기연수 프로그램 및 국제 전시·행사 참관 △글로벌 기업 탐방 기회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7월 2일 모집설명회 개최, 3기 커리큘럼 및 선발절차 등 안내 콘진원 유현석 원장직무대행은 “생성형 인공지능을 비롯한 신기술이 콘텐츠 제작 환경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현시점에서 뉴콘텐츠아카데미는 창의성과 기술 역량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이번 3기 교육과정을 통해 인공지능 시대 콘텐츠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미래 핵심 인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는 7월 2일(수) 서울 홍릉 콘텐츠인재캠퍼스에서 ‘뉴콘텐츠아카데미 장기과정 3기’ 모집설명회가 개최된다. 본 설명회에서는 커리큘럼, 프로젝트 운영 및 졸업생 취업 사례 등이 소개되며,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될 예정이다. 교육 신청은 7월 25일 오후 2시까지 뉴콘텐츠아카데미 공식 누리집 (https://www.ncakocca.kr)에서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정보는 콘진원 누리집 (https://www.kocca.kr) 또는 에듀코카 (https://edu.kocca.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뉴콘텐츠아카데미 운영사무국 소개 뉴콘텐츠아카데미는 신기술 콘텐츠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 학교 및 유관 기관들의 교육과정 직접 참여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콘텐츠 산업에 실제로 필요한 융합인재를 양성하고 산업의 미래를 혁신한다. 교육생들의 희망 진로를 기반으로 개별 커리어에 맞는 교육을 제공해 자신만의 커리어를 위한 맞춤형 학습을 설계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뉴콘텐츠아카데미 운영사무국 이상아 팀장 02-361-152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이왕덕 06-12 23:34
말레이시아·태국·일본, 2030년까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데이터센터 개발 속도 선도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14개 주요 데이터센터 시장을 대상으로 자본시장과 투자 흐름을 종합 분석한 첫 번째 ‘아시아 태평양 데이터센터 투자 환경 보고서(Asia Pacific Data Centre Investment Landscape)’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말레이시아가 2030년까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인구 대비 데이터센터 용량(MW) 개선 속도가 가장 빠를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과 일본이 각각 두 번째, 세 번째로 빠른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보고서에 의하면 말레이시아의 현재 메가와트당 인구 수는 약 6만 명 수준이지만, 2030년까지 약 1만4000명 수준으로 낮아져 약 80% 개선될 전망이다. 그동안 싱가포르의 대체지로 인식되던 말레이시아는 최근 빠른 개발 속도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데이터센터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쿠알라룸푸르를 중심으로 한 국내 수요와 조호르 지역을 거점으로 한 AI 및 클라우드 기반의 역내 수요를 모두 충족하며 동남아시아의 주요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태국의 신흥 데이터센터 시장은 현재 메가와트당 인구 수 약 80만 명에서 2030년까지 약 22만 명 수준으로 약 70% 개선될 전망이다. 비록 현재 가동 중인 데이터센터 용량은 89MW에 불과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에서 가장 낮은 편이지만, 2024년 하이퍼스케일러 투자 계획 발표 이후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일본 역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메가와트당 약 9만4000명 수준인 인구 수는 2030년까지 약 3만 명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세 번째로 빠른 성장 속도다. 정치적 안정성과 높은 소득 수준, 대규모 인구, 세계 4위의 국내총생산(GDP) 등 견고한 경제 기반을 바탕으로 일본은 글로벌 자본이 꾸준히 주목하는 핵심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보고서의 저자이자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아시아 태평양 데이터센터 그룹 인사이트·분석 부문 총괄 프리테시 스와미(Pritesh Swamy)는 “대부분의 아시아 태평양 시장은 데이터센터 인프라가 여전히 크게 부족한 상황으로, 메가와트당 평균 인구 수가 35만 명을 넘는 반면, 미국은 약 3만 명 수준에 불과하다. 해당 수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각국이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에 발맞춰 인프라 확충에 적극 나서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인구 요인 외에도 임대 수익 전망, 수익률, 자본 지출, 개발 수요, GDP 성장률 등 투자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들을 함께 분석했다. 스와미는 “데이터센터 산업의 성장은 인구뿐 아니라 경제 성숙도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GDP가 1조달러를 넘는 국가들이 향후 3~5년간 주요 성장 거점으로 자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본 보고서는 급성장하는 데이터센터 산업의 투자 동향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뒀으며, 주요 분석 항목은 다음과 같다. · 메가와트당 인구 수 · 국내총생산(GDP) 및 지역 수요 · 미국의 아시아 태평양 직접 투자 · 자본지출 요건 · 임대 수익 및 캡레이트 추정치 · 수익률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소개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뉴욕증권거래소: CWK)는 전 세계 60개국 400여 개 지사에서 약 5만2000명의 전문가들을 둔 부동산 소유주들과 임차인들을 위한 선도적인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서비스 회사다. 2024년 부동산 임대, 투자자문, 밸류에이션 등 핵심 서비스 부문에서 94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또한 ‘Better never settles’ 기업 문화를 통해 수많은 업계 및 비즈니스 표창을 받았다. 자세한 정보는 본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 BDS 박현아 이사 02-3708-888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이왕덕 06-12 23:33
안양시관악장애인종합복지관, 개관 30주년 기념식 성료
성민원(이사장 권태진 목사)이 안양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 중인 안양시관악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박용구)은 지난 6월 11일 개관 30주년을 맞아 기념식을 개최했다. 1995년 안양시 최초의 장애인종합복지관으로 문을 연 안양시관악장애인종합복지관은 이번 기념식에서 ‘함께 나눈 30년, 같이 꿈꾸는 100년’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난 세월을 돌아보고, 성민원과 군포제일교회를 비롯한 유관 기관, 후원자, 자원봉사자 및 이용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권태진 성민원 이사장, 최대호 안양시장, 박준모 안양시의회 의장, 강득구·민병덕 국회의원을 비롯해 관내외 복지기관장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기념식은 송암어린이합창단(군포제일교회)의 축하 공연을 시작으로 개회선언, 국민의례, 내빈소개, 유공자 및 장기근속자 표창, 기념사, 축사, 격려사, 기념영상 시청, 비전 선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됐다. 안양시관악장애인종합복지관 박용구 관장은 “복지관이 최우수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헌신적인 직원들과 지역사회의 아낌없는 도움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더 깊이 섬기고, 넓게 나누며, 진실하게 사랑하겠다”고 말했다. 성민원 이사장인 권태진 목사는 “2012년부터 복지관을 운영하며 여러 가지 도전과 변화 중에도 한 생명, 한 영혼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며 묵묵히 걸어왔다”며 “하나님의 보호하심에 영광을 돌리고 함께해준 모든 이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소중한 30년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오늘이 있기까지 쌓아온 가치들이 앞으로도 더욱 빛을 발하고, 복지관이 언제나 희망과 가능성이 피어나는 공간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복지관은 이날 기념식과 함께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실천모델’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도 개최했으며, △6월 18일 안양시택시기사선교회와 함께하는 중증장애인 나들이 △6월 19일 부모회 나들이 △6월 28일 안양시 장애인가족 체육페스티벌 등 다양한 기념행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성민원은 1998년 군포제일교회 부설 사회복지기관으로 설립돼 27년간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을 위한 전문적인 복지 서비스를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실천해 오고 있다. 성민원 소개 사단법인 성민원은 1998년 군포제일교회 부설기관으로 설립됐다. 예수 그리스도의 아가페 사랑을 실천하며, 창조주의 뜻을 따라 사람을 사랑하며 섬김, 나눔으로 좋은 환경을 만들어간다.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필요한 모든 곳에 전문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며 4차원의 복지를 지향해 영육이 행복한 복지패러다임을 선도한다. 세상의 빛과 소금으로서 종교와 빈부, 인종을 초월해 세계 속에 희망을 심는 사명을 감당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성민원 기획홍보팀 서다은 031-397-205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포토슬라이드1 / 4
뉴스
-
부산 최초 클래식 전용 공연장 '부산콘서트홀' 첫 공개!!
소비자불만119=유인옥/기자] 2.17. 14:00 박형준 시장, 클래식부산 정명훈 예술감독, 클래식부산 박민정 대표, 부산콘서트홀 대공연장에서 기자간담회 개최… '부산콘서트홀 최초 공개'개관 페스티벌 프로그램, 기획공연 등 부산콘서트홀의 다양한 프로그램도 함께 소개 예정 부산시 클래식부산은 오는 6월 20일 개관하는 부산 최초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인 '부산콘서트홀'과 개관 페스티벌 프로그램을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부산콘서트홀'은 부산시 클래식부산이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대공연장(2,011석)과 소공연장(400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최적의 클래식 공연을 위한 다양한 설비는 물론, 접근성이 좋은 부산시민공원 내 위치해 개관 이후에는 부산시민들이 '열려있는 공연장'을 자유롭게 누릴 수 있게 된다. 특히, 부산콘서트홀이 개관하게 되면 비수도권 최초의 파이프오르간(파이프 수 4,406개. 스탑 수 62개)*이 설치된 공연장이 될 전망이어서 부산시민들과 음악 애호가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파이프오르간: 파이프오르간은 파이프와 음색버튼(스탑)를 조합하여 오케스트라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음색을 가지고 있어 ‘악기의 제왕’으로 불림 2,011석의 대공연장은 비수도권 최대규모이면서도, 포도밭(빈야드) 형태로 구성돼 시각적인 아름다움도 동시에 추구한 것이 특징이다. 이 외에도 최적의 음향 구현을 고려한 객석 의자, 앙상블 음향 반사판, 무대 하부 자동화 시스템 등 세세한 부분까지 클래식 공연에 최적화된 환경을 구성했다. 클래식을 보다 가까이'… 부산콘서트홀 정식 개관을 기념해 6월 20일부터 6월 28일까지 진행되는 '개관 페스티벌 프로그램'은 정명훈 초대 예술감독의 지휘 아래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이며 관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첫 무대(6. 20.)에서는 정명훈 예술감독이 직접 지휘봉을 잡는다. 사야카 쇼지(바이올린), 지안 왕(첼로) 등이 참여하여 베토벤의 대표적인 곡들인 ‘삼중 협주곡’, ‘합창 교향곡’을 선보일 예정이다. 챔버시리즈는 피아니스트 조성진 리사이틀(6. 22.), 선우예권(6. 23.), 정명훈(6. 25.)이 공연한다. 조성진은 베토벤과 브람스의 소나타를 연주하는 피아노 독주 무대를, 선우예권과 정명훈은 APO** 수석 단원들과 함께하는 실내악 연주를 준비한다. APO(Asia Philharmonic Orchestra) : 이번 부산콘서트홀 개관을 위해 세계적인 교향악단에서 활동 중인 아시아 단원들을 섭외하여 구성한 오케스트라 바이올리니스트인 이구데스만과 피아니스트 주형기는 수려한 클래식에 유쾌한 유머를 더한 독특한 공연(6. 22.)을 준비하고 있으며, 오르가니스트 조재혁의 ‘오르간 리사이틀(6. 24.)’에서는 파이프오르간의 풍성한 음향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마지막 공연(6. 27.~6. 28.)으로 베토벤의 유일한 오페라 작품인 ‘피델리오’를 준비한다. ‘피델리오’는 불의한 현실에 맞서 정의를 실현하는 대서사시로 부산시립합창단과 국립합창단, 그리고 테너 에릭 커틀러, 소프라노 흐라추히 바센츠, 손지훈 등 국내외 정상급 성악가들이 참여한다. 개관 페스티벌 프로그램' 티켓 예매는 클래식부산 누리집(classicbusan.busan.go.kr)을 통해 가능하며 티켓 판매는 추후 공지할 예정이다. 기타 문의 사항은 클래식부산 공연기획팀(051-640-8822)으로 하면 된다. 한편, 지난해(2024년) 7월 출범한 '클래식부산'은 세계적인 지휘자 정명훈 예술감독과 함께 '클래식 문화도시 부산'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클래식부산’은 부산콘서트홀과 부산오페라하우스(2027년 개관예정)를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두 대형 공연장은 향후 지역문화를 대표할 상징물(랜드마크)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민정 시 클래식부산 대표는 “부산콘서트홀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공연뿐 아니라 자연 속에서 즐겁고 편안하게 음악을 즐기고 배우는 공간이 될 것이다”라며 “또한, 국내외 클래식 음악계에 새로운 장을 펼칠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부산오페라하우스(2027년 개관 예정)와 함께 국내 클래식 음악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부산 콘서트 홀 기자 간담회 콘서트 홀 대 공연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