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7-27(목)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뉴스 검색결과

  • METI will hold GGX x TCFD Summit
    From 10:00 on October 2 (Mon.), the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METI) will hold the Global Green Transformation (GGX) Conference and the TCFD Summit, which until now have attracted participation from a wide range of sectors including global industry, finance, governments, regulato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ill be held jointly. In order to further develop discussions on transition finance, avoided emissions, industry decarbonization, and other topics related to how business and finance contribute to decarbonization, the event will promote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business, and financial sectors, and hold discussions to lead the international rule-making process to achieve both emission reductions and economic growth. · Outline of Global Green Transformation (GGX) Conference and the TCFD Summit Date: October 2nd, 2023 10:00-17:00 (JST) Organizer: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METI) Co-organizer: TCFD Consortium, The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 Format: Hybrid (On-Site and On-Line) Web Site: https://tcfd-summit.go.jp/indexEn.html · Online Registration Online Registration Site: https://jcs.eventsair.com/ggxtcfd2023/attendeereg/Site/Register *Registration deadline: Oct 1st (Sun.) (JST, GMT+9:00) · Program - Opening Remarks HATAKEYAMA Yojiro (Director-General, Industrial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 Policy Bureau,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TOKURA Masakazu (Chairman, Keidanren (Japan Business Federation)) KATO Masahiko (Chairperson, Japanese Bankers Association) David Atkin (CEO,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PRI)) - Keynote Speech 1 Gianluigi Benedetti (Ambassador, Embassy of Italy in Tokyo) - Panel Discussion 1 “Towards Net-Zero Society ~Industrial Decarbonisation~” What efforts are needed towards creating a “Green Market” to accelerate industrial decarbonization, focusing on the creation of demand? [Moderator] Peter Bakker (President and CEO,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 [Panelist] Nancy Gillis (Program Head, First Movers Coalition, World Economic Forum) Rana Ghoneim (Chief, Energy Systems and Industrial Decarbonization Unit, 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 TEZUKA Hiroyuki (Fellow, Executive, JFE Steel Corporation) MITA Noriyuki (Vice President, Sustainability Department, Mitsubishi Chemical Group Corporation *After October 1st) KOBAYASHI Izuru (Deputy Director-General for Environmental Affairs,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 Panel Discussion 2 “Solution Provider and Avoided Emissions” Companies are increasingly expected to provide solutions to social challenges. What is the potential of the idea of “avoided emissions” to evaluate a company's contribution to decarbonization of the society as a whole by providing solutions? [Moderator] HAYASHI Reiko (Director and Deputy President, BofA Securities Japan Co., Ltd.) [Panelist] Jason Mortimer (Head of Sustainable Investment - Fixed Income, Investment Department - Global Solutions, Nomura Asset Management) UEHARA Hirotoshi (Executive Officer, Quality & Environment, CS, Panasonic Operational Excellence Co., Ltd.) HIRUTA Takako (Country Leader, CS&Q, Schneider Electric Japan, Inc) - Keynote Speech 3 Emmanuel Faber (Chair, ISSB) MIYAZONO Masataka (President, Government Pension Investment Fund) MIZUNO Hiromichi (Founder And CEO, Good Steward Partners, LLC) - Panel Discussion 3 “Future of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As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rapidly expand, what efforts are needed going forward? How can disclosure promote transition finance? [Moderator] NAGAMURA Masaaki (Fellow, International Initiatives, Tokio Marine Holdings, Inc.) [Panelist] Alex Michie (Head of Secretariat, GFANZ) IKEDA Satoshi (Chief Sustainable Finance Officer, Strate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Bureau, Financial Services Agency) ISHIKAWA Tomohiro (Chief Regulatory Engagement Officer, Corporate Planning Division, Mitsubishi UFJ Financial Group (MUFG)) KITAGAWA Keiko (General Manager, Sustainability Promotion Unit, Global Investor Relations Group, Finance Strategy and Planning Division, JERA Co., Inc.) - Keynote Speech 4 Mary Schapiro (Head, The TCFD Secretariat) ITO Kunio (Chair, The TCFD Consortium) - Panel Discussion 4 “Further Promotion of Transition Finance” As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finance grows globally, what efforts are needed to further promote investments toward decarbonization of corporates and the private financing towards them? [Moderator] KIHARA Shinichi (Director General for International Policy on Carbon Neutrality,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Panelist] Nicholas Pfaff (Deputy Chief Executive, Head of Sustainable Finance, International Capital Market Association) Sean Kidney (CEO, Climate Bonds Initiative) Eila Kreivi (Director, Chief Sustainable Finance Advisor, Secretariat General, European Investment Bank) KUBOTA Nobuhiko (Managing Executive Officer, General Manager of Technology & Intelligence Integration, IHI Corporation) - Closing Remarks Peter Bakker (President and CEO,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 *The above programs and speakers may be subject to change at the discretion of the organizer.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7620291/en/ 언론연락처: GGX x TCFD Summit Secretariat GGX x TCFD Summit 2023 Registration Desk E-mail: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지구촌
    2023-10-02
  • 앵글리케어SA, 부미를 통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 기반 구축
    지능형 연결 및 자동화 선도기업인 Boomi™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boomi.com%2F&esheet=53554870&lan=en-US&anchor=Boomi%26%238482%3B&index=1&md5=9f0678459098512375f3fe83d20f5fb6)는 비영리단체(not-for-profit, NFP)인 앵글리케어SA(AnglicareSA)가 부미 플랫폼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boomi.com%2Fplatform%2F&esheet=53554870&lan=en-US&anchor=Boomi+Platform&index=2&md5=1d34b1662f36b37956c204bd56ed1768)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중앙 집중화하고 이 단체가 지원하는 주민 6만 2,500명의 요구 사항을 더 잘 이해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앵글리케어SA는 150년 넘게 주택, 국가장애보험제도(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 NDIS) 서비스, 원주민 서비스, 노인 돌봄, 위탁 보호, 긴급 지원, 재정 상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남호주 주민들에게 제공해 왔다. 이를 위해서는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 전반에서 연결되지 않은 데이터가 포함된 수십 가지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실행해야 했다. 여러 옵션을 평가한 후 앵글리케어SA는 기술 투자를 통합하고 1,800명의 직원과 자원봉사자에게 필요할 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부미 플랫폼을 선택했다. 앵글리케어SA의 애플리케이션 지원 관리자인 브렛 로우(Brett Rowe)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다양한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데, 서로 통신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시스템들이었다. 이 때문에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했고, 우리에게 의존하는 주민들을 이해하기가 어려워졌다”며 “부미가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 통합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안정적인 기반 역할을 하여, 우리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남호주 주민의 고유한 요구 사항에 맞게 서비스를 맞춤화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앵글리케어SA는 부미의 통합 서비스형 플랫폼(iPaaS)을 사용하여 테크놀로지원(TechnologyOne) 전사적 자원 관리(ERP), 세일즈포스 루마리(Salesforce Lumary), 래피드 글로벌(Rapid Global) 인력 관리 소프트웨어, ELMO의 인적 자원(HR)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소프트 액티브디렉터리(Microsoft ActiveDirectory)와 SQL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하여 비즈니스에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한다. 부미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실력이 향상된 앵글리케어SA의 애플리케이션 팀은 이제 내부적으로 통합을 개발하고 관리하여 비용을 크게 줄이고 있다. 앵글리케어SA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통합 서비스를 대체하기 위해 부미를 선택했으며, 그 과정에서 유지 관리 및 지원이 어려운 것으로 입증된 복잡한 포인트-투-포인트 통합을 제거했다. 로우는 “부미 플랫폼의 로우코드 아키텍처 덕분에 통합 속도가 30% 넘게 빨라졌으며, 더 많은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이 비즈니스에 도입됨에 따라 통합 기능을 쉽고 빠르게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면서 “이전에는 한 달 이상 걸리던 일부 프로젝트가 이제는 일주일 만에 완료된다”고 말했다. 로우는 “게다가 부미 플랫폼의 성숙으로 더욱 풍부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통합을 처리할 수 있어서 이전에는 지원에 사용하던 자금을 커뮤니티 서비스에 재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 2023년 초에 부미를 도입한 이후 우리는 더욱 민첩해져서 비즈니스와 직원의 요청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으며 팀이 수동 데이터 입력과 복잡한 통합 문제를 해결하지 않아도 된다”고 덧붙였다. 부미의 호주 및 뉴질랜드 디렉터인 네이선 고워(Nathan Gower)는 “각 세부사항이 모두 중요한 이 분야에서 케어 프로그램 담당자는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디지털 시스템이 풍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함을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며 “부미로 전환한 후 앵글리케어SA는 주민들의 요구 사항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IT 팀은 복잡한 통합을 뒤로 하고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고 밝혔다. 추가 리소스 · 글로벌 고객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boomi.com%2Fcustomers%2F&esheet=53554870&lan=en-US&anchor=Customers&index=3&md5=7b2dcfab00519400178481101955bcea) 의견 듣기 · 부미 살펴보기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discover.boomi.com%2F&esheet=53554870&lan=en-US&anchor=Boomi+Discover&index=4&md5=9ceaab17618a2ab98d211347a1caa6af)에서 솔루션 찾아보기 · 부미버스 커뮤니티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community.boomi.com%2Fs%2F&esheet=53554870&lan=en-US&anchor=Boomiverse+Community&index=5&md5=f0acadb6ea0940eec667e992009a17f9)(Boomiverse Community) 살펴보기 · 부미 팔로우: Twitter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twitter.com%2Fboomi&esheet=53554870&lan=en-US&anchor=Twitter&index=6&md5=ea1fe9e5441766ff36b8cc8c5ac6e28b),LinkedIn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linkedin.com%2Fcompany%2Fboomi-inc%2Fmycompany%2F&esheet=53554870&lan=en-US&anchor=LinkedIn&index=7&md5=b4e7083d77b45459c1a7e828b65b624a), Facebook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facebook.com%2FBoomi.Official&esheet=53554870&lan=en-US&anchor=Facebook&index=8&md5=fc63ef4b26c1bce848d2fe9f2739d3cf), 및 YouTube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www.youtube.com%2Fchannel%2FUC-fOKB8hDOYHdf1j47mKQMw&esheet=53554870&lan=en-US&anchor=YouTube&index=9&md5=ab4096472ef925540adf717bca758377) 부미 소개 부미의 목표는 모든 사람을 어디서나 모든 것에 연결시킴으로써 세상을 더욱 좋은 곳으로 만드는 것이다.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형 통합 플랫폼(iPaaS)의 개척자이자 지금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부문을 세계적으로 선도하는 회사인 부미는 통합 플랫폼 공급사들 중 가장 많은 고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액센추어(Accenture), 캡제미니(Capgemini), 딜로이트(Deloitte), SAP 및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를 비롯해 전 세계에 약 800개의 파트너 네트워크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artlink&url=https%3A%2F%2Fboomi.com%2Fpartners%2F&esheet=53554870&lan=en-US&anchor=800+partners&index=10&md5=350a475da89ad3168b727a03a8a63b58)를 보유하고 있다. 국제적인 조직들이 데이터를 발견, 관리 및 조직하기 위해 부미의 탁월한 플랫폼을 찾고 있으며 보다 나은 결과를 신속히 얻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및 사람들을 연결시키고 있다. 웹 사이트: http://boomi.com © 2023 Boomi, LP. Boomi, ‘B’ 로고, 및 Boomiverse는 Boomi, LP 또는 그 자회사나 계열사의 상표이다. All rights reserved. 다른 명칭과 마크는 해당 소유주들의 상표일 수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54870/en 언론연락처: 부미 자스민 이(Jasmine Ee) 미디어 및 애널리스트 관계 책임자, APJ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10-02
  • 안랩, 추석 유관 키워드 사용한 다양한 주제의 피싱 문자 주의 당부
    안랩(대표 강석균)이 추석 연휴를 앞두고 ‘추석’ 키워드를 사용한 다양한 주제의 피싱 문자를 발견해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안랩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탐지 및 판별한 피싱 문자 데이터에서 분석한 결과, 최근 추석을 앞두고 △생계지원자금 △이벤트 당첨 △택배 등 관련 키워드를 악용한 피싱 문자가 활발하게 유포 중인 것을 확인했다. 안랩 인공지능팀 류상욱 연구원은 “모바일 사용량이 높은 추석 연휴에는 추석과 연관된 키워드를 활용한 다양한 피싱 문자가 발견되고 있다”며 “피싱 문자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사용자는 문자의 출처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고,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문자메시지 내 URL이나 첨부파일은 절대로 실행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 ‘생계지원자금’ 키워드 안랩은 먼저 ‘추석 안정대책발표 생계지원자금 접수 안내’라는 내용의 피싱 문자를 탐지했다. 공격자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추석 생계지원자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라며, ‘한도 소진으로 모집이 마감되기 전 접수를 신청하라’는 내용을 본문에 작성했다. 하단에는 지원 내용 및 접수 기간 등 상세 내용을 안내했으며, 접수를 위해서는 1:1 채팅으로 문의하라며 카카오톡 아이디를 적어 메신저로 연락을 유도했다. 사용자가 속아 메신저를 보내면, 공격자는 대화 과정에서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악성 URL을 전송해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할 것으로 추정된다. ◇ ‘추석 이벤트 당첨’ 키워드 추석 대목을 맞아 다양한 업계에서 이벤트도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가운데, ‘추석 이벤트’ 상품이 당첨됐다는 내용으로 사용자를 속이는 피싱 문자도 발견됐다. 공격자는 특정 유명 백화점 이름을 사칭해 당첨을 확인하고 상품을 교환하라는 내용 혹은 당첨 상품권을 증정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악성 URL과 함께 전송했다. 사용자가 속아 무심코 URL에 접속하면 사용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 주소 등 다양한 개인정보 입력을 유도하거나 개인정보 탈취 등을 위한 다양한 악성 앱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 ‘추석 택배’ 키워드 명절 선물 배송 등으로 택배 물량이 많은 추석 연휴에는 ‘택배’ 키워드를 활용한 피싱 문자도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안랩이 이번에 발견한 피싱 문자에서 공격자는 특정 택배 업체를 사칭해 추석 물량 증가로 배송이 지연되고 있으니 배송 일정을 확인하라며 사용자가 본문의 악성 URL에 접속하도록 유도했다. 사용자가 악성 URL에 접속하면 배송 조회 페이지로 위장한 피싱 페이지가 나타나며, 사용자의 주소/이름/전화번호 등 개인정보를 탈취를 시도한다. 현재 ‘안랩 V3 모바일’에서 인공지능 기술(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스미싱/피싱 문자를 탐지하고 있다. 안랩의 차세대 TI(Threat Intelligence) 플랫폼 ‘안랩 TIP’에서는 해당 악성 문자에 사용된 데이터 및 악성 URL·앱 등 해당 공격과 연관된 IOC(Indicators of Compromise, 침해지표)를 제공하고 있다. 피싱 문자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메시지 내 URL/첨부파일 실행금지 △앱 다운로드 시 구글플레이 등 정식 앱 마켓 이용 △앱 설치 시 요구하는 권한 확인 △스마트폰에 V3 모바일 시큐리티 등 모바일 백신 설치 등 필수 보안 수칙을 실천해야 한다. 언론연락처: 안랩 커뮤니케이션팀 진희원 사원 031-722-757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극단 학교에 연극을 심는 사람들, 연극 ‘엄마에게 하지 못한 말’ 공연
    극단 학교에 연극을 심는 사람들(대표 곽수정)에서 치매 예방 연극 ‘엄마에게 하지 못한 말’을 10월 3일(화)~8일(일) 오전 11시, 오후 3시, 8시 총 18회 공연으로 대학로 스카이 씨어터 2관에서 공연한다. 이 작품은 100세 시대를 맞이해 우리 곁의 많은 가정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삶에 대한 트라우마와 함께 쌓여가는 치매 현상에 대해 ‘고마워요’, ‘사랑해요’, ‘참 예뻐요’라는 언어 사용과 함께 치매 환자에게 어떻게 다가가고 어떠한 방식으로 돌봄을 행할 것인가를 제시함으로써 ‘가족 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만드는 연극이다. 이 작품의 줄거리는 왕년의 오 시스터즈 멤버였던 오 순정이 70세 생일을 맞이해 집 밥만 고집하는 남편 만호와 아들 태민, 딸 미령과 저녁 식사를 하던 중 치매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시작된다. 딸 미령은 엄마에게 평소 다정하고 세심하게 돌보지 못했다는 자책을 느끼며 요양 병원 원장과 함께 병원을 돌아본다. 연출을 맡은 극단 학교에 연극을 심는 사람들 곽수정 대표(대학로중견연기자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는 본 공연의 주 관객층을 어르신과 모녀 관객으로 정하고, “우리가 인생을 살아 오면서 치매라는 사건을 겪을 때 이미 늦었다는 생각보다는 이제부터 가족 간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를 새로이 규정하고 위로하고 희망을 얻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연극의 주제를 빗대 “일상 생활 속에서 우리의 가족과 이웃에게 고마워요, 사랑해요, 참 예뻐요라고 자주 말한다면 치매 환경은 조금 더 멀어질 것”이라고 연출 소감을 밝혔다. 연극 ‘엄마에게 하지 못한 말’은 한국메세나협회의 예술 지원 매칭 펀드 선정 작품으로 극본은 국민성, 연출은 곽수정이 맡았다. 오전 11시와 오후 3시 공연의 출연진은 장귀복, 박주원, 김순이, 정이주, 손성호, 한성희, 이재순, 김주현, 백숙현, 정한숙이며 오후 8시 공연 출연진은 장희진, 김춘기, 김종섭, 김순경, 이하성, 이가은, 허정애, 박태원, 이선용, 장예원, 김혜영이다. 두 팀의 배우진은 각각의 연기 앙상블과 연기력으로 관객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 특히 11시 공연팀의 장귀복 배우는 2017년 ‘엄마에게 하지 못한 말’의 의정부 초연 때부터 2018년, 2019년, 2021년 등 총 4차례의 모든 공연 버전에서 만호 역으로 출연한 바 있어 이번 대학로 공연을 통해 만호 역의 정점을 보여줄 예정이다. 더불어 박주원, 정이주, 김순이, 손성호 등 대학로를 대표하는 중견 배우들과 장희진, 김순경, 김춘기 배우 또한 대학로 원로 및 중견을 대표해 연기 앙상블의 조화를 보여줄 예정이다. 예매는 ‘티켓링크’를 통해 할 수 있다. 한편 연극 ‘엄마에게 하지 못한 말’은 오전 11시 공연 관객에게 점심 식사권을 제공해 식사 대접을 한다. 극단 학교에 연극을 심는 사람들 소개 극단 학교에 연극을 심는 사람들은 2014년에 경기도 의정부 시를 거점으로 설립됐다. 예술 매체인 연극을 통해 지역의 예술적 정체성을 밝히는 취지로 다양한 교육 사업 및 창작 공연 콘텐츠의 개발·보급에 힘써왔다. 대표 작품으로 2019년 창작 뮤지컬이 있으며,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의정부 예술의 전당 및 의정부문화재단 주최의 우리동네예술프로젝트 및 마중물 프로젝트에 꾸준히 선정돼 창작 연극 공연을 선보이며 경력을 쌓아왔다. 제17회 한국국제2인극프로젝트에 선정돼 국립별오름극장에서 공연한 바 있으며, 마을과 학교의 다양한 교육 프로젝트, 의정부시중독통합관리지원센터에서 주관한 초등학생을 위한 스마트폰과몰입방지뮤지컬, 치매 예방 연극 등을 올렸다. 언론연락처: 극단 학교에 연극을 심는 사람들 홍보대행 문화예술 렛츠 김동준 02-744-581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경제
    2023-09-28
  • 국내 3D 테크 기업 아들러, 씨엔티테크로부터 투자 유치
    3D 엔진 개발사 아들러(Adler Inc., 대표 유리카 오베르뉴)가 씨엔티테크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고 22일 밝혔다. 투자 금액은 비공개다. 아들러는 2021년 8월 설립된 국내 3D SNS 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3D 엔진과 프로그래밍 언어 ‘Adler XRML’을 보유하고 있다. 설립 초기에는 유니티로 SNS를 개발했으나 웹 지원에 한계를 느껴 직접 엔진을 개발하게 됐다. 웹 개발자 출신인 아들러의 유리카 대표는 전 세계 2600만 웹 개발자가 쉽게 3D 개발을 할 수 있도록 HTML과 유사한 문법의 프로그래밍 언어 ‘Adler XRML’을 고안해냈다. 현재 1차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으며, 아들러 SNS는 모두 자체 언어 ‘Adler XRML’로 구동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들러는 파리 ‘카루젤 뒤 루브르’에서 열린 아트페어에 메인 기술 파트너로 참석하고, 뉴욕 타임스퀘어 역사상 최초의 3D 실시간 광고를 진행하는 등 글로벌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아들러는 3D 엔진에 보다 집중하기 위한 조직 개편을 진행했다. 또한 투자사 씨엔티테크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팀솔루션’을 비롯한 4개의 3D 관련 포트폴리오사와 아들러 엔진 사용에 대한 LOI 체결을 완료했다. 씨엔티테크 전화성 대표는 “같은 개발자 출신으로서 아들러가 자체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와 엔진을 개발한 것이 인상적이었다”며 “유니티나 언리얼보다 큰 3D 기업이 되도록 적극 돕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아들러는 한국투자파트너스를 비롯한 국내 유수의 투자자들로부터 27억원 규모의 Pre A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으며, Series A 이전에 엔진 개발을 위한 추가 자금을 모집 중에 있다. 아들러 소개 아들러는 누구나 쉽고 빠르게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 수 있는 3D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3D Web 기업이다. 3D 로딩 속도를 1초 내로 줄인 자체 개발 엔진과 3D 마크업 언어 XRML을 기반으로 ‘1 Person 1 Virtual Universe’의 비전을 실현한다.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2022년 9월 프랑스 파리의 ‘카루젤 뒤 루브르’에서 열린 글로벌 아트페어에 공식 기술 파트너로 참여했으며, 2023년 6월 뉴욕 타임스퀘어 역사상 최초의 3D 리얼타임 디스플레이 광고를 선보이며 주목받았다. 언론연락처: 아들러 마케팅팀 송근영 팀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경제
    2023-09-28
  • 셀프 사진 브랜드 포토매틱 ‘KCON LA 2023’서 포토 부스 팝업 선보여
    셀프 사진 브랜드 포토매틱이 ‘KCON THAILAND 2023’, ‘KCON JAPAN 2023’에 이어 8월 18~20일 미국 LA에서 성황리에 개최된 ‘KCON LA 2023’(이하 KCON) 현장에서도 셀프 사진 콘텐츠로 K-POP 팬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고 밝혔다. CJ ENM이 주관하는 세계 최대 K-컬처 페스티벌 KCON과 올해 세 번째 함께하고 있는 포토매틱은 셀프 사진 스튜디오와 포토 부스를 통해 전 세계 팬들에게 K-POP을 더 효과적으로 알리고 있다. 특히 KCON JAPAN 2023에서 큰 호응을 끌어낸 ‘애프터 팝업 이벤트’를 ‘KCON LA 2023’에서도 연이어 진행한다. 애프터 팝업 이벤트는 KCON에 참가한 아티스트와 함께 사진을 남길 수 있는 특별한 프레임을 제작, KCON 행사가 끝난 뒤후에도 팬들이 여운을 즐길 수 있도록 마련한 포토 부스 콘텐츠다. 이번에는 아티스트와 함께 찍는 네 컷 포토매틱 포토 부스로 미국 LA, 한국 강남·대구, 일본 도쿄에서 K-POP 팬들을 맞이한다. 그중 도쿄에서 열리는 ‘애프터 팝업 이벤트’는 유동 인구가 많은 시부야 파르코 몰 바로 옆에 있어 KCON X 포토매틱과 함께 K-콘텐츠를 홍보하는 특별한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토매틱은 한국에서 셀프 사진관을 가장 먼저 도입해 새로운 문화를 탄생시킨 주역으로, 해외에서도 K-POP을 경험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포토 부스가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이번 애프터 팝업 이벤트 포토 부스 참여 아티스트는 CRAXY, INI, JO1, JUST B, Kep1er, Lapillus, LIMELIGHT, VERIVERY, XG, ZEROBASEONE, 8TURN이며, 자세한 팝업 일정 및 장소는 아래에서 확인 가능하다. · 애프터 팝업 일정 : 2023년 9월 15일(금)~10월 22일(일) · 장소 : - 서울 포토매틱 플러스(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17길 36 1F) / PM 12시~21시 / 예약제, 워크인 동시 운영 - 대구 카페 메이크동인(대구 중구 국채보상로149길 123-13 1F) / AM 10시~PM 22시 / 무인 운영, 워크인 운영 - 일본 도쿄 시부야 팝업 스토어(1F Udagawa-cho Building, Udagawacho 14−13, Shibuya-ku,Tokyo, 150-0042, 일본) / AM 10시~PM 22시 / 예약제, 워크인 동시 운영 - 미국 LA THE LINE 호텔(3515 Wilshire Blvd, Los Angeles, CA 90010 미국) / PM 12시~20시 / 워크인 운영 포토매틱 소개 포토매틱은 아날로그 감성과 트렌드를 모두 잡은 오리지널 셀프 촬영 브랜드다. ‘만약 스튜디오 사진을 사진작가가 찍어주지 않고 스스로 찍는다면 어떨까’라는 생각으로부터 국내 최초 흑백 셀프 스튜디오 ‘포토매틱’이 탄생했다. 포토매틱은 독립된 공간에서 카메라에 연결된 리모컨으로 직접 촬영하면서도 누구나 전문적인 결과물을 낼 수 있는 ‘셀프 사진관’이라는 새로운 촬영 방식과 문화를 만들어냈다. 2018년 단 한 개의 셀프 사진관이었던 ‘포토매틱’은 독보적 콘셉트로 오픈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셀프 사진관의 시작점으로 많은 카피캣 브랜드를 만들어냈다. 이에 앞서가는 레퍼런스가 돼 따라 하고 싶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게 됐다. 포토매틱은 더 많은 사람이 더 편안하고 즐겁게 오래가는 사진을 남길 수 있도록 여전히 항상 고민하고 준비한다. 언론연락처: 포토매틱 마케팅팀 이나연 실장 070-4230-201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경제
    2023-09-28
  • 레이저, 획기적인 제품으로 게이머들 마음을 사로잡은 ‘레이저콘 2023’ 개최
    글로벌 게이밍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레이저(RAZER)가 9월 22일 게이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다양한 제품과 컬래버를 공개하며 성공적인 레이저콘 행사를 선보였다. 이미 전 세계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군 Razer Huntsman V3부터 완전히 새로워진 Razer Synapse 3, 새로운 조명 환경 시스템, 통기성 매시 소재의 게이밍 체어 Razer Fujin 등 출시 예정인 다양한 신제품과 소프트웨어가 소개된 자리였다. Razer Huntsman V3 Pro E스포츠 전문가들과의 협업으로 탄생한 Razer Huntsman V3 Pro는 정밀도와 내구성이 향상된 그야말로 완벽한 게이밍 키보드로 재탄생했다. 작동점 범위를 0.1㎜~4.0㎜까지 완벽히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아날로그 스위치는 더 빠른 작동 지점을 위해 공장 보정됐으며, 40g의 작동력으로 격렬한 게이밍 상황에서도 세심한 컨트롤이 가능하다. 성능뿐 아니라 PBT 이중 사출 키캡과 5052 알루미늄 합금 상판을 통해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했다. 또 모든 게이머의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풀, 텐키리스, 미니 3가지 배열로 동시 출시될 예정이다. Razer Synapse 차세대 Razer Synapse는 이전 버전 대비 30% 빠른 처리 속도를 자랑한다. 전 세게 Razer 팬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탄생한 새로운 Razer Synapse는 사용자의 독립적인 설정과 구성이 가능해 빠른 탐색이 가능할 뿐 아니라 간소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교할 수 없는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한다. Razer Aether Razer Aether 제품군은 게이머 스타일에 맞는 다양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Razer Aether Lamp Pro는 풍부한 RGB 효과로 게임, 음악, 영화의 몰입감을 높여줄 뿐 아니라 컨트롤러를 통해 손쉬운 효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2M 길이의 Razer Aether 라이트 스트립과 전구를 통해 더 몰입감 넘치는 게이밍 룸을 구성할 수 있다. Razer Fujin 메시 소재로 탄생한 레이저의 새로운 게이밍 체어 Razer Fujin Pro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통기성과 편안함, 지지력을 자랑한다. 장시간 게임 중에도 사용자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작됐으며 싱크로 틸트 기술을 통해 이동 중에도 등받이와 시트가 앉은 자세에 맞게 조정돼 편안한 지지력을 느낄 수 있다. 이 밖에도 세계적인 스포츠카 브랜드인 람보르기니와의 컬래버로 탄생한 랩톱 Razer Blade 16 x Automobili Lamborghini Edition, 이탈리아의 의류 브랜드인 돌체앤가바나와의 컬래버 의류와 Enki Pro 체어 등 이색 컬래버를 통한 독점 제품도 선보였다. 레이저 소개 레이저(Razer)는 미국 어바인과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게이머를 위한 라이프 스타일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2005년에 설립됐다. 전 세계 3500만명이 넘는 게이머에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게이밍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PC 기반 게이밍은 물론 플레이스테이션, XBOX, 모바일에 이르기까지 여러 플랫폼에서 세계 최대의 게이머들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웨이코스 소개 웨이코스는 레이저의 공식 파트너로, 레이저 제품의 국내 공급과 정품에 대한 애프터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웨이코스 마케팅팀 조윤형 매니저 02-712-8999 고객센터 02-712-263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경제
    2023-09-28
  • 구로구 오류버들시장 상권육성기구, 로컬이벤트 버들데이 모바일 스탬프투어 진행
    구로구 오류버들시장 상권육성기구인 서울신용보증재단 구로지점은 11월 24일까지 구로구 오류버들시장을 방문하는 주민 및 관광객을 대상으로 로컬이벤트 ‘버들데이’ 모바일 스탬프투어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로컬이벤트 버들데이 모바일 스탬프투어는 오류버들시장의 정성스러운 일상을 느낄 수 있는 이벤트로, 스탬프투어 홈페이지에서 카카오 로그인 후 GPS 위치 허용 및 QR 인식을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오류동 인근의 명소 두 곳과 상권 내 점포 여덟 곳을 방문해 스탬프를 획득하면 스탬프의 개수에 따라 오류버들시장 내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을 지급한다. 쿠폰 사용처는 점포 90여 개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점포가 다양하고 많아 주민 및 관광객의 많은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로컬이벤트 버들데이 스탬프투어의 초기 스탬프를 획득할 수 있는 지점은 총 11개로, 운영 부스, 항동 철길, 개웅산과 카페 네 곳, 음식점 네 곳이다. 스탬프투어 참여자 중 선착순 300명에게는 7000원 상당의 배달의민족 포장 할인 쿠폰을 지급하고, 11개 스탬프를 찍어서 운영부스(오류로86)로 오면 2만원 상당의 쿠폰을 지급한다. 선착순 30명에게는 상권 내 카페에서 쓸 수 있는 2만원 상당의 쿠폰을 추가 지급할 예정이다. 모든 쿠폰의 종류는 지류 쿠폰이며 쿠폰 지급은 운영 부스에서 지급한다. 로컬이벤트 버들데이 스탬프투어의 상세 정보는 홈페이지(https://www.dailylifeoryu.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신용보증재단과 오류버들시장 상인들은 이번 스탬프투어를 통해 지역 경제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서울신용보증재단 구로지점 홍보대행 상상이룸 장성준 주임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경제
    2023-09-28
  • 제천 원도심상권 활성화를 위한 ‘제천 원도심상권 식도락 요리경연대회’ 성황리에 마쳐
    제천시와 제천상권르네상스사업단은 상권에서 판매할 수 있는 한입 먹거리 상품을 발굴하고 이를 상권 내 보급해 제천시 원도심상권 활성화 도모하기 위해 컨설팅 전문 업체인 핀연구소와 함께 9월 16일(토) 제천 원도심상권 내 중앙시장에서 ‘제천 원도심상권 식도락 요리경연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회에는 대구, 포항, 영주, 경기도 등 전국 각지에서 출전한 참가팀들 가운데 1차 서류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15명이 다수의 고객이 지켜보는 가운데, 라이브 경연을 통해 대회를 진행했다. 제천시 농·특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한입 먹거리가 출품된 가운데 치열한 경쟁을 뚫고 감자 호떡과 단호박 호떡으로 출전한 이옥현(54세/제천), 권영우(20세/제천) 씨가 명예의 대상을 차지했으며 체전시장상과 함께 부상으로 100만원의 시상금을 받았다. 이번 제천 원도심상권 식도락 요리경연대회를 통해 발굴된 다양한 한입 먹거리 상품은 원도심상권 내 판매가 이뤄질 예정이며, 제천시와 제천상권르네상스사업단이 원도심상권 먹거리 상품 활성화를 위해 향후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핀연구소 소개 핀연구소는 대구에 본사를 둔 종합 컨설팅 전문 기업이다. 전통시장 활성화, 식당 창업과 업종 변경, 식당의 영업 활성화, 프랜차이즈 본부 설립 및 가맹점 창업, 맞춤 요리비법 전수 등을 통해 식당 운영을 컨설팅하고 전문 경영인을 길러낸다. 창업요리전문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관공서 연구용역, 세미나도 개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핀연구소 사업지원팀 김세영 과장 053-744-423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지구촌
    2023-09-28
  • 롯데관광개발, 대한항공과 함께 이집트 특별 전세기 여행 상품 출시
    롯데관광개발은 26일 내년 설 연휴에 출발하는 이집트 특별 전세기 9일 패키지 판매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집트 전세기 패키지는 2019년 첫 출시 이후 코로나19 기간인 2021~2022년을 제외하고 지난해까지 2500석(23회 출발)의 완판 신화를 기록한 롯데관광개발의 대표 히트상품이다. 이번에는 총 6회(2024년 1월 6일, 13일, 27일, 2월 3일, 10일) 9일 일정으로 대한항공(회당 145석)을 이용해 인천공항에서 카이로공항으로 출발하며, 금액은 1인 기준 689만원(각종 세금 포함)부터다. 롯데관광개발 단독 특전으로 전 일정 5성급 월드체인 숙박을 기본으로 홍해 연안의 휴양도시 후루가다 특급리조트에서의 1박, 피라미드 전경 및 나일강뷰의 특급호텔에서 누리는 럭셔리 특식을 제공한다. 회차별 선착순 30명에게 예약금 입금 시 1인 40만원 할인을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롯데관광개발 권기경 여행사업본부장은 “이번 상품은 기존 경유 노선(약 16시간) 대비 4시간이나 짧은 대한항공 직항 이용은 물론 이집트 내 현지 항공 2회 이용 등 불필요한 이동시간을 최소화하는 등 롯데관광개발이 선사하는 고품격 명품 관광의 진수를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이집트는 우리나라 5배 면적의 국토 95%가 사막으로 1년 내내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지만 방문 시점인 1~2월의 경우 평균 15~25도로 낮아져 여행을 즐기기 좋은 시점이다. 이번 패키지를 통해 카이로, 기자의 피라미드, 룩소르, 아부심벨 등 이집트 대표적 관광지를 비롯해 네페르타리 무덤, 투탕카멘 무덤, 룩소르 마차투어, 나일강 펠루카 탑승 등 다양한 고대 유적지를 방문하게 된다. 수도 카이로에서 차로 40분만 달리면 광활한 기자 고원 사막과 그 한가운데 웅장하게 서 있는 피라미드를 만날 수 있다. 쿠푸왕과 카프라왕, 멘카우라왕 시대에 제작된 3개의 피라미드는 백미로 손꼽힌다. 시간이 멈춘 도시 룩소르에서는 이집트의 가장 큰 신전인 카르낙 신전과 룩소르 신전이 기다리고 있다. 룩소르 신전 입구에는 람세스 2세의 거대한 석상들과 태양신을 상징하는 기념비인 오벨리스크가 여행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건축 당시에는 람세스 2세의 좌상 2개와 입상 4개가 좌우로 3개씩 서 있었지만, 현재는 훼손돼 3개만 남아있다. 언론연락처: 롯데관광개발 홍보실 윤희성 과장 02-398-294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지구촌
    2023-09-28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경기도 시·군·공공기관 공직자 대상 반도체 직무 전문 교육 성료
    경기도·서울대학교 공동출연법인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원장 차석원, 이하 융기원)은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2023년 하반기 반도체 직무역량 강화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경기도 시·군 및 공공기관의 반도체 지원 담당 실무자 50여 명을 대상으로 전문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먼저 교육 대상자가 정책 입안자인 점을 고려해 국내외 반도체 산업 흐름과 정책을 파악할 수 있도록 △반도체 산업 로드맵 △해외 국가별 정책 동향 △국내 반도체 산업 기업 현황과 정책 등의 교육을 진행했다. 또 현재 화두가 되고 있는 반도체 패키징, 팹리스의 시장 동향 및 전망에 대한 내용을 비롯해 융기원 내 클린룸과 분석실에서 현장 실습 교육을 진행하며 반도체 제조 공정 기술에 대한 이해와 현장 실무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차석원 융기원장은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자의 전문성 강화는 연구·개발 인력 양성 못지않게 중요하다”며 “현장을 이해하고 현실에 맞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융기원은 올해부터 경기도 반도체 인력개발센터(G-SPEC : Gyeonggi Semiconductor Professional Education Center)를 설립하고, 경기도 내 공유대학 운영지원, 공공 분야 직무 역량 강화 교육 등 반도체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소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창의와 혁신을 바탕으로 미래의 과학과 산업을 이끄는 해결책이 융합이라는 깨달음에 기초해 2008년 3월 설립됐다. 2018년 7월 경기도와 서울대의 공동 출연 법인으로 새롭게 도약했다. 융기원은 관·학이 협력해 설립된 국내 최초, 최고의 융합 기술 R&D 전문 연구 기관이다. ‘지역과 R&D가 하나 되는 세계적인 융합 연구 기관’이라는 비전 아래 차세대 교통 시스템, 스마트 시티, 소재·부품·장비, 지능화 융합, 환경·안전 등 5대 중점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홍보정보팀 안웅섭 팀장 031-888-905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지구촌
    2023-09-28
  • 동아제약, 고함량 비타민B 복합제 ‘비플렉스 듀얼케어’ 출시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고함량 비타민 B군 브랜드인 ‘비플렉스(BPLEX)’를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비플렉스(BPLEX)’는 현대인들의 빠른 피로회복과 통증케어를 위한 고함량 비타민 ‘B’와 약사들이 선호하는 프리미엄 활성비타민&미네랄 ‘Complex’, 마지막으로 고생한 나를 위한 ‘Flex’의 의미를 담은 동아제약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고함량 비타민 B군 브랜드다. 이번에 선보이는 ‘비플렉스 듀얼케어’는 ‘비플렉스(BPLEX)’의 첫 번째 신제품으로 15종 고함량 활성비타민 B와 미네랄을 함유했다. 약효 지속시간이 길고 체내에 빠르게 흡수되는 활성비타민 B1인 벤포티아민과 푸르설티아민을 듀얼 처방으로 1일 기준 최대 함량 130mg을 함유했다. 비타민B1은 육체피로, 근육통, 관절통 등에 효과적인 성분이다. 특히, 활성비타민인 벤포티아민은 생체이용률이 높으며, 푸르설티아민은 뇌혈관장벽(BBB)를 통과해 뇌까지 전달한다. 이 밖에 신경비타민이라고 잘 알려져 있는 B1, B6, B12를 고함량으로 함유해 신경통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외에도 마그네슘, 셀레늄, 아연, UDCA 등 항산화 성분과 미네랄은 물론 비타민 D, 이노시톨까지 포함해 현대인을 위한 맞춤형 고함량 활성비타민&미네랄 영양제이다. 비플렉스 듀얼케어는 일반의약품으로 가까운 약국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1일 1회 1정 복용으로 복용 편의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김명현 브랜드 매니저는 “비플렉스 듀얼케어는 하루 한 정으로 피로는 물론 통증(근육통, 관절통, 신경통)까지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며 “피로에 많이 노출된 직장인뿐 아니라 체력이 많이 약해져있는 중장년층까지 비플렉스 듀얼케어로 건강을 챙기시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언론연락처: 동아제약 커뮤니케이션실 박민순 선임 02-920-831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지구촌
    2023-09-28
  • 한국교직원공제회, 반부패 청렴 뮤지컬 개최
    한국교직원공제회(이사장 김상곤)는 내부 청렴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부패·청렴 내재화 캠페인의 하나로 26일 뮤지컬을 개최했다. 해당 뮤지컬은 세일링드림의 창작 뮤지컬 ‘부패 탈출 넘버 원! 갱생 트레이닝센터’로 뮤지컬을 통해 소개되는 청탁금지법 및 이해충돌 방지법, 공직자 행동강령 관련 각종 일화를 체험함으로써, 임직원의 준법의식을 강화하고자 기획됐다. 김상곤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은 “이번 반부패·청렴 내재화 캠페인은 흥미로운 뮤지컬을 통해 ‘갑질’과 ‘청탁’, ‘이해충돌’이라는 난해한 이슈를 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기존 강의 자료와 법 조항을 수강하는 대신, 임직원이 뮤지컬을 관람하며 공제회인으로서 지녀야 할 청렴을 체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교직원공제회는 평소 청렴주의보 발령 및 준법 스크린세이버 배포 등을 통해 일상 속 청렴문화 확산에 힘쓰고 있으며, 추후 청렴 수준과 부패유발 요인 진단을 위한 자체 청렴도 평가도 진행할 계획이다. 한국교직원공제회 소개 한국교직원공제회는 모든 교직원이 재직 중에는 물론, 퇴직 후에도 교직의 보람과 생활의 풍요로움을 누릴 수 있도록 특별법(법률 제2296호)으로 설립된 정부 보장의 교직원 복지 기관이다. 언론연락처: 한국교직원공제회 홍보소통부 김인성 대리 02-767-010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디볼버 디지털 ‘탈로스의 법칙 2’ 발매일 공개… 로봇과 퍼즐, 더 확장되는 세계관
    글로벌 인디 게임 퍼블리셔 디볼버 디지털(Devolver Digital Games)은 개발사 크로팀(Croteam)의 3D 1인칭 퍼즐 게임 ‘탈로스 법칙 2’를 한국 시각으로 11월 3일 발매한다고 공개했다. 2014년 발매된 탈로스 법칙 1편은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1인칭 3D 퍼즐 게임으로, 퍼즐뿐만 아니라 로봇인 주인공을 통해 퍼즐을 푸는 호기심과 행동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지닌 게임이다. PC, 플레이스테이션 5, Xbox X 시리즈로 출시될 탈로스 법칙 2는 출시 전까지 10% 할인된 가격으로 사전 구매를 진행할 수 있으며, 한국 시각으로 10월 4일까지는 전작과 DLC를 스팀 플랫폼에서 90% 할인한다. 탈로스의 법칙 2는 전작에 이어 더 심오한 비밀, 풍부한 스토리 전개와 놀라운 퍼즐 역학으로 전작의 세계관을 더 크게 확장시킬 예정이다. 게임은 인류가 멸종한 먼 미래, 우리를 본떠 만들어진 로봇을 통해 인류 문화가 이어지는 세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게이머는 신비한 거대 구조물을 탐사하면서 우주의 본질, 믿음과 이성의 대립 그리고 인류의 반복되는 실수에 대한 두려움과 직면하게 될 예정이다. 전작을 해 본 경험이 있는 게이머라면 약간 익숙할 수도 있는 퍼즐들과 함께 마음의 전이와 중력 조작을 포함한 독특한 게임 플레이 역시 추가될 예정이다. 또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깊은 이야기와 함께 가치관이 변하기 직전의 도시, 미래의 열쇠를 쥐고 있는 섬을 포함해 일련의 새롭고 놀라운 경험과 여러 가지 결말을 마주할 수 있다. 11월 3일 출시될 탈로스 법칙 2(Talos Principle 2)는 크로팀이 이제껏 개발한 게임 가운데 가장 거대한 야심작으로, 한글화를 지원하고 국내 출시 가격은 3만2000원이며 더 많은 정보는 디볼버 디지털 공식 트위터(https://twitter.com/devolverkr)와 공식 홈페이지(https://www.talosprincipl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디볼버 디지털 소개 디볼버 디지털(Devolver Digital, Inc.)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본사를 둔 인디 게임 퍼블리싱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 비디오 게임 퍼블리셔다. 2009년 설립 현재까지 전 세계에 독창적인 명작 게임들을 배급하고 있다. 인디 개발사의 표현의 자유를 중시하며 게이머 정신에 충실한 회사다. 언론연락처: 디볼버 디지털 홍보대행 미티어컴퍼니 이재원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10월 12일 ‘2023년 정신건강 연구 심포지엄’ 개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은 10월 12일 ‘정신건강 인식개선을 위한 언론보도 가이드라인의 방향성’을 주제로 ‘2023년 정신건강 연구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은 실시간 온라인 생중계(Youtube)로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가 발표한 2021년 서울시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89.8%가 ‘뉴스기사, 매스미디어’를 선택했다. 그 외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대중들이 언론을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언론 보도에 따라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언론보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021년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은 서울시,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와 함께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위해 언론인들이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정신질환 보도 가이드라인 1.0’을 공동 개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1년 동안 언론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이번 정신건강 연구심포지엄에서는 그간 진행한 언론 모니터링 사업의 결과를 공유하고, 정신건강과 관련된 편견 해소 및 인식개선을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심포지엄은 총 세 개의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정신질환 보도지침의 필요성’을 주제로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일빈 교수가 기조발제를 진행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정신건강 보도 가이드라인 모니터링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주제로 △언론 모니터링 결과와 제언(김지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상임팀장) △자살보도 권고기준의 성과와 제언(신은정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본부장)을 각각 발제한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올바른 언론보도를 통한 정신질환 편견 및 낙인 해소 방안 제언’을 주제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이해우 단장이 좌장을 맡고, 토론자로 △마인드포스트 박종언 편집국장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윤정혜 위원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이진한 부회장(동아일보 의학전문기자) △SBS 시민사회부 박하정 기자 △서울특별시 이경희 정신건강과장이 참여한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이해우 단장은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은 정확한 정보 전달을 넘어 정신질환 치료, 관리를 위한 접근성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번 심포지엄이 통해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미디어의 순기능을 발현시키는 것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2023년 정신건강 연구 심포지엄’은 서울시 정신건강서비스와 정책 동향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심포지엄 참여를 희망하는 경우 포스터의 QR코드 및 블루터치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신청할 수 있으며, 10월 11일(수)까지 신청하면 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블루터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기타 문의는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으로 하면 된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소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2005년 전국 최초로 개소한 광역형 정신건강복지센터다. 서울시민들의 정신건강 향상과 정신질환 예방, 정신건강의 어려움이 있는 시민도 더불어 살며 회복되는 행복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정신건강증진기관들과 협력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예방팀 김보람 02-3444-9934(내선23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네슬레 퓨리나 ‘냥파티 파티믹스 캠페인’ 통해 소비자와 함께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제품 기부
    세계적인 반려동물 식품 전문기업 네슬레 퓨리나가 7월에 진행한 ‘냥파티 파티믹스 캠페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파티믹스 제품 3000개를 기부했다고 밝혔다. 네슬레 퓨리나는 7월 ‘냥파티 파티믹스 체험단’ 200명을 모집하고 파티믹스 제품과 반려묘 소품이 담긴 굿즈박스를 증정했다. 또한 제품 후기를 남긴 인원 중 7명의 우수체험자를 선정해 총 100만원 상당의 경품을 증정하고, 그와 별개로 인스타그램 릴스 필터 챌린지와 체험단 활동을 통해 생성된 포스트와 해시태그 수만큼 파티믹스 제품 정품을 기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캠페인에 참여한 포스팅 수는 436건, 해시태그 수는 469건으로 총 905건의 결과를 기록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네슬레 퓨리나는 포스팅 및 해시태그 1개당 파티믹스 3개씩 기부로 모아진 약 2700개에 300개를 추가해 총 3000개의 파티믹스 제품을 12일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기부했다. 네슬레 퓨리나는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고양이 사료와 간식 및 용품을 약 4700kg 이상 전달하는 등 지속적으로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사료와 간식을 기부하며 유기묘와 길고양이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네슬레 퓨리나는 이번 파티믹스 체험단 및 기부 캠페인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에게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소비자들과 함께할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지원 및 기부 캠페인을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네슬레 퓨리나가 한국고양이보호협회에 전달한 파티믹스는 다양한 모양의 바삭한 키블로 차별화된 식감을 선사하는 동시에 풍부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첨가된 고양이 영양 간식이다. 언론연락처: 롯데네슬레코리아 홍보대행 피알게이트 배윤지 AE 02-792-263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스타일 감성과 방수를 한번에… 모토로라 ‘엣지 40’ 5G 스마트폰 국내 출시
    모토로라코리아가 초고속 5G 스마트폰 ‘엣지 40(Edge 40)’을 국내 출시했다. 모토로라 엣지 40은 모토로라의 첫 자급제 시장 출시 모델인 엣지 30(Edge 30)의 후속 모델로 오픈마켓 단독 파트너인 쿠팡을 통해 판매된다. 손에 쏙 잡히는 7.6mm 슬림 사이즈의 모토로라 엣지40은 초슬림 5G 스마트폰 설계를 바탕으로 세련된 디자인을 구현했다. 미디어텍 디멘시티 8020(MediaTek Dimensity 8020) 모바일 플랫폼 기반으로 8GB 메모리(RAM)와 이전 모델 대비 2배 증가된 256GB 저장 용량 모델로 제공된다. 현존 스마트폰 중 가장 넓은 조리개(f/1.4)를 적용해 저조도 촬영에 최적화된 5000만 고화소(50MP) 카메라를 자랑한다. 144Hz 주사율을 지원하는 풀HD+OLED 디스플레이,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 사운드를 통해 생동감 넘치는 멀티미디어 경험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더욱 확장된 고속 충전(68W) 및 무선 충전(15W) 기능을 추가하고 이전 모델 대비 대폭 강화된 4400mAh 배터리를 장착했다. 매끈하고 현대적 디자인의 엣지 40은 좌우로 기울이면서 변화되는 은은한 보석 같은 패턴으로 시선을 사로잡는다. 디스플레이 지문 판독기를 사용하면 화면 터치만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슬림 디자인과 167그램 초경량 설계가 어우러져 장시간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사용자들의 손과 팔의 피로감을 확연히 덜어준다. 아름답고 매끈한 모토로라 엣지 40은 곡면 글래스 디스플레이와 곡면 후면 인레이가 매끄럽게 조화를 이루며 끝없이 펼쳐지는 엣지 디자인으로 놀라운 외관과 느낌을 선사한다. 전면에는 베젤이 거의 없는 3D 글라스 디스플레이가 탑재됐으며, 뒷면 곡선형 인레이는 손의 자연스러운 윤곽에 잘 맞는다. 비건 가죽을 적용해 견고한 그립감과 함께 부드러운 촉감이 느껴진다. 167그램 초경량 설계는 사용자에게 또 다른 편안함을 제공한다. 각 측면은 정밀하게 절단된 샌드블라스트 알루미늄 프레임과 매끄럽게 결합해 고급스러운 외관과 느낌을 더한다. 엣지 40 사용자는 144Hz 주사율과 HDR10+의 6.55인치 OLED 디스플레이로 좋아하는 영화와 게임을 생생하게 즐길 수 있다.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이 지원되는 엣지 40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해 보다 깊고 선명한 사운드도 경험할 수 있다. 모토로라 ‘레디 포(Ready For)’ 기능을 통해 모니터나 TV에 무선으로 엣지 40을 연결, 더 큰 화면에서 영상/게임 등의 콘텐츠를 생생히 즐길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노트북 브랜드 씽크패드(ThinkPad)에 적용된 보안 플랫폼 씽크쉴드(ThinkShield) 기술이 탑재돼 사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해 준다. 모토로라 엣지 40은 △네뷸라 그린 △이클립스 블랙 △비바 마젠타(준비 중) 세 가지 색상으로 구성된다. 공식 출고가는 49만9000원(256GB)이며 쿠팡 로켓배송으로 구매 가능하다. 10월 3일까지 진행되는 쿠팡 특별 할인 이벤트를 통해 39만90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와우 회원의 경우 9월 30일까지 구매하면 추가 5% 할인이 적용돼 37만9050원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 모토로라 엣지 40은 롯데하이마트 오프라인 주요 매장에서도 10월 중 판매될 예정이다. AS는 전국 46개 모토로라 서비스센터에서 2년간 무상 지원된다. 모토로라 엣지 40 기술 사양 · 운영 시스템: 안드로이드 13 · 프로세서: MediaTek Dimensity 8020(6나노미터) · 메모리: 8GB(RAM) · 저장 용량: 256GB · SIM 카드: 싱글 SIM(나노 SIM) · 디스플레이: 6.55인치 OLED 디스플레이, 144Hz 화면 주사율, HDR 10+ · 메인(후면) 카메라: 50MP 고해상도 카메라, 메인(광각) 50MP f1.4, 초광각 13MP f2.2 120도, OIS 손 떨림 방지 탑재 옴니 PDAF(다중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 Instant All-Pixel Auto Focus (전 화소 즉시 자동 초점) · 전면 카메라: 32MP f2.4 · 사운드: 듀얼 스테레오 스피커, Dolby Atmos, 모토로라 공간음향 테크놀로지 · 전원: 4400mAh 배터리, 터보파워 68W(TurboPower 68) 고속 충전, 무선 충전 15W · 무선연결: 802.11 a/b/g/n/ac/6E, 블루투스 5.2 · 네트워크 대역: 2G GSM / 3G UMTS / 4G LTE / 5G · 방진 방수: IP68 · 크기/무게: 158.4 x 72 x 7.6mm, 167g · 패키지 구성: 모토로라 엣지 40, 터보파워 충전기, USB 타입 C 케이블, 제품설명서, SIM 툴, 투명 젤리케이스 · 색상: 네뷸라 그린, 이클립스 블랙, 비바 마젠타(준비 중) 언론연락처: 모토로라코리아 홍보대행 KPR 송영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8
  • 보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토론회,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요구
    도종환 국회의원과 보건교육포럼은 9월 20일(수) 오후 3시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에서 보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대학원 도입 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 결과, ‘교육전문대학원’을 도입해 보건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21세기 변화에 맞는 우수 교원을 양성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이번 토론회는 도종환 국회의원과 우옥영 보건교육포럼 이사장의 인사말로 시작해 이주호 교육부 장관,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조경태 국회의원, 강지원 변호사의 축사로 1부를 마쳤고, 2부에서 김대유 서영대 교수의 사회로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다. 먼저 도종환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보건교사들은 코로나19로 교육 붕괴의 위기에 빠진 학교 현장에서 우리 교육을 지켜낸 영웅들이지만 남은 것은 막중해진 책임과 과중화된 업무이고, 보건교육의 취약한 위상, 보건교사 배치 부족 등 개선해야 할 정책과제가 많다”면서 “오늘 보건교사의 대학원 양성 방안 논의가 이를 개선하는 원동력이 되기를 바라며, 국회에서도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발제를 맡은 우옥영 보건교육포럼 이사장(경기대 교수)은 “보건교사는 2007년 개정된 학교보건법에 따라 학생 보건교육과 건강관리의 직무를 부여받고, 효율적으로 코로나19 예방교육과 건강관리를 완수하는 등 국민의 성원에 부응해왔다”며 최근 성교육, 중독 예방 등 확대되는 전문성 강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교육부의 교직발전종합방안 등 역대 정부에서 주요 과제로 제안된 우수교사 양성방안이자 현 정부에서 제시한 교육전문대학원의 도입을 주장했다. 우 이사장은 “시대적 요구가 있는 정책은 이해관계로 유보하기보다는 조정이 필요하며, 즉시 보건교육전공부터 설치해 우수교원을 양성하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고급 양성과정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 이사장은 “그동안 보건교사에 대한 전문성 강화 조치의 지연으로 직무 전환에 따른 당연한 절차인 정교사 표시과목의 부여가 실종되고, 다른 교과 교사나 사서·상담·영양 교사의 경우 전국에 수십개씩 포진한 대학원 양성과정이 보건교사들에게는 단 1개도 허용하지 않는 형평성에 어긋난 정책이 방치돼 왔다”면서 “지금 현장에서는 고교 학점제, AI 교육, 각종 건강문제 등으로 연구와 연수 측면에서 거대한 지원체제 구축과 전문성 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교육대학원과 간호대학의 난제를 통찰하고, 교육전문대학원에 보건교사 양성과정을 설치해 국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보건교육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간호대에서 힘겹게 이뤄지는 양성과정을 전문대학원으로 심화시키도록 장치해야 할 당위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우 이사장은 대학 졸업 후 2~3년의 전문적 양성, 박사과정 설치, 기본이수과목 등 일부 세부 방안도 제시했다. 토론자들은 이에 공감하며 다음과 같이 의견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도입 방법 및 운영 등에 대한 토론을 이어갔다. 광주교대 총장을 지낸 교육정책전문가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는 “교육과정은 시대적 변화에 부합돼야 하고, 교원양성정책의 변화 역시 아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의 발달에 주목해야 한다”며 교육전문대학원 등 대학원에 보건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안에 동의했다. 나아가 전국에 권역별 거점 대학원을 정해 시범 적용을 하는 방안도 고려할 것을 제안했다. 김순향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보건위원장은 “보건교사에게 표시과목 및 정교사 부여를 미루고, 대학원 양성과정을 불허하는 것은 차별이다. 학교 현장은 보건교사 배치 부족, 연수 및 연구 부족 등으로 정체성과 교육과정 운영에 혼란과 갈등을 겪고 있다. 교육전문대학원에 보건교사 양성과정을 설치해 직무 관련 과목을 보완하고 정교사 자격 부여, 보건교육 지원 인프라 강화 등 차별적인 정책들을 모두 형평성 있게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미정 충남교사노조 제2부위원장은 “보건교사가 학점제 전면 실시와 진로 교육 확대, 학교에서의 다양한 사고·질병 및 이에 따른 응급상황에 대처해야 하는 조건 등에 비춰 발제자의 대학원 양성 방안이 보건교사의 전문성 향상, 교수 연구 전문가의 증가와 관련 정책 연구 역량의 확대로 이어져 보건교육 정책의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찬성 의견을 밝혔다. 이은희 경북보건교사회장은 “보건교사의 대학원 양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하며, 지역 간호협회 역시 적극 찬성 의사를 표했다”고 밝혔다. 또 “최근 경북 지역의 보건교사 500명 전원 서명과 항의로 현안이 되고 있는 유치원 겸임 문제도 결국 보건교사의 유초중등 급별 양성과 연구를 방치한데서 온 문제”라며 “정교사 도입으로 급별 양성을 하고 이를 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의 보건교육전문직을 대표해 토론자로 참여한 박옥남 장학관(보건교육전문직협의회장)은 “보건교사의 법적 직무인 학교 보건교육과 학생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것이 보건교육전문직의 주요한 과제다. 최근 서이초 사건 등에서 볼 때 국가가 교육의 질을 보장해야 하고, 교사는 교육자의 권리를 보장받으며 교육할 수 있는 올바른 제도와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면서 “그러한 지원체계의 건강성은 보건교육전공의 대학원 양성과정으로 뒷받침돼야 한다. 교육전문대학원에 보건교육전공이 가장 먼저 설치되기를 바란다”는 희망을 내비쳤다. 박정모 경인여대 간호학과 교수는 “그동안 어렵고 힘든 환경에도 불구하고 간호대는 보건교사 양성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는데, 더 이상의 과목 추가는 어려운 실정이다. 사정이 이런데 다른 교사들과 달리 보건교사에게만 대학원 양성과정이 없다는 것은 매우 불합리한 일이다. 그러므로 보건교육의 전문성을 향상할 교육전문대학원 양성 도입을 허용해야 한다”며 교육부에 협조를 요청했다. 토론회 발제와 토론을 경청한 교육부 정일형 교원양성연구과 과장은 “최근 교육부에서는 예비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대학원 수준의 교원 양성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교원양성기관의 체제 개편에 앞서 교육과정 개선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건교사의 전문성 또한 함께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오늘 의미 있는 발제와 토론을 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리며, 여기서 제안된 사항을 성실하게 협의하고 추진을 모색하겠다”고 말미를 장식했다. 토론회를 진행한 김대유 서영대 교수는 “교육전문대학원은 20년 가까이 역대 정부가 추진하고 싶어 했던 중요한 정책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이제야 처음으로 대중적 정책토론회를 진행했다. 만시지탄이지만 큰 그림을 그리는 첫 발걸음을 뗐다”며 이주호 교육부 장관의 역할을 주문했다. 이날 정책토론회에는 이주호 교육부 장관, 조희연 서울특별시 교육감, 조경태 국회의원, 강지원 변호사가 지지와 격려, 응원의 축사를 했고, 50여 명의 현장 교사와 전문가들이 참여해 성원을 이뤘다. ◇ 아이들 건강 up! 보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대학원 양성방안 토론회 · 주최 : 더불어민주당 도종환 국회의원 / 사단법인 보건교육포럼 · 일시 : 2023.9.20(수) 15:00~17:00 ·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 · 취지 교육의 전문성은 우수한 교사의 양성으로 시작되고, 교육의 헌신성은 체계적인 교육정책으로 완성된다. 도종환 국회의원과 사단법인 보건교육포럼(이사장 우옥영)이 교육현장의 요구를 계기로 21세기 교육정책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사양성 체계를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저출산 코로나 시대에 아이들의 건강한 생활력을 기를 수 있도록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보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대학원 양성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 프로그램 - 인사말 : 도종환 국회의원, 우옥영 보건교육포럼 이사장 - 축사 : 이주호 교육부총리, 조희연 서울특별시 교육감, 조경태 국회의원, 강지원 변호사 - 발제 : 우옥영 경기대학교 교수, 보건교육포럼 이사장 ‘보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전문)대학원 양성 방안’ - 토론 : 김대유 서영대학교 교수(좌장), 박남기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김순향 전교조 보건위원장, 박옥남 보건교육전문직협의회장, 이은희 경북보건교사회장, 박정모 경인여자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박미정 충남교사노조 제2부위원장, 정일형 교육부 교원양성연수과 과장 보건교육포럼 소개 보건교육포럼은 아이들을 위한 보건 교육과 학교 보건 교육을 위해 일하는 단체다. 보건교육포럼은 아이들, 국민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보건교육을 열어가는 주역이자, 아이들을 존중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미래 교육과정의 변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사람을 중심에 두고 보건의료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인간적이고 경쟁력 있는 공동체 발전’에 힘쓰고 있다. 언론연락처: 보건교육포럼 한혜진 정책국장 02-723-727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2023-09-26
  • LG화학, 모로코에 LFP 양극재 공장 짓는다… 화유그룹과 양극재 소재 수직 계열화 협력
    LG화학이 화유그룹(Huayou)과 손잡고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또한 리튬 가공과 니켈 제련, 전구체로 이어지는 양극재 소재 수직 계열화에 나선다. LG화학은 9월 22일 중국 화유그룹과 양극재 공급망에 대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함께 LFP 양극재 시장에 진출하고 소재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모로코 LFP 양극재 공장 및 리튬 컨버전 플랜트(CP) 건설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 공장 및 전구체 공장 설립을 추진할 방침이다. LG화학과 화유그룹 산하 유산(Youshan)은 2026년 양산을 목표로 모로코에 연산 5만톤 규모의 LFP 양극재 합작공장을 짓는다. LFP 양극재는 주로 보급형 전기차에 쓰이는 배터리 소재로,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보다 에너지 밀도는 낮지만 가격 경쟁력이 높아 고객사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LFP 양극재 5만톤은 보급형 전기차 50만대(350km 주행 가능한 50kWh 용량 전기차 기준)에 필요한 양극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모로코 공장은 북미 지역에 공급할 LFP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이다. 모로코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 이곳에서 생산한 양극재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요건을 충족한다. 양사는 추후 IRA의 해외우려집단(FEOC) 규정에 따라 지분 비율을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모로코는 LFP 양극재의 핵심 원재료인 인광석의 매장량 전 세계 1위[1]국가다. LG화학은 모로코 공장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LFP 양극재 사업에 진출하며, LFP에 망간을 더해 용량과 출력을 높인 LMFP 양극재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LG화학은 모로코에서 화유그룹 산하 화유코발트(Huayou Cobalt)와 리튬 컨버전 플랜트 사업도 추진한다. 컨버전 플랜트란 리튬 정광(리튬 광석을 가공해 농축한 고순도 광물)에서 양극재 생산에 필요한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추출하는 시설이다. 모로코 리튬 컨버전 플랜트는 2025년까지 연산 5만 2000톤의 리튬 양산 체제를 마련하고, 모로코 LFP 공장에 리튬을 공급한다. 이외에도 LG화학과 화유코발트는 IRA 충족을 전제로 인도네시아에서 니켈 제련·전구체를 아우르는 양극재 수직계열화를 위해 협력한다.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니켈 매장량과 생산량 1위[2] 국가로, 원가경쟁력을 기반으로 배터리 제조업과 전기차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양사는 인도네시아 연산 5만톤 규모의 전구체 공장 설립을 검토한다. 나아가 전구체 생산을 위해 니켈 광석에서 니켈 중간재(MHP, Mixed Hydroxide Precipitate)를 추출하는 제련 공장 설립도 논의할 계획이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모로코 양극재 공장을 글로벌 거점으로 삼아 새롭게 떠오르는 LFP 양극재 시장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원재료에서 전구체, 양극재까지 이어지는 소재 수직 계열화 체계를 공고히 해 세계 최고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서의 기반을 다져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1] 인광석 매장량 500억톤(전 세계 매장량의 73%) [2] 니켈 매장량 2100만톤(전 세계 매장량의 22%), 니켈 생산량 연 76만톤(전 세계 생산량의 31%) 언론연락처: LG화학 커뮤니케이션팀 고장석 선임 02-3773-397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지구촌
    2023-09-26

지역뉴스 검색결과

  • 세방,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도입 선포식 개최
    글로벌 종합물류기업 세방(대표이사 최종일, 코스피 004360)은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CP) 도입 선포식을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서울 강남구 소재 세방빌딩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세방 임직원을 포함해 신현윤 한국공정경쟁연합회 회장 등 외부 인사들이 참석했다. 세방은 이번 선포식을 통해 각 분야별 실무용 자율준수 종합 편람을 공식화하고, 전사적으로 체계적인 교육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세방은 지난해부터 공정거래 자율준수 전담팀을 구성해 내부 현황 파악을 실시하는 등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제반 작업을 추진해 왔다. 회사는 이를 기반으로 올해 상반기 프로그램 운영 규정 및 운영 지침을 제정하고, 내부 업무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정립했다. 세방은 올해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을 정식으로 도입한 후 내년에는 준법 수행여부 감시 및 모니터링 활동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본 궤도에 올릴 계획이다. 이어 2025년에는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프로그램에 대한 등급 평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최종일 세방 대표이사는 “기업의 투명성, 윤리 및 준법 경영 수준을 제고하고, 지속 가능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하게 됐다. 공정한 시장질서 준수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기업 세방이 되겠다”고 밝혔다. 세방 소개 세방은 수출입 컨테이너와 벌크화물, 중량물의 하역, 운송, 보관, 3PL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 종합물류기업이다. 전국 13개 항만에 거점을 두고 전통적인 물류 사업인 항만하역, 보관, 운송, 중량물 프로젝트 사업에서 라스트 마일 운송, 온라인 물류에 이르기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세방은 세방그룹의 모기업으로, 세계 최고의 축전지 제조업체인 세방전지를 비롯한 세방산업 등 제조업 자회사와 세방익스프레스, 성진실업, 에스비앤엘, 부산신항다목적터미널, 세방광양국제물류 등 38개 계열회사를 보유해 방대한 물류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언론연락처: 세방 홍보대행 서울IR PR팀 김민지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제주
    2023-09-26
  •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개관 7주년 기념 음악회 ‘김창열 미학에세이’ 개최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은 10월 21일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야외무대에서 개관 7주년 기념 음악회 ‘김창열 미학에세이’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음악회는 가수 하림과 장들레가 출연해 라이브 콘서트를 선보이며, 컬래버레이션 무대도 진행될 예정이다. 하림은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 ‘출국’을 비롯해 여러 히트곡을 보유한 감성 싱어송라이터로 JTBC ‘비긴어게인 2’ 등에 출연하며 대중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장들레는 드라마 ‘낮과 밤’, ‘슬기로운 의사생활’, ‘유미의 세포들 시즌 2’ OST에 참여하고, 유재하 경연대회에서 수상한 실력파 뮤지션이다. 특히 이번 음악회에서는 김창열 화백의 그림과 물방울에 담긴 이야기가 음악과 함께 영상으로 전달돼 관람객에게 특별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또 관람객과 소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전 이벤트가 마련된다. 미술관 공식 인스타그램 및 페이스북 계정 ‘김창열 미학에세이’에서는 9월 21일부터 10월 11일까지 사전 음악 신청 사연을 모집한다. 선정된 사연자에게는 소정의 경품을 증정하며, 사연 및 신청곡은 음악회에서 소개될 예정이다. 또 현장에서는 럭키 드로 이벤트도 마련돼, 제주도립 김창열 미술관의 인기 굿즈를 증정한다. 제주도립미술관 이나연 관장은 “음악이 함께하는 공간이길 바란다는 김창열 화백의 유지에 따라 매년 음악회를 개최하고 있다”며 “미술과 음악, 사색이 있는 특별한 음악회를 통해 관람객에게 김창열 화백의 마음이 전달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음악회는 무료 초청 공연이며, 당일 오후 3시부터 선착순으로 입장할 수 있다. 일부 지정석에 한해 선착순 사전 접수 이벤트를 10월 홈페이지(https://kimtschang-yeul.jeju.go.kr)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소개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은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김창열의 업적과 정신을 기리며, 현대미술 발전에 이바지하는 미술 작품과 자료를 전시·연구·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은 동서양의 가치를 구현한 물방울 작가 김창열 화백의 정신을 기리며, 김창열 정신과 관련된 작가 및 후대 작가의 주제·기획 전시를 통해 현대미술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 도민이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와 교육프로그램, 학술 행사 등을 통해 지역 사회 및 대중과 호흡하는 도립 미술관으로 발전하고자 한다. 언론연락처: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홍보대행 하쿠다 홍미경 차장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강원
    2023-09-26
  •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 나노 항암 신약 국내 2상 승인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대표 박영환)는 9월 19일 나노항암신약인 SNB-101(주성분: SN-38)에 대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임상 2상 시험 계획(IND) 승인을 받았다. 임상 2상은 ‘표준 치료에 불응하는 진행성, 재발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SNB-101 단독 요법의 안전성,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공개, 제2상 임상 시험’으로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높은 소세포폐암, 직장암, 두경부암,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번 임상 2상을 통하여 권장 용량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안전성 및 유효성을 연구할 예정이다. SNB-101은 2020년 2월 한국 식약처에서 임상 1상 승인, 2020년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임상 1상 승인, 2023년 7월 FDA에서 희귀 의약품(소세포폐암) 지정을 각각 받았으며, 그동안 국내에서 고형암 환자 대상으로 계획된 1상을 완료했다. 그 결과 기존 유사한 항암제인 이리노테칸제제보다 우수한 안전성과 일부 유효성을 확인했으며, 상세한 내용은 올 10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되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3)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SNB-101 소개 SNB-101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암제 이리노테칸(Irinotecan)의 활성대사체(SN-38)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계 최초의 나노 항암제로,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의 핵심 플랫폼 기술인 ‘이중나노미셀’ 기술이 적용됐다. SNB-101은 활성대사체인 SN-38을 직접 투여하는 장점뿐만 아니라 활성화를 위한 대사 단계가 불필요해 새로운 적응증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NB-101은 기존 나노 항암제가 임상 단계로 진입하지 못했던 가장 큰 장벽 가운데 하나인 대량 생산 기술까지 확보해 현재 유럽 연합(EU) GMP 인증을 받은 항암제 전문 위수탁 생산업체(C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에서 무균 제제로 생산되고 있다. 또 비임상 시험에서 췌장암, 소세포폐암, 비소세포폐암, 위암, 대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바 있으며 면역 항암제, 표적 치료제와 병용 효과도 확인했다.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 소개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는 2017년 5월 설립된 바이오 벤처로, 항암제 나노 의약품에 특화한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연구 개발하며 경기도 성남시 제2판교테크노밸리에 자리하고 있다.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는 의약품 연구 개발 전문가, 세계 최상위권의 바이오 고분자 연구 교수, 임상 교수 등이 주축이 돼 설립됐으며, 설립 초기부터 ‘상용화’에 관점을 두고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고분자나 나노 약물 전달 기술, 알부민 나노 약물 전달 기술을 핵심 플랫폼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서방출성 리포좀, 서방출성 나노입자 등으로 기술을 확장하는 단계다. 언론연락처: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 경영기획실 신병철 차장 031-757-391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강원
    2023-09-26
  • 민족 대명절 추석, 코멕스와 함께하세요… 코멕스, 최대 50% 할인 온·오프라인 프로모션 전개
    52년 전통의 주방생활용품 코멕스산업(대표 구자일, 이하 코멕스)이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을 맞아 최대 50%까지 할인 판매하는 소비자 프로모션을 전개한다. 이번 프로모션은 코멕스 네이버 브랜드 스토어와 티몬 등 온라인 채널과 이마트 매장에서 진행된다. 명절 음식 준비와 식재료 보관에 필요한 코멕스 대표 위생용품, 주방용품을 특별 할인가에 만나볼 수 있다. 먼저 코멕스 네이버 브랜드 스토어에서는 24일까지 밀폐용기와 도마, 물병, 위생용품 등을 최대 30% 할인 판매한다. 대상 제품은 △모듈 시스템으로 공간 활용과 수납에 용이한 ‘에코젠 블록형 보관용기’ △3가지 컬러의 ‘칼자국이 잘 나지 않는 TPU 인덱스 도마세트’ △99.9% 항균으로 위생적인 ‘99.9% 항균 위생용품 시리즈’ 등 10여 종이다. 코멕스 네이버 브랜드 스토어에서는 22일까지 진행되는 생필품 페스타를 통해 ‘면코팅 고무장갑(민트)’을 32% 할인한다. 이번 기획전에서는 10개 세트 구매 시 2켤레를 추가로 증정한다. ‘면코팅 고무장갑(민트)’은 내부 면코팅과 인체공학적 디자인, 팔목 부분의 프릴형 마감처리로 움직임이 많아도 편리해 인기 있는 코멕스의 베스트셀러 제품이다. 티몬에서는 21일 단 하루 동안 코멕스 인기 주방, 리빙용품 50종을 최대 50% 할인과 15% 즉시 할인 혜택을 동시에 제공하는 ‘원데이 특가’ 행사를 진행한다. 대상 제품은 △깔때기형 입구로 내용물을 편하게 따를 수 있는 ‘신선 다용도잡곡통’ △뛰어난 보온보냉력의 ‘손잡이 보온보냉병’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한 ‘비비락 간편용기 36P 세트’ 등 주방용품과 △공간에 맞춰 다양한 수납이 가능한 코멕스 베스트셀러 ‘네오박스’ 등이다. 오프라인에서는 다음달 4일까지 이마트(입점 점포에 한함)에서 코멕스 ‘모멘토 더 클린 투명보관용기’를 30% 할인 판매한다. ‘더 클린 투명보관용기’는 투명함이 돋보이는 밀폐용기로, 시크한 블랙 실리콘이 더해져 모던한 느낌이 특징이다. ‘더 클린 투명보관용기’는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냉장·냉동이 모두 가능해 주방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코멕스는 이번 추석맞이 할인 행사는 민족 대명절을 맞아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코멕스 인기 제품을 만날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됐다며, 온·오프라인 유통망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기획전이 펼쳐지는 만큼 이번 행사를 통해 풍성한 한가위가 보내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코멕스산업 홍보대행 더커뮤니케이션즈 최혜인 프로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강원
    2023-09-26
  • Hong Kong Invites Global Travellers to Discover the City’s Diverse Gastronomy and Nightlife Offerings With a Month-Long Gourmet Extravaganza
    This autumn, Hong Kong Tourism Board invites food and wine lovers from around the world to celebrate the joys of gastronomy in Asia’s culinary capital with the return of the city’s large-scale outdoor culinary event, Hong Kong Wine & Dine Festival. The four-day festival also kicks off a month-long series of vibrant nightlife happenings taking place citywide throughout November. It’s back: Hong Kong Wine & Dine Festival returns in physical format Taking place from 26-29 October at Victoria Harbour’s Central Harbourfront Event Space, Hong Kong Wine & Dine Festival 2023 will be a four-day gourmet extravaganza backdropped by the iconic city skyline. This year’s edition, which is the first physical edition of the event following a five-year hiatus, will boast nearly 300 booths showcasing global food and wine offerings, as well as a suite of interactive workshops for food lovers of all ages. Eligible overseas visitors will also receive a free cocktail on arrival. Wine will naturally be a focus of the Festival, with the popular Major Country Pavilions showcasing makers from 36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is year, the spotlight will be on the classic vintages from France and Italy and emerging wine regions from Thailand, Moldova and Finland. In a Festival first, a dedicated display for Chinese Wine Discovery is being introduced, featuring wine merchants including Xige Estate and Chateau Mihope from Ningxia (Northwest China), Yunnan Red Wine & Spirits, and Shandong-based Mystic Island Winery. The four-day event will allow visitors to indulge in a diverse array of global flavours in a single visit, with dishes ranging from punchy, flavour-filled street food and nostalgic local favourites to refined hotel delicacies by vendors including The Ritz-Carlton Hong Kong. New to the Festival is Tasting Theatre, a number of hands-on workshops will also be on offer for visitors of all ages feeling inspired to roll up their sleeves and don an apron, with insightful and engaging sessions including ‘Plant to Plate’, ‘Origin of the Coffee Bean’, ‘The Story of Rice’ and more. Cooking demonstrations and workshops will be led by celebrity chef He Jiansheng from Shunde, Guangdong and award-winning Taiwanese baker Wu Pao-chun, who will join Hong Kong Wine & Dine Festival for the first time. Taste Around Town takes over Hong Kong throughout November Hong Kong Wine & Dine Festival 2023 will serve as a launching pad for a month of culinary celebrations taking place around Hong Kong. Throughout November, Taste Around Town will highlight over 300 of Hong Kong’s destinations to eat and drink, with a month-long programme of exclusive discounts, limited-time menus and more that will reinforce Hong Kong’s position as one of the world’s great dining cities. Chinese Master Chefs’ Curation Those seeking the latest and greatest in Chinese fine dining won’t want to miss Chinese Master Chefs’ Creation. From 1-30 November, gourmands can savour the new trends in Chinese cuisine prepared by some of the city’s leading Chinese chefs. The lineup includes a host of Michelin-starred restaurants. HK Bar Show Hong Kong’s world-class cocktail scene will also be in the spotlight with a number of bars around the city offering specially crafted Hong Kong-inspired libations. Cocktail lovers will be invited to discover limited-time Hong Kong-inspired cocktails, creations by guest mixologists and live entertainment at over 60 bars around the city, including a number that recently appeared on Asia’s 50 Best Bars. Sip & Savour in LKF Foodies are invited to enjoy 15% off limited-time menu items prepared by some of Lan Kwai Fong’s top chefs and mixologists. Indulge in special tasting menus and wine-pairing dinners at restaurants in one of Hong Kong’s best loved entertainment precincts, with 20 participating venues including Foxglove and Bombay Dreams, with some also featuring live entertainment to elevate the experience. Chill E.A.T. - Everything About Taste This month-long series of multi-dimensional dining events will see over 200 restaurants citywide, provide a platform for rising stars of the culinary world, present sustainable, seaview and immersive dining experiences and offer up to 30% off special menus created exclusively for Taste Around Town. For more details of Hong Kong Wine & Dine Festival 2023 - and for more ways to experience Hong Kong’s world-class gastronomy and nightlife landscape, please visit the HKTB website: DiscoverHongKong.com/WineDineFestival Members of the media can download photos from the following link: https://assetlibrary.hktb.com/assetbank-hktb/action/browseItems?categoryId=1217&categoryTypeId=2&cachedCriteria=1 For more information, please go to: Website www.discoverhongkong.com Facebook @DiscoverHongKong (https://www.facebook.com/hk.discoverhongkong/?brand_redir=114979501871035) Instagram @discoverhongkong (https://www.instagram.com/discoverhongkong/) Twitter @discoverhk (https://twitter.com/discoverhk) YouTube @hongkong (https://www.youtube.com/user/hongkong) WeChat微信 hktbwx Weibo微博 香港旅游发展局 @hktb Tik Tok抖音 @discoverhongkong (https://www.tiktok.com/@discoverhongkong?lang=en)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0907358/en/ 언론연락처: Hong Kong Tourism Board Ms. Holly Chan Senior Manager, Communications +852 2807 6206 Mr. Cameron Tong Manager, Communications +852 2807 636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강원
    2023-09-26
  • 롯데관광개발, 추석 연휴 겨냥 일본 특별 전세기 3편 완판
    롯데관광개발은 다가오는 추석 연휴인 9월 28일, 10월 1일 대한항공으로 출발하는 일본 특별 전세기 3종 패키지(3박 4일)의 901개 전 좌석이 판매됐다고 21일 밝혔다. 롯데관광개발은 최장 12일 황금 연휴를 겨냥해 아직 정기편이 재개되지 않은 고마츠(274석), 오카야마(274석), 가고시마(353석) 등 3개 소도시를 선정해 마련한 이번 패키지(1인 기준 200만원 상당)에 높은 관심이 몰린 것 같다고 밝혔다. 최근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등 대도시가 아닌 일본 소도시들이 천혜의 자연환경과 특유의 고즈넉한 분위기로 그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고마츠 패키지는 도야마와 알펜루트를 잇는 동선으로 방문 시기인 추석 연휴에 오색 단풍을 감상하기 좋다. 다테야마에서 나가노까지 총 37.4km 거리를 케이블카, 버스, 로프웨이, 고원버스 등 6개의 다양한 교통편으로 횡단하며 대자연을 만끽할 수 있다. 오카야마 패키지는 북쪽으로 웅장한 절경의 다이센 산과 남쪽으로는 세토내해 지역의 아름다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매력적인 곳이다. 구라시키 미관지구는 오카야마 여행의 대표적인 관광지며 료칸에서 온천과 일본 고급요리인 가이세키 정식을 통해 일본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 가고시마 패키지는 남큐슈 지역의 선맷세니치난, 우도신궁, 활화산 사쿠라지마까지 자연의 아름다움을 품은 명소를 방문한다. 다카치호 협곡 위를 지나며 가을 단풍의 절정을 감상할 수 있는 아마테라스 협곡열차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롯데관광개발만의 특별한 일정이다. 한편 롯데관광개발은 평소 개별여행으로 찾아가기 어려운 삿포로, 아오모리, 요나고 등 일본 소도시 여행 상품을 꾸준히 선보이면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 9월 본격적인 리오프닝(경제 재개) 시대를 맞아 출시했던 일본 소도시 미야자키 단독 전세기 여행 상품이 한 달 만에 436개 전 좌석이 완판된 바 있다. 이외에도 롯데관광개발은 코로나19 이후 업계 처음으로 아시아나항공 단독 전세기를 이용해 야마가타현(쇼나이 공항)으로 11월 중 출발하는 여행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언론연락처: 롯데관광개발 홍보실 윤희성 과장 02-398-294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강원
    2023-09-26
  • 실리콘랩스, 새로운 블루투스 메시 개선 기능 및 네트워크 조명 제어 표준화 프로파일 지원
    더 연결된 세상을 위한 지능형, 보안 무선 기술 분야를 선도하는 실리콘랩스(Silicon Labs, 지사장 백운달)는 블루투스 SIG(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가 블루투스 메시(Bluetooth Mesh)를 위해 새롭게 개선한 기능들을 지원하고, 이와 함께 블루투스 메시를 사용하는 상업용 및 산업용 조명에 단일 표준을 제공하고자 하는 새로운 네트워크 조명 제어(NLC) 표준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실리콘랩스의 산업용 및 상업용 사업부를 총괄하는 로스 사볼치크(Ross Sabolcik) 수석 부사장은 “블루투스 SIG가 발표한 새로운 개선 사항과 프로파일은 실리콘랩스의 디바이스에서 지원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고객들이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을 최적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보안을 강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실리콘랩스의 디바이스는 2017년 출시 이후 블루투스 메시를 지원해 왔다. 실리콘랩스는 수많은 고객이 빌딩 자동화, 예방 정비, 상업용 조명과 같은 활용 사례에 이 표준을 채택할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고 말했다. 실리콘랩스의 블루투스 SoC와 모듈이 지원하는 새로운 기능들 실리콘랩스의 디바이스들은 다음과 같은 새롭게 개선된 블루투스 메시 기능들을 지원한다: · 디바이스 펌웨어 업데이트: 메시 네트워크에는 수백개의 노드가 구축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 노드는 펌웨어에 의존해 최상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고 위협에서 보호하며 네트워크의 최신 기능을 활용한다. 디바이스 펌웨어 업데이트는 이제 운영자가 한 개의 디바이스를 업데이트하면 네트워크의 나머지 다른 디바이스들에 업데이트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이 프로세스를 크게 간소화한다. · 원격 프로비저닝: 기존 블루투스 메시에서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각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프로비저닝해야 했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뿐 아니라 환경에 따라 위험하기도 했다. 원격 프로비저닝을 사용하면 운영자가 새 디바이스의 직접적인 범위 안에 있지 않아도 네트워크 자체가 디바이스를 프로비저닝할 수 있다. · 인증서 기반 프로비저닝: 위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침입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제조 과정에서 디바이스에 고유한 인증서를 주입함으로써 네트워크 운영자가 네트워크에 새로 추가되는 디바이스를 인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 프라이빗 비콘: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프라이빗 비콘은 네트워크 외부에서 공유되는 비콘의 정적 정보를 암호화 기법을 사용해 제거한다. 그 결과, 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와 그 사용자를 악의적인 공격자가 더 이상 추적할 수 없게 된다. 이 네 가지 기능은 BG21, BG22, BG24, BG27 SoC 및 모듈에서 지원된다. 표준화된 네트워크 조명 제어(NLC) 디바이스 프로파일로 상업용 조명의 상호 운용성 향상 블루투스 기술이 일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 된 이유 가운데 하나는 표준화에 있다. 블루투스 연결은 휴대전화, PC, 헤드폰, 게임 컨트롤러, 차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그 밖에 수많은 디바이스 사이에서 표준을 기반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이런 연결을 처음 시작하는 모든 디바이스 프로필에 대한 신뢰가 구축 및 확립돼 보편적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블루투스 SIG는 새로운 네트워크 조명 제어(NLC) 디바이스 프로파일 번들 버전을 발표함으로써 다음 단계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 표준화된 프로파일은 상호 운용성과 확장성을 개선하고 현장에서의 통합을 간소화하며, 블루투스 에코시스템을 더 성장시킬 것이다. 이번에 새롭게 강화된 기능들을 지원하는 실리콘랩스의 블루투스 SoC 및 모듈 제품들은 주변광 센서, 기본 신 셀렉터(basic scene selector), 디밍 제어, 기본 밝기 컨트롤러, 재실 센서와 같은 NLC 프로파일도 지원할 수 있다. 실리콘랩스와 블루투스 메시로 새로운 솔루션 구축하기 새롭게 강화된 블루투스 메시 기능을 활용하고자 하는 실리콘랩스 고객은 최신 SDK를 다운로드하고 실리콘랩스에 문의하면 된다. 또 개발자는 실리콘랩스의 교육 자료 라이브러리에서 블루투스 메시 및 기타 블루투스 IoT 도구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 실리콘랩스 블루투스 메시 학습 센터 · 실리콘랩스의 새로운 블루투스 메시 블로그 · 새로운 블루투스 메시 기능 강화에 대해 깊이 있게 분석한 새로운 백서 · 실리콘랩스 Works With 개발자 컨퍼런스의 무료 온디맨드 동영상 세션의 블루투스 LE 디바이스 개발 트랙 · 업데이트된 실리콘랩스 블루투스 셀렉터 가이드 실리콘랩스 소개 실리콘랩스(Silicon Labs, NASDAQ: SLAB)는 더 연결된 세상을 위한 보안 및 지능형 무선 기술 분야 선도 기업이다. 실리콘랩스는 통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 직관적인 개발 도구, 업계 최고의 에코시스템 및 강력한 지원을 통해 첨단 산업, 상업, 가정 및 생활용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이상적인 장기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실리콘랩스는 개발자가 제품 수명 주기 동안 무선 기술과 관련한 복잡한 과제를 쉽게 해결하고, 산업을 변화시키고 경제를 성장시키며 일상을 개선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신속한 출시를 이룰 수 있게 한다. 언론연락처: 실리콘랩스 홍보대행 페리엔 박윤희 실장 02-565-66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강원
    2023-09-26
  • 한화그룹, 협력사 대금 약 1750억 조기지급 등 추석 맞이 이웃사랑 상생경영활동 펼쳐
    한화그룹(회장 김승연) 주요 계열사들이 추석을 앞두고 협력사 대금 약 1750억원 가량을 현금으로 조기 지급하고 추석 명절 나눔 행사를 진행한다. 명절을 앞두고 협력사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한화그룹 주요 계열사들은 설/추석 명절마다 대금을 조기에 지급해 왔다. 협력사 입장에서는 명절을 앞두고 원자재 대금 등 운영 자금 수요가 일시적으로 늘어나는데, 예정된 자금을 조기에 현금으로 집행해 협력사의 자금 운용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계열사별로는 한화 225억원, 한화솔루션 225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430억원, 한화시스템 69억원, 한화오션 450억원 등 약 1750억원의 대금을 평소보다 앞당겨 현금으로 지급한다. 또한 한화그룹 주요 계열사들은 지역 특산품 등을 구매해 사내 상주 협력업체 및 용역직원, 주요 고객들에게 명절 선물로 증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지역 특산품 구매 금액만 총 51억원에 이르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밖에도 한화그룹 계열사들은 전국 각지에서 지역 사회를 위한 나눔 활동도 병행한다. 지역사회복지관, 봉사센터를 통해 기초생활 수급 세대 등 소외계층에게 명절 후원 물품(식료품/도시락/힐링 용품 등)을 전달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비전, 한화정밀기계, 비전넥스트 등 판교에 사업장을 둔 4개사의 임직원들은 20일 성남시자원봉사센터와 함께 ‘한화와 함께하는 사랑의 한가위 희망나눔’ 행사를 진행했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 울산공장과 여수공장은 12일 관내 행정복지센터와 지역아동센터연합회, 가족플러스센터로 2000만원 상당의 물품과 온누리상품권을 전달했다. 갤러리아백화점은 전국 우수 농수산품 판매 프로그램인 아름드리 및 비욘드팜 매장을 통해 지역 상품의 명품화와 판매 활성화를 지원한다. 또한, 중소기업중앙회와 연계된 백화점 5개사 등과 유통 분야 바이어 공동 품평회를 개최해 중소상인 입점 검토 등 판로를 지원한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그늘이 더욱 깊어지는 시기인 만큼 우리 사회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기업의 책임에도 적극적으로 임하자”라고 강조했다. 언론연락처: 한화그룹 커뮤니케이션위원회 02-729-112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강원
    2023-09-26
  • 프리뉴, 인도네시아 로봇 AI 전문기업 SARI Technology와 MOU 체결
    종합무인항공기 전문 제조/개발 기업 프리뉴가 인도네시아 로봇 AI 전문기업인 SARI Technology와 파트너 체결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SARI Technology는 인도네시아 Royal Group 산하 로봇 및 무인기술 전문기업으로, Royal Group은 인도네시아 내 전투기 조종 시뮬레이터 및 무인기를 포함한 군수물자 유통사업 업체다. 인도네시아 치카랑에서 개최된 ‘K-Robot & Drone Technology Road Show’에서 프리뉴는 한국 방산시장에서 검증을 마친 자사 독자적인 보안모듈이 장착된 무인기 전용 데이터링크를 통해 무인기가 수집하는 민감한 정보의 보안성을 강화해 방산 시장의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기술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이번 K-Robot & Drone Technology Road Show에서 프리뉴는 국내 군 시장에 납품하며 축적된 정찰 드론 기술과 경험을 인도네시아 시장으로 확대하고, SARI Technology는 프리뉴의 유저 친화적 제조 기술로 인도네시아 시장에 맞는 무인기를 맞춤형으로 제조 및 공급 가능함에 주목하며 MOU를 추진했다. 프리뉴는 방위사업뿐만 아니라 물류, 측량, 점검 등 인도네시아 내 다양한 민간분야 드론 시장의 공동 개발에 대한 목표를 수립해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인구 2억4000만명 규모의 세계 4위 내수 시장을 확보한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의 발판 마련을 기대하고 있다. 프리뉴 김상우 해외영업팀장은 “전 세계적으로 방위산업에서 무인기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이번 MOU를 통해 한국의 발전된 무인기 기술을 인도네시아 시장에 소개해 프리뉴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한편 Sari Technology의 Yohanes Kurnia 대표 및 임직원들은 올 10월에 열릴 ADEX 전시회 때 한국을 방문해 프리뉴의 헬리콥터형 무인기 ‘루펠’을 시찰할 계획이다. 프리뉴 소개 프리뉴는 무인항공기(드론) H/W 제조기술, S/W 개발 기술과 IT 핵심 기술의 융합을 통해 획기적인 드론 시스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선도적인 드론 전문 기업이다. I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드론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언론연락처: 프리뉴 마케팅팀 박정화 주임 070-4639-190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강원
    2023-09-26
  •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 빅데이터 분석 통해 ‘2023 추석 트렌드’ 분석 결과 발표
    엔데믹 이후 첫 번째 맞이하는 명절이자, 10월 2일 대체 공휴일 지정과 함께 약 6일의 연휴가 보장되면서 2023년 추석엔 새로운 모습들이 포착됐다. 막혔던 하늘길이 열리고 해외 입국 규제 및 코로나19에 따른 제한이 해제되면서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이 늘었고, 기존에 과일·한우·생활용품 등이 주를 이뤘던 선물세트는 친환경·취향 등을 반영한 제품이 인기다. 종합커뮤니케이션그룹 KPR(사장 김주호) 부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는 ‘2023 추석 트렌드’와 관련한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한 결과, 2023 추석 연휴를 맞이해 미코노미 트렌드를 반영한 선물세트의 인기와 해외여행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고 밝혔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발발한 2020년을 기점으로 2022년까지 추석 선물에 대한 언급량은 꾸준히 줄어들었지만, 2023년에는 추석 선물과 관련한 언급량이 늘어났고 함께 언급되는 선물세트 역시 다양해졌다. 추석 선물이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많이 주고받는 과일, 한우세트 역시 올해 추석 선물로 꾸준히 언급됐다. 최근 1인 가구가 많아지고, 가구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사과나 배 등 한 가지 과일을 담은 과일세트뿐만 아니라 샤인 머스캣, 애플망고, 멜론 등을 함께 선물하는 프리미엄 과일세트가 언급량이 크게 늘었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의 미코노미 트렌드에 힘입어 추석 선물도 가치 소비에 맞춰 포장재와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인 친환경 제품으로 구성된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었고, 저탄소 농법을 적용해 생산한 과일세트 역시 빅데이터상에서 언급됐다. 한편 10월 2일 대체 공휴일 지정과 함께 약 6일의 연휴가 보장되면서 연휴 기간 여행을 가려는 움직임도 확인됐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의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2023 추석 연휴 기간 국내외 여행에 대한 언급량이 많았다. 특히 10월 2일 임시공휴일이 제정된 8월 31일 관련 언급량이 가장 많았고, 해당 일을 기점으로 꾸준히 국내외 여행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다. 6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추석 기간 해외여행 관련 언급량은 7194건, 국내여행 관련 언급량은 5676건이었다. 2022년 같은 기간 언급량이 해외여행 4374건, 국내여행 5723건인 것을 미뤄본다면 해외여행에 대한 언급량은 약 64% 증가한 것으로, 추석 연휴 기간 해외여행에 대한 관심은 증가했고, 국내여행의 경우 명절 연휴를 보내는 하나의 방식으로 자리 잡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 재유행 감소 추세였지만 입국 PCR이 존재하던 2022년에는 해외 입출국이 비교적 자유롭지 않았던 탓에 싱가포르, 태국, 프랑스, 베트남 등 백신 미접종자도 격리 없이 입국할 수 있는 곳들이 대표적인 여행지로 등장했다. 2023년의 경우 입국 PCR이 전면 폐지됐고, 대부분 국가들을 팬데믹 이전과 동일하게 입국할 수 있어 다양한 여행지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역대급 엔저 현상으로 일본에 대한 언급량이 가장 많았고, 올해 입국 제한이 해제된 홍콩·중국·대만 등에 대한 언급이 늘었다. 한글날 휴가와 함께 며칠의 연차를 사용하면 최장 12일까지 연휴를 즐길 수 있어 미국이나 유럽 등 장거리 여행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있었다. 국내여행의 경우, 제주도나 부산, 강원도 등 대표적인 국내여행지에 대한 언급도 많았지만 추석 연휴에 방문하는 친척 집 인근 지역으로 여행을 가려는 관심과 호텔을 예약해 호캉스를 즐기며 휴식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주를 이뤘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 김은용 소장은 “엔데믹 이후 약 3년 만에 정상화된 명절 연휴를 기다리며 여행과 선물 등을 준비하며 각자의 방식으로 추석을 준비하고 있다”며 “추석 선물에도 자신의 가치 소비를 반영하는 미코노미 성향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가치 소비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2023년 추석 트렌드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과 자세한 내용은 KPR 디지털 매거진 ‘ㅋ.ㄷ’ 2023년 가을호에 게재됐으며, KPR 공식 블로그 (https://blog.kpr.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KPR 박주완 02-3406-227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09-20
  • 아퀼라 클린 에너지 APAC, 한국의 알파자산운용 및 센트럴이엔지와 30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 투자 협약 체결
    아퀼라 클린 에너지 APAC(Aquila Clean Energy APAC (https://www.aquila-clean-energy-apac.com/), 이하 ACE APAC)은 국내 기업인 알파자산운용과 국내 프로젝트 개발사인 센트럴이엔지와 공동으로 한국에서 30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PV)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ACE APAC은 아태지역 전역에서 태양광 발전, 풍력 및 배터리 저장장치 등과 같은 청정에너지 프로젝트를 위한 투자자산운용, 개발, 건설 및 사업시설 운영을 수행하는 청정에너지 플랫폼 기업이다. ACE APAC은 전 세계적으로 149억유로(한화 21조7000억원)의 자산운용과 13.9GW의 청정에너지 발전 용량을 보유하고 있는 독일 함부르크에 본사를 둔 아퀼라 그룹(Aquila Group)의 계열사이다. 이번 태양광 발전 투자 협약은 ACE APAC이 2022년 9월, 한국 법인을 설립한 이후 한국 시장에 대한 첫 번째 투자이다. 이 회사는 그린필드(Greenfield) 프로젝트 개발사로서의 핵심 역량은 물론, 주요 아태지역 시장 및 유럽 전역에서 구축한 풍부한 투자 및 자산운용 경험을 활용해 이번 프로젝트가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주력할 방침이다. ACE APAC은 국내 인허가를 전담하게 될 센트럴이엔지와 협력해 프로젝트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ACE APAC의 알렉산더 렌즈(Alexander Lenz) CEO는 “한국 정부는 청정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청정에너지원 비중을 에너지 수요의 20%까지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태양광 투자는 이러한 목표를 뒷받침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특히 원활한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예상되는 한국 시장에서 ACE APAC이 기반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알렉산더 렌즈는 “이번 협약을 체결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한국의 현지 파트너들과 더 많은 태양광, 풍력 및 에너지 저장장치 사업 개발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 ACE APAC의 핵심 시장인 한국의 청정에너지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퀼라 클린 에너지의 한국 대표인 김지홍 대표는 “한국에서 우리의 사업 전략은 지역사회와 파트너를 위한 가치를 창출하고, 한국의 청정에너지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알파자산운용 및 센트럴이엔지와 같은 국내 전문 업체들과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알파자산운용 및 센트럴이엔지와 우리의 전문지식을 상호 보완함으로써 계속해서 국내 청정에너지 산업의 중요 기회를 포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알파자산운용의 이주행 상무는 “이번 협약에 참여하게 된 결정적 요소는 아퀼라 클린 에너지의 국내 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는 물론, 관련 Global 청정에너지 발전 산업 분야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게 작용했다”며 “이 회사는 청정에너지 관련 Global 투자 및 자산운용 분야에서 이미 검증된 실적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 청정에너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개발하는데 중요한 개발 노하우를 갖춘 팀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이번 협약이 미래의 청정에너지 개발 프로젝트의 좋은 선례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ACE APAC은 에너지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한 호주, 뉴질랜드, 일본, 대만 등의 주요 시장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 회사는 최근 남태평양 지역에 완벽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팀을 확장하기 위해 데니스 프리드먼(Dennis Freedman)을 호주 및 뉴질랜드 총괄 책임자로 임명했다. 아퀼라 클린 에너지 소개 아퀼라 클린 에너지 APAC(Aquila Clean Energy Asia Pacific, ACE APAC)은 아태지역 전역에서 태양광 발전(PV), 풍력 및 배터리 저장장치 자산을 위한 투자자산운용, 개발, 건설 및 사업시설 운영을 수행하는 청정에너지 플랫폼 기업이다. 청정에너지 자산을 개발 및 관리함으로써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에너지 전환을 앞당기는데 주력하고 있다. ACE APAC은 현재 2.6G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이며, 아태지역에 가장 큰 청정에너지 포트폴리오 중 하나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뛰어난 실행능력과 협력, 소통, 지속 가능성, 다양성 및 헌신이라는 가치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각 지역별(싱가포르, 대만, 일본, 한국, 뉴질랜드) 법인은 지역 내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공동의 청정에너지 목표를 달성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ACE APAC의 열정적인 전문가들은 아태지역에서 10GW 이상의 프로젝트 개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ACE APAC은 고객을 대신해 핵심 자산의 개발 및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지속 가능한 투자 및 자산 개발 전문 운용사인 아퀼라 그룹(Aquila Group)의 계열사이다. 아퀼라 그룹은 개발, 투자 및 자산운용 접근방식을 채택해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핵심 자산을 발굴, 개발 및 관리한다. 현재 아퀼라 그룹은 13.9GW 용량의 풍력, 태양광 및 수력 발전 자산을 관리하고 있으며, 전 세계 투자자를 대신해 약 149억유로를 운용하고 있다. 이 회사는 56개국 출신의 6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으며, 16개국에 17개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아퀼라 클린 에너지 한국 홍보대행 트윈트랙스 노지훈 매니저 02-739-734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09-20
  • 맥스트, MAXST AR SDK 6.1.0 업데이트 론칭
    메타버스 플랫폼 전문 기업 맥스트(#377030) (https://maxst.com/)가 AR 개발 플랫폼의 인식 성능을 업그레이드해 MAXST AR SDK 6.1.0 버전 (https://developer.maxst.com/)을 9월 19일 선보인다. 올해 5월 선보인 6.0 버전 이후, 이번 업데이트 (https://developer.maxst.com/MD/downloadsdk) 버전에서는 주요 인식 성능을 향상시켜 더 현실감 있는 AR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MAXST AR SDK 6.1.0 버전은 패키징 기능을 도입, 인식 가능한 타깃의 개수와 속도를 늘렸다. 2D 오브젝트 타깃은 기존 50개에서 최대 1000개까지, 3D 타깃은 기존 3개에서 최대 25개까지 불러올 수 있게 됐다. 공간은 최대 5개까지 로드해 인식 및 추적할 수 있다. 또 3D 공간 인식 및 AR 콘텐츠 트래커 기능(Object Tracker, Object Fusion Tracker, Space Tracker)을 개선해 먼 거리에서도 사물 및 공간을 인식할 수 있고, 카메라 각도 변화에 대한 추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이번 업그레이드로 공간 및 오브젝트에 대한 인식 정확도가 향상, 다양한 분야에서 사실감 있는 AR 경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임이나 교육 분야에서 캐릭터나 오브젝트를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돼 사실적인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고, 여러 이미지 및 3D 모델을 정확하게 인식해 생생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AR 쇼핑과 관광/문화 분야에서는 상품에 대한 사실적인 정보 제공으로 편리한 쇼핑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풍부한 AR 여행 경험과 문화 체험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등 산업 현장에서도 AR 기술을 적용해 현장의 다양한 문제를 정교하게 해결할 수도 있다. 세계적 수준으로 인정받는 AR 개발 플랫폼인 ‘MAXST AR SDK’는 현재까지 50여개 국에서 총 8500개가 넘는 AR 앱들의 개발 키트로 사용되고 있다. 또 3D 오브젝트 맵 데이터 생성 툴 ‘Visual SLAM Tool’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maxst.visualslamtool)과 공간 맵 데이터 생성 툴 ‘MAXSCAN’ (https://apps.apple.com/us/app/maxscan/id6446008701)도 업데이트 해 선보인다. 업데이트된 앱으로 생성된 맵 데이터는 서버 접속없이 로드할 수 있는 타깃의 개수를 향상시키는 패키징 기능을 지원하며, 이는 AR SDK의 인식 성능을 개선한다. 맥스트 조규성 부사장은 “이번 6.1.0 업데이트로 AR 앱의 서비스 영역이 더 확장되기를 바란다”면서 “맥스트의 AR 기술을 꾸준히 고도화해 일상에서 완성도 높은 AR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XR 메타버스 시장은 애플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의 디바이스 발전과 함께 계속 성장하게 될 것”이라며 “당사는 현재 AR 원천 기술을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 영역까지 확장 진보시켜, 애플 비전프로와 같은 제품들에 탑재돼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맥스트 소개 맥스트(Maxst)는 최고라는 ‘Max’에 최상급 표현 ‘~st’를 붙여 ‘증강 현실 분야에서 최고의 회사가 되자’는 목표로 설립된 메타버스 전문 기업이다. 국내 원천 기술로 개발된 증강 현실 엔진을 바탕으로 다양한 증강 현실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2022년 오픈베타 버전을 공개한 메타버스 개발 플랫폼 맥스버스(MAXVERSE)는 누구나 쉽고 빠르게 현실 세계를 메타버스 공간으로 만들고, 현실과도 연결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이다. 맥스트는 국내 메타버스 생태계 발전을 견인할 혁신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언론연락처: 맥스트 민지윤 02-585-956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지역뉴스
    • 영남
    2023-09-2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