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뉴스Home >  지역뉴스 >  호남
실시간뉴스
실시간 호남 기사
-
-
GS더프레시 PB 리얼프라이스,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 2관왕 쾌거
- GS리테일이 운영하는 슈퍼마켓 GS더프레시의 초저가 상생형 자체 브랜드(PB) 리얼프라이스가 우수한 패키지 디자인으로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를 연이어 수상하며 2관왕에 올랐다. GS리테일은 10일 리얼프라이스 스낵 제품 4종(△버터갈릭새우칩 △미니꽈배기 △버터콘 △재미있는 팝콘)이 ‘2023 펜타워즈(Pentawards)’ 식품 부문 동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17회째를 맞은 펜타워즈는 패키지 부문 세계 최고 권위의 디자인 공모전이다. 해당 제품은 앞선 3일(현지 시각)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 중 하나인 ‘2023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에서도 패키지 디자인 본상(Package Design Winner)을 수상한 바 있다. 공신력 있는 기관으로부터 연이어 디자인 역량을 인정받은 셈이다. GS리테일은 지난해 스낵 제품 패키지 디자인을 리뉴얼했던 것이 이번 수상에 주효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간 가격 측면만 강조됐던 PB상품 패키지 디자인의 한계를 넘어 재미있는 디자인 요소를 적용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함은 물론, 제품 정체성도 명확히 드러냈다. 디자인을 담당한 박수경 GS리테일 플랫폼디자인팀 디자이너는 ‘머리가 설 만큼 놀라운 맛(Hair-raising snack)’이라는 제품 콘셉트를 패키지에 재치 있으면서도 직관적인 이미지로 담아냈다. 머리·머리카락을 뜻하기도 하는 ‘헤어(hair)’라는 단어를 활용해 머리카락이 스낵으로 표현된 귀여운 아이 캐릭터를 패키지 중앙에 배치했다. 4가지 제품 맛에 따라 각기 다른 스낵으로 표현된 머리카락을 만나볼 수 있는 재미도 더했다. 디자인을 마케팅 전략에 잘 연계했다는 평가도 받았다. 슈퍼마켓 핵심 고객층인 아이를 동반한 주부를 겨냥해, 패키지만 봐도 어떤 내용물이 담겨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해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높였다. 동시에 웃는 어린아이 캐릭터를 앞세워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호감과 친밀감을 선사한다. 이렇듯 가시성과 주목도를 모두 높인 패키지는 실제 제품 매출 향상에도 영향을 끼쳤다. GS리테일 판매 데이터 분석 결과 패키지 리뉴얼 전인 2021년과 비교했을 때 2023년(1~10월) 매출이 140% 상승한 것이다. PB상품 특성상 매출 증가는 곧바로 협력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리얼프라이스는 패키지 디자인 리뉴얼을 통해 상생형 PB로서 지속 활약하고 있다. 이정표 GS리테일 플랫폼마케팅부문장은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에서 연이은 수상으로 GS리테일의 상품 및 디자인 역량이 글로벌 최고 수준임을 증명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에게 브랜드 가치를 담은 혁신적인 디자인을 지속 선보이며 업계 디자인 리딩 기업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GS리테일 커뮤니케이션팀 김태영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GS더프레시 PB 리얼프라이스,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 2관왕 쾌거
-
-
라이트스케일, 국내 블록체인 기술 기업 수호아이오와 MOU 체결
- 위메이드(대표 장현국)의 자회사 라이트스케일이 국내 블록체인 기술 기업 수호아이오(Sooho.io)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옵티미스틱 롤업 네트워크를 만드는 라이트스케일은 올해 9월 이더리움 레이어 2 크로마(Kroma) 메인넷을 성공적으로 출시한 뒤, 크로마 생태계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수호아이오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라이트스케일과 함께 공동 마케팅을 진행하고, 이용자 확보와 전략적 파트너를 공유할 예정이다. 라이트스케일의 박태규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에 대해 “수호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블록체인 기술 회사 가운데 하나로, 앞으로 양 사가 만들어 갈 시너지가 기대된다. 수호와 함께 최고 수준의 블록체인 생태계를 선보일 것”라고 말했다. 수호아이오 박지수 대표는 이번 MOU 체결과 관련해 “국내 대표 이더리움 레이어 2 프로젝트인 크로마의 생태계 저변을 넓히기 위한 상호 운용 인프라(브리지) 구축에 기여하게 돼 기쁘다”며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에 발 맞춰 다양한 이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수호아이오 소개 수호아이오는 소프트웨어 보안 전문 국내 연구진들이 모여 2018년 8월에 설립된 스마트 콘트랙트 기술 스타트업으로, 자동화된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서비스업체로 출발했다. 국내 대기업들과 주요 검증 기관을 포함한 200여개 회원사에 스마트 콘트랙트 개발, 검증 엔진 ‘오딘(Odin)’을 제공하고 있다. 설립 이후 위메이드 블록체인 계열사 위메이드 트리와 우리기술투자에서 총 1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라이트스케일 소개 라이트스케일(Lightscale Inc)은 이더리움 레이어 2 크로마(Kroma)를 만드는 회사다. ‘미르4’, '나이트크로우 등 게임을 만드는 위메이드 자회사로, 위메이드의 게임을 이더리움 생태계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라이트스케일의 크로마(Kroma)는 옵티미스틱 롤업과 영지식 이더리움 가상 머신(Optimistic rollup with zkEVM)으로 시작해 영지식 롤업(ZK rollup)으로 진화할 예정이다. 라이트스케일은 이더리움 생태계를 위한 실용적이고, 적응할 수 있으며, 사용자 친화적인 L2(2계층) 솔루션을 개발한다. 언론연락처: 라이트스케일 사업팀 장준영 이사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라이트스케일, 국내 블록체인 기술 기업 수호아이오와 MOU 체결
-
-
헥사팩토리, 터널 점검용 드론 솔루션으로 ‘2023 스마트건설 챌린지’에서 ‘혁신상’ 수상
- 산업용 드론 및 무인이동체 개발 전문기업 헥사팩토리(대표 김성민)는 22일 ‘터널 점검용 드론 솔루션’으로 ‘2023 스마트건설 챌린지 도로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헥사팩토리에서 개발한 실내 시설물 점검용 드론 솔루션은 지하, 실내공간, 밀폐공간, 터널 등 GPS가 수신되지 않는 공간에서도 Visual SLAM 기술과 3D LiDAR SLAM 기술을 사용해 안전하게 비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대형 선박, 사회 기반 시설 등에는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공간들이 많지만 현실적으로 이런 곳의 이상유무 점검을 주기적으로 하기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산업현장에서는 이런 곳에서의 사건/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다. 조선업, 건설업, 제조업 등의 중대재해 사례들을 보면 지난 5년간 약 500건의 사망사고와 매년 수천건의 재해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실내의 고소 구간, 밀폐 구간 등은 사람의 접근이 어려워 기존에는 비계(족장)의 설치 혹은 로프에 매달려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점검 방법은 유지보수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작업자도 위험을 감수하며 업무를 해야한다. 헥사팩토리의 실내 시설물 점검 드론 솔루션은 2018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다양한 형태로 고도화를 해오고 있다. 최근 개발한 ‘헥사 세이프-X’ 드론에는 4K EO 카메라와 IR 카메라를 탑재해 다양한 환경에서 실화상과 열화상 사진/영상으로 시설물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으며, 빛이 들어오지 않은 어두운 공간에서도 비행을 할 수 있도록 저반사 고휘도 LED를 탑재했다. 또한 드론 전체를 감싸고 있는 풀가드 타입의 카본 프레임이 드론을 보호하고 있고, 장애물과의 충돌방지를 위한 장애물 탐지 및 회피용 라이다를 탑재하고 있어 안전하게 비행이 가능하다. 헥사팩토리의 실내 시설물 점검용 드론으로 전국에 위치한 터널의 환기시설 및 바람 터널 등을 안전하게 점검을 할 수 있으며, 도로 시설물을 비롯해 지하 하수관로, 굴뚝, 대형 선박, 대형 건물 등에 접목해 활용할 수 있다. 헥사팩토리 김성민 대표는 “실내 시설물 점검용 드론을 활용해 국내 최초로 대형 플로팅 도크의 점검을 완료했다”며 “비계 설치 후 사람이 점검하는 기존 방식은 비계 설치에 약 1개월 이상, 비용도 1억원 이상 소요되지만 헥사 세이프-X 드론 솔루션은 단 4일 만에 점검을 완수하고, 비용 또한 기존 대비 1/10 이상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성민 대표는 “기존 드론은 실내에선 조종 불능, 충돌 등으로 인해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당사의 실내 시설물 점검용 드론을 적용하면 안전, 시간, 비용 등 많은 부분에서 자원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며 “현재 개발 중인 ‘헥사 세이프-X V5’ 모델에서는 완전 자율비행 기능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헥사팩토리 소개 헥사팩토리는 2013년 4월 설립한 무인 이동체, 드론 개발 전문 기업이다. 20여 년간 축적한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드론 개발에도 접목해 드론 산업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헥사팩토리는 일반 소비자용 드론에서부터 전문 산업용 드론까지 고객에게 최적화된 드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 드론용 자동제어 낙하산의 출시를 시작으로 드론 개발뿐 아니라 IoT 플랫폼과 드론을 접목시켜 드론 시장을 개척해나가고 있다. 언론연락처: 헥사팩토리 김성민 대표이사 070-4727-200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헥사팩토리, 터널 점검용 드론 솔루션으로 ‘2023 스마트건설 챌린지’에서 ‘혁신상’ 수상
-
-
해요미디어 ‘검찰은 왜 고래고기를 돌려줬을까 2’ 출간
- 해요미디어가 ‘검찰은 왜 고래고기를 돌려줬을까 2’를 출간했다. ‘검찰은 왜 고래고기를 돌려줬을까 2’는 검찰개혁 실패의 역사를 반추하면서 검찰개혁의 당위성을 역설한 책이다. 저자에 따르면 검찰개혁은 단순히 수사구조를 개혁하는 차원을 넘어 정의와 공정이 구현되는 세상을 만드는 데 필수불가결한 역사적 과제다. 그 점에서 검찰개혁은 민주주의 및 민생과 직결된다고 강조한다. 검찰개혁의 목적은 검찰 해체가 아니라 과도한 검찰권 분산이다. 검찰의 수사권을 박탈(검수완박)하는 게 아니라 타 기관으로 이관함으로써 수사·기소 분리라는 선진적 형사사법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검찰개혁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목표를 선명히 제시한다. 책에서는 한편으로 문재인 정부의 검찰개혁이 실패한 원인을 분석하고, 윤석열 정부 출범 직전 더불어민주당이 밀어붙인 검찰 수사권 축소 관련 법안이 어떻게 변질하고 망가졌는지를 사진을 찍듯이 정밀하게 기록했다. 저자의 지속적이고도 절박한 경고를 민주당이 진지하게 귀담아들었다면 법무부가 주도한 ‘검수원복’이 빚어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저자는 이 책을 ‘패배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기록이라 설명한다. ‘검란 징비록(檢亂 懲毖錄)’이라는 부제가 어울리는 이유다. 2019년 저자가 펴낸 동명의 책 ‘검찰은 왜 고래고기를 돌려줬을까’의 속편 격이다. 해요미디어 소개 해요미디어는 시사지 기자 출신이 운영하는 출판사로 시사 콘텐츠에 관심이 많다. ‘따뜻한 정의’를 지향하며, 백범 김구 선생이 염원한 대로 우리나라가 ‘높은 문화의 힘’을 갖추는 데 이바지하겠다는 자세로 일한다. 언론연락처: 해요미디어 조성식 대표 0505-043-738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해요미디어 ‘검찰은 왜 고래고기를 돌려줬을까 2’ 출간
-
-
삼성스토어, 살균·청정 기능으로 일상 속 건강 지켜주는 ‘5대 건강 관리 가전’ 제안
- 삼성스토어가 살균 및 청정 기능이 더해 일상 속 건강을 지켜주는 ‘5대 건강 관리 가전’을 제안한다. 본격화된 겨울 추위로 실내 생활시간이 길어지고 미세먼지 유입으로 실내 공기질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집먼지진드기와 최근 빈대 확산으로 살균 케어의 필요성 역시 대두된다. 이에 삼성스토어가 고객들의 쾌적하고 안전한 일상을 위해 스마트 살균·청정 기능이 탑재된 건강 관리 가전제품을 소개한다. 고온으로 빈대, 집먼지진드기 퇴치하는 ‘살균 케어’ BESPOKE 그랑데 세탁기 AI ‘살균세탁’ 코스는 권장 사용량 9kg 범위 내 용량으로 세탁수 온도를 70도 이상으로 높일 수 있고 약 30분간 유지해 옷감에 숨어있을 수 있는 집먼지진드기, 유해 세균을 99.9% 박멸한다. 학계는 48도에서 20분 이상 가열하면 빈대를 방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집먼지진드기, 유해 세균 99.9% 박멸: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꽃가루(잔디, 자작나무, 돼지풀꽃, 일본 삼나무)으로 각 오염된 시험포를 부착해 시험. 국제인증기관 Intertek의 검증을 받은 자사 시험 결과로 실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세탁 후에는 건조기로 더욱 확실하게 살균 케어를 할 수 있다. BESPOKE 그랑데 건조기 AI의 ‘살균건조’ 코스는 내부 온도를 약 70도 이상으로 높이고 약 40분간 유지해 옷 속에 침투한 유해 세균, 꽃가루 등을 제거해 준다. 빈대에 오염된 의류, 커튼, 매트리스 커버 등은 50~60도 온도에서 30분 이상 건조해 방제할 수 있다. ※ 세균, 꽃가루 제거 효과: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꽃가루(잔디, 자작나무, 돼지풀꽃, 일본 삼나무)으로 각 오염된 시험포를 부착해 시험. 국제인증기관 Intertek의 검증을 받은 자사 시험 결과로 실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세탁 및 건조가 어려운 의류는 의류관리기를 통해 케어 가능하다. BESPOKE 에어드레서의 ‘살균’ 코스는 내부 온도를 50도 이상으로 약 25분간 이상 유지 가능하고, 최대 70도까지 온도를 높일 수 있어 집먼지진드기를 비롯해 10가지 바이러스까지 제거 가능하며, 빈대 역시 방제할 수 있다. ※ 바이러스, 집먼지진드기 제거: 시험 대상 바이러스, 집먼지진드기로 각 오염된 시험포를 부착해 시험. 국제 인증 기관 Intertek 또는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전임상학실 실험 결과로 실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최적의 실내 환경을 조성해주는 ‘청소·청정 케어’ 국내 최초로 ‘AI+ 인증’을 받은 BESPOKE 제트 AI는 마루, 카펫, 매트 등 청소 환경에 따라 흡입력을 조절한다. 상대적으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숨기 쉬운 카펫에서는 흡입력을 높이고, 매트에서는 낮은 흡입력으로 먼지만 흡입해 효율적인 청소를 돕는다. 또 스스로 상태를 진단하고 유지 보수 가이드를 제공해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잦은 환기가 어려운 겨울철은 무엇보다 실내 공기질 관리가 중요하다. BESPOKE 큐브TM Ai는 ‘AI+ 청정 기술’로 10분마다 실내외 공기질을 비교, 학습해 오염도를 예측하고 미리 실내 공기를 정화한다. 실내 공기질이 좋아지면 스스로 팬을 종료해 에너지를 최대 32% 절감하는 기능도 갖췄다. ※ 스마트 절전 미적용 모델(AX53A***) 대비 에너지 소비 최대 32% 절감 · 시험 방법 : 49.5㎡ 공간에서 PM10 미세먼지 200ug/㎥ 농도 공기청정기 가동 시뮬레이션 · 시험 모드 : 스마트 모드 / 외기 농도 30ug/㎥ · 자사 시뮬레이션 결과로 실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 BESPOKE 건강 관리 가전제품 체험 가능한 삼성스토어 삼성스토어에서는 세탁기부터 건조기, 의류관리기, 청소기, 공기청정기까지 건강 관리 가전제품들의 기능을 한 번에 비교하고 체험해 볼 수 있으며, 전문 디테일러의 1대1 맞춤 상담을 통해 나만의 라이프 스타일에 꼭 맞는 가전제품과 기능을 추천받을 수 있다. 한편 삼성스토어는 고객들의 건강하고 안전한 일상을 위한 다양한 건강 관리 가전 이벤트를 준비했다. 먼저 11월 30일까지 세탁기와 건조기 일체형인 △BESPOKE 그랑데 AI 원바디 Top-Fit △BESPOKE 에어드레서 대용량 제품을 패키지로 구매 시 최대 115만원 상당의 혜택을 제공, △BESPOKE 그랑데 AI 원바디 Top-Fit △BESPOKE 제트 AI 제품을 패키지로 구매 시 최대 50만원 상당의 혜택을 제공한다. * BESPOKE 제트 AI 제품은 행사 모델 한정 삼성전자판매 CE팀장 김진환 상무는 “미세먼지와 바이러스에 이어 최근 빈대까지 건강에 대한 걱정이 늘어났을 고객분들을 위해 삼성전자의 5대 건강 관리 가전을 제안한다”며 “삼성스토어에 방문해 살균·청정 케어 기능이 특화된 제품을 직접 체험해 보고, 특별한 구매 혜택도 받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삼성전자판매 홍보대행 미디컴 허윤경 매니저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삼성스토어, 살균·청정 기능으로 일상 속 건강 지켜주는 ‘5대 건강 관리 가전’ 제안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서울지역대학 문예지 ‘통문’ 제31호 발간
- 도서출판 문학공원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서울지역대학 제37대 학생회(회장 이경순)가 2023년도 제31호 ‘통문’을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통문’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서울지역대학의 학생들이 응모해 온 작품을 엄정한 심사에 의거해 수상자를 결정하고, 응모작들을 게재한 작품집으로 31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문예지다. 이 책은 2023년 활동 화보, 인사말, 초대작품, 통문문학상 수상작, 재학생 시, 재학생 수필, 김혜정 문화국장의 편집후기 순으로 편집됐다. 이번 통문 문학상의 심사는 김순진 문학평론가가 맡았는데, 그는 심사평을 통해 “2023년 방송대 통문 문학상에 응모해 온 작품과 수준에 적이 놀랐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 응모작품의 숫자도 많이 늘었고, 작품성도 빼어난 작품이 많았기 때문이다. 만학도들이 공부하기도 바쁜데 이렇게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열심히 창작활동에 매진한다는 것은 매우 고맙고 반가운 일이다. 심사 과정은 쉽지 않았다. 작품성이 비등해서 ‘누구를 최우수상과 우수상, 가작상과 장려상에 올릴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야 했다”고 심사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2023년 통문문학상 수상자는 △최우수상에 단편소설부문 이성주 △시부문 우수상에 박경훈 △수필부문 우수상에 신연옥 △시부문 가작에는 김덕순, 김정봉 △수필부문 가작에는 이옥임, 이연홍 △시부문 장려상에는 류웅렬, 안화자, 이용기, 이윤행 △한시부문 장려상에는 박정주 △단편소설 부문 장려상에는 김리현 △수필부문 장려상에는 강지영, 김현순, 박선영, 송기숙, 유혜인, 이경순, 한미옥 학우가 차지했다. 이경순 학생회장은 발간사를 통해 “글에서 학우들의 발전과 삶의 도약, 그리고 아름다운 행복한 마음씨를 보았다. 바쁜 일상 중에도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어느 곳에 있더라도 국문인으로 하나가 되는 화합을 이뤘다는 생각이 든다”고 소감을 밝혔다. 국어국문학과 학과장인 박영민 교수는 축사에서 “허무와 권태를 피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말을 고르고 골랐으며 지우고 다시 썼을까. 긴 시간 인고해야 했을 서울지역대학 국어국문학과 학우 여러분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 아울러 통문 제31호를 발간해 그 열매를 맺은 것,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격려했다. 그밖에 안영구 제41대 서울학생회 회장, 이명주 제22대 동문회장, 신성영 고전강독회 대표, 문삼모 문우사랑 대표, 전용희 연신스터디 대표, 이경성 풀밭동인회 대표 등이 축사를 보내와 게재했다. 초대작품에는 등단작가인 △김기월 △도애림 △백금선 △원혜명 △유혜인 △김형준 △주미경 학우의 작품이 게재됐으며, 재학생 시작품에는 △고오례 △김기태 △김미경 △김영숙 △김영숙(2023편입) △김춘이 △김형숙 △박명숙 △박영자 △오정희 △이경순 △이둘선 △이연옥 △이연홍 △장영숙 △정영옥 △정인숙 △조미남 △주남순 △최광희 학우의 작품이 게재됐고, 재학생 수필에는 △곽재심 △김금자 △김옥환 △김웅태 △류광미 △안화자 △오정애 △이둘선 △이연옥 △장경숙 △장순애 △전용희 △정길윤 △최유성 △표갑수 학우의 작품이 게재됐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서울지역대학 학생회의 임원은 다음과 같다. △학생회장 이경순 △수석부회장 전옥정 △실무부회장 김현순 △부회장 박선영, 홍명희 △3학년 대표 박명숙 △2학년 대표 최광휘 △총무국장 박영자 △총무부장 고연심, 김영숙, 송미옥, 신향선, 장경숙, 윤영숙 △학습국장 이윤행 △학습부장 김정매, 노재은, 신연옥, 임명자, 임유순, 한정미 △홍보국장 곽재심 △홍보부장 김기태, 김명자, 송기숙, 송현숙, 이순기, 최현숙 △문화국장 김혜정 △문화부장 김춘이, 김영숙, 박정은, 송양순, 심루시아, 유혜인 △봉사국장 김금자 △봉사부장 김현주, 서현정, 정영옥, 최연주, 한유진, 홍서윤 △정보통신국장 정길윤 △정보통신부장 권정언, 박경숙, 안효정, 원혜명, 이춘규, 표갑수 △체육국장 박경훈 △체육부장 김미숙, 박정주, 이부효, 이옥임, 정지은, 정용운 △대외협력국장 백금선 △대외협력부장 곽은하, 김성렬, 김옥희, 김웅태, 이연옥, 조혜숙(이상 가나다순) 등이다. 도서출판 문학공원 소개 도서출판 문학공원은 문학관련 전문출판사로, 종합문예지 ‘스토리문학’을 20년째 발행해 오고 있으며, 한국스토리문인협회라는 단체의 메인 출판사다. 대표 김순진 시인은 한국문인협회 이사,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 은평예총 회장, 은평문인협회 명예회장, 중앙대문인회 수석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시 창작을 강의하고 있다. 편집장은 전하라 시인이 맡고 있다. 언론연락처: 도서출판 문학공원 홍보팀 전하라 팀장 02-2234-166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서울지역대학 문예지 ‘통문’ 제31호 발간
-
-
국내산 6년근 홍삼과 뉴질랜드 마누카 꿀이 만났다… 정관장 ‘홍삼마누카’ 출시
- 대한민국 홍삼을 대표하는 정관장이 프리미엄 꿀인 마누카 꿀 1위 브랜드 콤비타와 손잡고 홍삼농축액을 담은 ‘홍삼마누카’를 선보인다. ‘홍삼마누카’는 124년 역사의 글로벌 1위 홍삼 브랜드 정관장 홍삼과 50년 전통의 세계적인 마누카꿀 브랜드 콤비타 꿀의 만남으로 출시 전부터 화제가 된 스페셜 제품이다. 마누카꿀은 전 세계에서 뉴질랜드만 자생하는 마누카꽃에서 채밀한 100% 천연 벌꿀이며, 그중에서도 콤비타는 뉴질랜드 마누카꿀협회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해 UMF 라인선스를 획득한 마누카꿀의 대표 브랜드다. 정관장과 콤비타의 만남으로 탄생한 ‘홍삼마누카’는 정관장의 엄격한 관리를 거친 100% 국내산 6년근 홍삼과 콤비타의 철저한 품질 관리를 적용한 100% 뉴질랜드산 UMF10+(Extra Premium급) 마누카꿀에 생강, 모과 등을 더해 지구의 에너지를 담아내기 위한 노력이 담긴 제품이다. 스틱 형태로 휴대가 편리한 ‘홍삼마누카’는 1포에 홍삼농축액 1g과 마누카꿀 umf10+ 750mg가 담겨있다. 영양 가득한 홍삼과 꿀을 한 번에 간편하게 섭취 가능한 제품으로, 프리미엄 꿀과 함께 맛있게 홍삼을 즐기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적합하다. ‘홍삼마누카’는 정관장 로드샵, 백화점, 공식 온라인몰 ‘정몰’, 네이버스마트스토어 등에서 만나볼 수 있다. 향후에는 중국, 싱가포르, 홍콩 등 글로벌시장 진출도 계획 중이다. 언론연락처: KGC인삼공사 홍보실 김현웅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국내산 6년근 홍삼과 뉴질랜드 마누카 꿀이 만났다… 정관장 ‘홍삼마누카’ 출시
-
-
eXp Luxury, 회원수 1100명까지 치솟으며 글로벌 성장세 가속화
- 세계 최고 수준의 에이전트 중심형 부동산 중개법인이자 eXp 월드 홀딩스(eXp World Holdings, Inc., 나스닥: EXPI)의 핵심 자회사인 eXp 리얼티®(eXp Realty®)가 미래지향적 럭셔리 부동산 프로그램인 eXp Luxury 회원수가 미국, 푸에르토리코, 캐나다 전역에 걸쳐 1100명을 돌파했고, 해당 프로그램이 2024년 1분기까지 다른 나라에도 출시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eXp Luxury 프로그램은 eXp Realty가 보유한 독점적인 리소스와 혁신 기술의 강점을 한껏 활용하고 있다. 2022년 10월 미국에서 처음 출시된 이 프로그램은 1년도 채 되지 않아 회원 수가 700명까지 늘어나는 등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캐나다에서는 2023년 9월,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이번 달 출시됐다. eXp Luxury는 2024년 1분기까지 영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포르투갈, 호주, 뉴질랜드로까지 출시 범위가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eXp Realty의 성장부문 최고책임자인 Michael Valdes는 “eXp Luxury가 지닌 독점적인 커뮤니티 수준과 세계적 수준의 리소스, 그 지원 기능을 이용하려는 소속 에이전트들의 강한 열망이 이 프로그램의 글로벌 확장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현재 1100명 이상의 회원이 가입돼 있는 이 프로그램의 글로벌 성장세는 점점 커지고 있다. eXp Luxury의 이 같은 빠른 성장세에 자부심을 느끼며, 럭셔리 부동산의 미래가 보다 새롭고 흥미로운 시장이 될 수 있도록 우리가 노력하는 가운데 보다 많은 에이전트들이 전문가 커뮤니티에 합류할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eXp Luxury program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https://expluxury.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래예측진술 여기에 포함된 진술에는 경영진의 현재 견해와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실제 결과, 성과 또는 사건이 그런 진술에 명시되거나 암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는 알려지거나 알려지지 않은 위험 및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미래 기대 진술 및 기타 미래 예측 진술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진술에는 에이전트 및 중개인 기반의 지속적인 성장, 해외 시장으로의 주거용 부동산 중개 사업 확장, 매출 성장, 재무 성과에 대한 진술이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런 미래 예측 진술은 본 보도자료 배포일을 기준으로 하며, 당사는 이를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할 의무가 없다. 이 같은 진술 내용은 미래 성과를 보장하지 않는다. 실제 결과가 미래 예측 진술에 표현된 것과 실질적이고 불리하게 다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에는 비즈니스 또는 기타 시장 상황의 변화, 수익을 늘리면서 비용 증가를 완만하게 유지하는 어려움, 그리고 가장 최근에 제출된 Form 10-Q 분기별 보고서 및 Form 10-K 연례 보고서 등 당사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서류에 종종 설명된 기타 리스크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eXp World Holdings 소개 eXp World Holdings, Inc.(eXp 월드 홀딩스, 나스닥: EXPI)는 eXp Realty®(eXp 리얼티), Virbela®(버벨라), SUCCESS® Enterprises(석세스 엔터프라이즈)의 지주사다. eXp 리얼티는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 멕시코, 포르투갈, 프랑스, 푸에르토리코, 브라질, 이탈리아, 홍콩, 콜롬비아, 스페인, 이스라엘, 파나마, 독일, 도미니카, 그리스, 뉴질랜드, 칠레, 폴란드, 두바이에 8만9000명 이상의 에이전트를 보유한 세계 최대 독립 부동산 회사며 해외 사업 범위를 계속 확대하고 있다. 상장사인 eXp 월드 홀딩스는 부동산 전문가에게 생산 목표와 회사 성장 전반에 대한 기여한 공로를 주식으로 보상받을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eXp 월드 홀딩스와 각 사업 부문은 혁신적인 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 중개 모델, 전문 서비스, 협업 도구, 개인 개발을 포함한 각종 중개 및 부동산 기술 솔루션을 제공한다. 자사는 클라우드 기반 중개사로 사회성과 협업성이 높은 몰입형 3D 플랫폼 Virbela(버벨라)를 기반으로 하며, 이를 통해 에이전트들이 더 많이 연결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SUCCESS®(석세스) 매거진 및 관련 미디어 자산에 기반을 둔 석세스 엔터프라이즈는 1897년 설립됐으며, 개인 및 전문 개발 브랜드이자 출판사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eXp 월드 홀딩스(eXp World Holdings) 투자 문의 데니스 가르시아(Denise Garcia) 언론 문의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eXp Luxury, 회원수 1100명까지 치솟으며 글로벌 성장세 가속화
-
-
‘모두예술주간 2023 : 장애예술 매니페스토’ 성료… 모두예술극장, 장애예술 담론의 장이 되다
-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사장 김형희, 이하 장문원)이 주최·주관하는 ‘모두예술주간 2023 : 장애예술 매니페스토’가 11월 1일(수)~12일(일) 모두예술극장에서 성황리 진행됐다. 모두예술주간은 올해 10월 개관한 국내 첫 장애예술인 표준공연장인 모두예술극장의 주요 공간에서 펼쳐졌다. 접근성, 장애의 감각 등 장애예술의 주요 이슈를 다루는 국내외 학자·기획자·예술가의 강연, 라운드테이블, 워크숍, 토크, 전시 등 20여 개의 다채로운 프로그램과 모두를 환영한다는 테마 아래 공연장 팸투어 및 숙박지원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대 행사를 함께 선보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를 포용하고 환대한 ‘모두 환영’ 테마 모두예술주간은 올해 행사를 찾는 모든 사람을 포용하며 적극 환영하겠다는 의미로 ‘모두 환영’을 올해의 운영 테마로 선정했다. 먼 거리로 인해 행사 참여에 어려움을 겪는 비수도권 거주 장애예술인 및 장애예술 활동가들에게 행사 방문 기간 중 △숙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두 환영’을 운영했으며, 장애예술 사업을 진행하는 기관 담당자 및 민간 예술가들의 활발한 참여와 네트워킹을 위한 △‘모두 팸투어’를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팸투어에 참여한 수도권을 비롯한 지역 문화재단 및 기관 담당자와 민간 예술가들은 장애예술 프로젝트 진행에 도움이 될 만한 통찰력과 정보를 얻는 자리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모두예술주간은 이번 행사에서 다뤄진 담론이 현장에 연계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 유도해나갈 예정이다.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성을 고려한 기획과 운영으로, 관람 장벽 걷어내 또한 모두예술주간은 프로그램별 이동 지원, 휠체어석, 자막 해설, 수어 통역 제공 등으로 극장 방문 및 프로그램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프로그램 내용을 가공한 ‘쉬운 텍스트’도 홈페이지를 통해 선보였다. 더불어 매 프로그램 진행 전 장애/비장애인이 서로를 포용하고 배려하며 관람하는 ‘모두를 위한 에티켓’ 공지를 통해 관람객들의 성숙한 관람 문화를 이끌어냈다. 12일간 20여 개 프로그램… 연일 흥행 성공 ‘모두예술주간 2023’은 20세기 중반 일어난 새로운 예술운동의 정신과 의미를 밝히는 글을 뜻하는 ‘매니페스토(manifesto, 선언)’라는 주제 아래 장애예술의 시의적절한 화두와 담론으로 많은 이들의 참여와 호응을 이끌어냈다. 행사의 시작은 젠더와 인종, 섹슈얼리티를 포함한 차이의 교차성을 가로지르며 장애예술 운동을 중심으로 활약한 아만다 카시아(휴스턴 대학교 캐서린 G. 맥거번 예술대학 조교수)가 열었다. 11월 1일(수)에는 △강연 ‘접근성 비판 : 제도적 접근성에서 접근성 미학으로’가 진행됐고, 다음 날인 11월 2일(목)에는 △장애의 관점에서 전시와 박물관의 접근성에 중심을 둔 큐레이팅의 실천 사례에 대해 다룬 라운드테이블 ‘접근성을 미학적으로 전유하기 -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가 진행돼 장애예술 및 접근성의 미학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는 예술가와 관련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토 아사(도쿄공업대학 미래인류연구센터 디렉터 겸 ‘기억하는 몸’(현암사, 2020),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은 세상을 어떻게 보는가’(에쎄, 2016)의 저자)는 시각장애와 다른 장애를 예로 들며, 세상을 보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강연 ‘장애의 감각으로 존재한 적 없는 사회를 상상하기’와 △워크숍 ‘보이지 않는 나라를 디자인하기’를 진행했다. 특히 허버트 조지 웰스의 SF 소설 ‘눈먼 자들의 나라’에서 영감을 받은 ‘보이지 않는 나라를 디자인하기’ 워크숍에서는 음식, 건축, 법, 예술, 의사소통 방식 등 한 나라를 구성하는 요소들에서 시각을 제외했을 때 어떻게 변화하는지 각 분야의 전문가, 시각장애인, 비시각장애인이 그룹별 토론을 진행하며 새로운 감각의 나라를 상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와 관련 한 참가자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감각의 바로미터를 벗어나 새롭게 감각의 세계를 재구성해봄으로써 편협한 시각과 제한된 감각의 사각지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는 참여 소감을 전하기도 했다. 11월 9일(목)에는 캐리 샌달(‘소란스러운 몸 : 장애와 퍼포먼스’(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5)의 공동 편집자, 미국 시카고일리노이대학교 장애및인간발달학과 교수, 장애예술 단체 네트워크 Bodies of Work의 디렉터)이 장애예술의 미학을 새롭게 탐색하는 △강연 ‘장애예술 미학의 명명과 주장’, △워크숍 ‘바라보지 않을 것, 바라보는 것, 바라볼 것 - 장애예술을 읽어내는 법’을 진행했다. 캐리 샌달의 강연에서는 ‘장애예술의 ‘접근성’과 ‘포용성’에 대한 담론에서 장애예술 그 자체로 관심을 돌리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라는 주제로 장애인의 신체, 정신, 감각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급진적인 타자성을 주장하는 장애예술 공연에 대해 이야기했다. 또한 ‘모두예술주간 2023’에서는 발달(학습)장애인과의 협업과 상호작용을 토대로 한 포용적 예술(Inclusive Arts)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도 만날 수 있었다. 앨리스 폭스(브라이튼대학교 예술대학 부학장), 한나 맥퍼슨(서섹스, 브라이튼, 베드포드셔대학교 선임 연구원 겸 컨설턴트)이 참여해 한국 기획자, 예술가의 사례발표와 함께 토론을 나누는 △라운드테이블 ‘포용적 예술과 현대미술이 만나는 곳’을 통해 발달장애인의 창작 활동을 현대미술이 어떻게 다룰 것인지 들여다봤다. 이 외에도 모두예술극장 부대시설 내 진행된 장애예술 전시도 높은 호응을 이끌어 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일상적 ‘예술하기’를 시도한 ‘무리무리 아무리’, 작품과 공간, 아티스트와 관객,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짓거나 혹은 무너뜨리는 것이 아닌 모든 요소가 특정한 위계 없이 병렬로 놓이며 나란하게 관계 맺는 구조를 실험한 ‘나란나란’ 전시에 많은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각 프로그램을 통해 생산된 콘텐츠는 추후 ‘모두예술주간 2023’ 공식 누리집(dawis.kr)을 통해 아카이빙 될 예정이다.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소개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으로 설립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은 매년 공모를 통해 장애 예술가의 창작 및 향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장애예술 연구 및 실태 조사 등의 예술 정책을 개발해오고 있다. 장애인 복지 및 수혜 정책 중심의 문화예술 활동을 확장해 문화 다양성 관점에서 발현되는 장애예술의 독특한 감수성과 표현의 가치에 주목한다. 또 이를 발굴·활성화하기 위해 국내외 파트너와 창작 및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세미나, 연구, 교육 연수,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장애인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해 노력한다. 언론연락처: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공연장추진단TF팀 이호선 대리 02-760-976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모두예술주간 2023 : 장애예술 매니페스토’ 성료… 모두예술극장, 장애예술 담론의 장이 되다
-
-
비플식권, 요기요와 손잡고 ‘직장인 식권 배달 주문’ 지원 나선다
-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의 모바일 전자 식권 서비스 ‘비플식권’이 배달 플랫폼 ‘요기요’와 손잡고 배달 서비스 주문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비플식권은 스마트폰 기반의 기업용 식권 서비스로 비플페이 앱을 통해 전국 76만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 기존 지정식당으로 제한된 사용 범위를 넘어 카페, 베이커리, 편의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다. 모바일 식권 서비스 가운데 최대 규모의 오프라인 가맹점을 보유한 비플식권은 요기요와 협업을 통해 기업 고객의 편의성과 식권 사용 범위를 더 넓혔다. 비플식권 사용자는 비플페이 앱에서 요기요 탭을 통해 요기요에 입점한 매장에서 배달 및 포장 주문이 가능하다. 결제는 ‘포인트 사용’ 영역에서 발급된 식권을 선택해 진행할 수 있으며, 식대 지원 범위를 초과한 금액은 개인 계좌 충전금인 ‘비플머니’로 자동 충전해 손쉽게 추가 결제할 수 있다. 요기요는 2000여 개 기업 고객을 보유한 비플식권과 협업을 통해 B2E(Business to Employee) 시장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 비플식권 고객뿐만 아니라 비플페이 앱을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도 비플페이 앱에서 요기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추가 매출 증가도 기대된다. 김홍기 비즈플레이 대표는 “비플식권은 이번 요기요와 제휴를 통해 기업 고객 임직원에게 더 자유도 높은 복지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사 임직원 만족도 제고를 위해 꾸준히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비플식권은 요기요 주문 활성화를 위해 매월 새로운 이벤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11월 한 달간은 비플페이 앱에서 요기요 서비스를 결제한 누구나 일별, 횟수별 제한 없이 건당 1000원부터 최대 5000원까지 즉시 할인받을 수 있다. 비즈플레이 소개 비즈플레이는 디지털 경비지출관리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2014년 6월 웹케시 사내 벤처로 출발한 비즈플레이는 독자 비즈니스 추진을 위해 같은 해 12월 별도 법인으로 분사했다. 2016년 9월 ‘경비지출관리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리포지셔닝하고 새롭게 출범했다. 기업의 무증빙 경비지출관리를 위해 비즈플레이는 국내 최초로 법인 카드는 물론 개인 및 해외 카드 실물 영수증이 필요 없는 전자적 경비지출관리를 구현하고, 기업 전체 경비지출 현황을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100대 기업의 75%, 국내 약 1000개 대기업만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종이 영수증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10년 뒤 대한민국 75% 기업에서 종이 영수증이 사라질 것을 확신하는 비즈플레이는 그 시장을 만들어 간다는 비전 아래 끊임없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비즈플레이 홍보대행 웹케시그룹 김도열 이사 02-3779-061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비플식권, 요기요와 손잡고 ‘직장인 식권 배달 주문’ 지원 나선다
-
-
크레앙, Q15 3 in 1 메탈 초슬림 고속무선충전기 ‘CREQ15’ 출시
- 스마트폰 액세서리 전문 수입·제조 업체인 크레앙은 아이폰, 애플워치, 에어팟 세 가지를 동시에 더욱 빠르게 충전 할 수 있는 Q15 3 in 1 메탈 초슬림 고속무선충전기 ‘CREQ15’를 출시했다. CREQ15는 맥세이프 기능으로 휴대폰을 편리하게 거치하며, 블루투스 이어폰과 애플워치까지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케이블, 충전기들은 CREQ15 하나로 전부 대체 가능하다. CREQ15는 아이폰에 최적화된 맥세이프 기술로 마그네틱 충전 패드에 간편하게 탈 부착 할 수 있고, 가로-세로 모드를 자유롭게 변환해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총 출력 22.5W로 아이폰, 애플워치, 에어팟의 최대 출력량을 소화해 동시 고속 무선 충전을 지원한다. CREQ15는 충전 패드가 완전히 접히는 폴더블 디자인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디바이스 거치가 가능하며,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109.5×64×9.9mm의 작은 사이즈에 150g으로 무게가 가벼워 높은 휴대성을 갖췄다. CREQ15는 LED로 디바이스의 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으며, 스마트 IC를 탑재해 과전류와 과전압을 방지하고 충전 및 방전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켰다. Q15 3 in 1 메탈 초슬림 고속무선충전기(CREQ15)는 블랙, 화이트 두가지 컬러로 출시됐으며, 크레앙 스마트스토어 등 온라인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크레앙 소개 크레앙은 오터박스, 모토로라, 노키아 등 모바일 기기 관련 해외 프리미엄 브랜드 총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주변기기 및 액세서리를 온·오프라인으로 유통하는 전문 기업이다. 자체 브랜드인 ‘CREAN’으로 스마트폰 케이블, 차량용 충전기, 가정용 충전기 등 스마트폰 액세서리를 제조·유통하고 있다. 스마트폰 액세서리 외에 앱세서리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도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크레앙은 수년간 세계적인 브랜드 제품의 총판 및 자체 브랜드 라인업의 경험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의 다채로운 제품을 선호하는 고객 니즈를 충족시켜 드릴 것을 약속한다. 언론연락처: 크레앙 마케팅팀 김청하 02-1800-8310(내선 261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크레앙, Q15 3 in 1 메탈 초슬림 고속무선충전기 ‘CREQ15’ 출시
-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3년 중독예방 캠페인’ 실시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이하 서울센터)는 11월 음주폐해 예방의 달을 맞아 13일부터 30일까지 자가관리를 통한 건강음주 문화 조성을 위한 ‘2023년 중독예방 캠페인’을 블루터치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한다. 중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관대한 음주문화로 인해 알코올 중독에 대한 경각심과 적극적 대처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보건복지부에서는 연말연시 잦은 음주사고 방지 및 음주 폐해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2008년부터 11월을 ‘음주폐해 예방의 달’로 선정하고, 음주폐해에 대한 심각성을 집중적으로 홍보하며 건전한 음주문화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서울센터는 음주 폐해 예방의 달을 맞아 자치구 유관기관과 협력해 서울시 전역에서 중독예방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번 캠페인은 ‘Think Again 프로그램’ 참여로 이뤄지며 건강 음주 및 절주, 알코올 폐해 예방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Think Again’은 단어 그대로 ‘생각하다(Think), 다시(Again)’라는 의미로 스스로 음주 문제를 점검하고, 다시 생각해보며 건강한 음주로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자가관리 프로그램이다. ‘Think, 술·나·변화·유지’ 총 4단계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통해 본인의 음주 문제를 점검할 수 있으며, ‘Think, 변화’ 단계에서 변화 서약서 작성 후 이미지 캡처를 통해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다. ‘2023년 중독예방 캠페인’은 블루터치 홈페이지(www.blutouch.net)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캠페인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센터 블루터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기타 문의는 서울센터 중독관리팀으로 하면 된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소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2005년 전국 최초로 개소한 광역형 정신건강복지센터다. 서울시민들의 정신건강 향상과 정신질환 예방, 정신건강의 어려움이 있는 시민도 더불어 살며 회복되는 행복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정신건강증진기관들과 협력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예방팀 김보람 02-3444-9934(내선23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3년 중독예방 캠페인’ 실시
-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2023 LET’S LOCAL 인천’ 성료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인천센터, 센터장 이한섭)는 11월 8일 ‘2023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 ‘LET’S LOCAL 인천’’(이하 LET’S LOCAL 인천)의 추진을 완료하며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사업에 참여한 6개사의 성과 공유를 위한 발표로 이뤄졌으며, 인천 최대 스타트업 축제인 ‘2023 인천 스타트업 위크’와 연계해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참여 기업 가운데 우수 기업 2개사를 선정해 상장을 수여했다. 이 가운 최우수상은 △인천을 소재로 직접 기획과 디자인한 기념품 판매업체인 ‘인더로컬 협동조합(대표 김아영)’, 우수상은 △강화 쑥을 활용한 비건 두유 그릭요거트 제조업체 ‘라이브어트(대표 박해동)’에 돌아갔다. 또 지원 기업 가운데 5개사는 인천 스타트업 위크 행사장에서 부스를 운영하며 그간의 사업 성과를 방문객에게 선보였다. 수상 기업뿐만 아니라 △소래 꽃게 캐릭터를 활용한 ‘소래풀빵’ 개발업체 ‘소래바다(대표 서진원)’ △소품 관련 브랜드 ‘개항백화(대표 최주영)’ △인천 섬 지역 여행 콘텐츠 기념품 업체 ‘한국스마트치료협회(대표 허정문)’가 방문객에게 제품을 선보였다. 이상철 사업담당 팀장은 “올 한 해 인천센터는 인천시와 함께 유망 로컬 크리에이터 발굴과 육성을 위해 힘써왔다”며 “로컬 크리에이터의 성장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큰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이들을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LET’S LOCAL 인천은 지역 자원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한 사업가를 발굴·육성하는 인천 특화 로컬 크리에이터 사업이다. 인천광역시 주최 아래 진행된 이번 사업은 3월 참여 희망 기업 147개사 가운데 6개사를 선발했으며, 최대 3000만원의 사업화 자금 지원과 함께 로컬에 특화한 교육 및 선진지 탐방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왔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소개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는 인천의 우수한 인적 인프라, 지리적 강점을 바탕으로 인천광역시와 KT, 한진과 협업을 통해 첨단 ICT 기반 신산업 창출 및 스마트 물류 벤처 육성을 추진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스타트업이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올해 팁스(TIPS) 운영사로 선정돼 우수한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고, 투자 유치까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본부 창업육성팀 박서영 매니저 032-458-503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2023 LET’S LOCAL 인천’ 성료
-
-
샘표-휴롬, 소비자중심경영 활성화 위한 간담회 개최
- 우리맛연구중심 샘표가 9일 건강기업 휴롬과 협업해 샘표 본사 1층 우리맛 공간에서 소비자중심경영(Consumer Centered Management, 이하 CCM)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CCM 활성화 및 실천을 위해 CCM 인증기업 간 첫 행사의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행사를 주최한 샘표와 휴롬은 소비자중심경영을 도입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천해왔으며, 각 2021년(샘표), 2016년(휴롬)에 CCM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CCM 인증 제도는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기업이 수행하는 모든 경영활동을 소비자 관점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구성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는지를 한국소비자원이 평가하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인증하는 제도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소비자원 송선덕 대외홍보실장과 샘표와 휴롬 양사 최고고객책임자(CCO)를 비롯해 남양, 목우촌, 오뚜기, 위니아, 세라젬, 쿠첸, KEA(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CJ제일제당 등 총 10개사, 24명의 CCM 담당자 및 관계자가 자리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각 기업마다 그동안 우수한 평가를 받았던 서비스를 공유하고, 고객 클레임 대응 노하우를 나눴다. ‘소비자 정보 제공’과 ‘소비자 불만 개선’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샘표는 요리에 대한 문의가 많다 보니 샘표 우리맛연구팀 소속 연구원들이 직접 답변을 작성해 회신한다고 설명했다. 소비자 제안을 반영해 순식물성 요리에센스 연두의 유리병과 손쉽게 분리되는 특수 플라스틱 캡을 적용한 사례도 소개했다. 또한 고객의 소리는 접수되는 즉시 대표이사에게 공유하고, 매월 대표이사와 유관부서 담당자가 모두 참석해 개선 회의를 진행하는 신속한 의사결정 구조도 주목받았다. 스포츠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CCM 우수 사례로 평가받았던 휴롬은 핵심 가치인 건강문화를 확산하고 소비자 접점을 확대시키고자 인기 스포츠 구단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업계에 국한되지 않은 다채로운 CCM 운영 사례를 소개했다. 간담회 참석자 전원이 모두 함께 직접 요리하고 건강 주스를 만드는 시간도 가졌다. 채소를 절일 필요 없는 새미네부엌 김치 양념으로 5분 만에 맛있는 겉절이를 만들고, 새미네부엌 쇠고기 야채 잡채 소스와 멸치볶음 소스를 활용해 잡채와 멸치볶음도 금세 완성하며 소비자의 만족감을 대리 체험했다. 새미네부엌 제품 뒷면에 요리법이 그림과 함께 설명돼 있고, QR코드를 통해 레시피 영상도 볼 수 있어 요리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요리를 즐길 수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휴롬 원액기를 활용해 양배추, 당근, 사과로 CCA 주스를 만들고 맛보며 휴롬이 추구하는 ‘건강’이라는 가치를 즐겁게 경험하기도 했다. 참석자들은 ‘제품의 착즙 과정이 생각보다 간편해 소비자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맛이 더욱 신선하게 느껴진다’ 등 긍정적인 반응을 전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의 CCM 담당자들은 동반성장을 위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앞으로 소비자중심경영 확산을 위한 공동 콘텐츠 제작 등 다각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김정수 샘표 최고고객책임자(CCO)는 “소비자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소비자원과 기업이 함께 소비자중심경영 노하우를 나누고 협력하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샘표는 앞으로도 소비자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누구나 요리를 즐기는 문화를 만드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연락처: 샘표 홍보대행 신시아 박준영 매니저 02-743-279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샘표-휴롬, 소비자중심경영 활성화 위한 간담회 개최
-
-
미래 경영의 길잡이… 한국준법진흥원 주최 ‘ESG 경영 전략 웨비나’ 15일 개최
- 한국준법진흥원(이사 용석광)은 11월 15일(수) ‘ESG 경영을 위한 ISO 37001/ISO 37301 온라인(ZOOM)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웨비나는 고객사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해 마련됐다. 웨비나에서는 공정거래법/CP(Compliance Program)의 방향성 및 글로벌 경제와 경영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중견기업과 중소기업, 공공기관을 포함한 모든 기업에 ESG 경영에 대한 중요성을 전달하고, 공급망 조사와 민간기업의 모범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ISO 37001과 ISO 37301 표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ESG 경영에 관심 있는 기업의 대표자나 실무자, 공정거래 및 ISO 인증 관련 실무자, 법무 및 감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웨비나는 11월 15일 오후 2시부터 4시 20분까지 진행되며, 다양한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홍승표 EU 변호사를 포함한 다수의 전문가가 △ESG 공급망 조사 및 탄소중립 정책 방향 △ISO 37301 및 ISO 37001의 필요성 △민간기업 사례 연구 △공정거래법과 CP의 최신 동향에 대해 발표한다. 한국준법진흥원은 이번 온라인 설명회를 통해 ESG 경영과 관련된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업계 및 실무자들이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귀중한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참가자들의 ESG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 능력을 강화하는 데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설명회 참가 접수 및 문의 사항은 한국준법진흥원 공식 웹사이트(www.grc.or.kr/main/main.php)를 통해 가능하다. 네이버나 구글에서 한국준법진흥원을 검색한 뒤 사이트를 방문하면 팝업 광고를 통해 접수할 수도 있다. 선착순 100명까지 참여할 수 있으며, 참가비는 무료다. 한국준법진흥원 소개 한국준법진흥원은 고객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서비스 제공으로 사회적 신뢰를 받는 인증기관이 되고자 ESGRC (Governance·Risk and Compliance)를 슬로건으로 고객에게 전문가적 윤리 건강검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한국준법진흥원은 사람 중심, 사회적 책임 실현, 정직과 신뢰를 비전 삼아 투명하고 깨끗한 경영을 통해 고객과 주주, 모든 이해관계자로부터 신뢰받고 사랑받는 준법 전문 기관이 되고자 한다. 언론연락처: 한국준법진흥원 홍보대행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박병기 편집장 031-242-744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미래 경영의 길잡이… 한국준법진흥원 주최 ‘ESG 경영 전략 웨비나’ 15일 개최
-
-
송도 오블리브 피부과 박영진 원장, IACDPB 국제학회서 실 리프팅 강의
- 송도 오블리브 피부과(www.obliv.kr)가 대한미용성형레이저의학회(이하 대미레) 주관으로 지난달 22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2023 IACDPB 국제학회’(2023 Indone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f DEMIRE X PERDAWERI Banten)에 참가했다. 이번 2023 IACDPB는 인도네시아, 홍콩, 한국, 스위스, 중국, 이탈리아, 대만, 일본 등 주요국의 34개 업체가 부스 행사에 참가했고, 1000여 명의 동남아시아 피부과·성형외과 의사와 관련 업체, 종사자들이 참여해 성황리에 개최됐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송도 오블리브 피부과 박영진 대표원장을 포함한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25명 이상의 연사가 세계 에스테틱 분야의 전문 지식과 임상 경험을 발표했다. 박영진 대표원장은 △실 리프팅 시술(Triple Fixiation Teqnique using Various Threads for More Effective and More Power) △눈밑 실 리프팅(Promising Smooth and Firm Under-Eye by CorrectIon Tear Trough Deformity Through Combining PDO Threads) △무바늘 마이크로젯 주입기 적용(Application of a Needleless Micro-jet Injector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Skin Rejuvenation) △에토좀 PTT(Ethosome PTT Breaking Barriers in Transdermal Administration) 등을 주제로 발표해 큰 호응을 얻었다. 대미레의 학술 이사인 박영진 대표원장은 다양한 해외 세미나에서 노하우를 공유하며 K-뷰티 의료기술의 글로벌 확장에 앞장서고 있다. 오블리브의원 소개 인천 연수구 송도 인천대 입구역에 위치한 오블리브 피부과는 세안습관 교정부터 여드름, 기미, 비립종, 모공흉터, 보톡스 리프팅, 필러, 문신 제거, 손발톱 교정, 줄기세포 주사, 윤곽주사 등 다양한 치료를 하고 있다. 최근 대한건강의료지원단으로부터 11가지 항목에 대한 현장 조사 후 건강복지서비스 인증을 받았다. 네이버에서도 방문 예약이 가능하다. 언론연락처: 오블리브의원 홍보대행 키위피알 안은주 과장 02-855-511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송도 오블리브 피부과 박영진 원장, IACDPB 국제학회서 실 리프팅 강의
-
-
‘창사 170주년’ 오티스 코리아,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 참가… 승강기 과거·현재·미래 제시한다
- 오티스 엘리베이터 코리아(이하 오티스 코리아, 대표이사 조익서)가 ‘2023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International Lift Expo Korea·ILEK)’ 참가로 창사 170주년을 뜻깊게 장식한다. 오티스 코리아는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 5홀에서 열리는 ‘2023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에 참가한다고 7일 밝혔다. 올해 엑스포를 통해 6번째로 대중을 만나는 오티스 코리아는 매번 혁신적인 제품과 감각적인 전시로 이목을 모은 바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Past, Present, Future(과거, 미래, 현재)’를 주제로 다채로운 체험형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가장 먼저 방문객을 맞이하는 ‘과거 존’은 오티스 창사 170주년과 관련된 콘텐츠로 꾸려진다. 오티스는 창업자 엘리샤 그레이브스 오티스(Elisha Graves Otis)가 사람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를 있게 한 안전 브레이크를 발명한 이래로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이런 오티스의 방대한 역사를 과거 존에서 생생하게 전달한다. ‘현재 존’에서는 오티스의 현재를 소개한다. 이곳을 찾는 관람객은 올해 3월(한국 기준) 론칭한 디지털 커넥티드 엘리베이터 ‘젠쓰리(Gen3)’의 목업(mockup·모형)을 이용해 두 눈으로 제품을 체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커머스(eCommerce)를 통해 엘리베이터 설치 견적을 받고 실구매까지 가능하다. 젠쓰리에 기본 탑재된 IoT 기반 원격 유지 관리 솔루션 ‘오티스 원(Otis ONE)’도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전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제 고객 현장의 실시간 포털을 확인할 수 있어 잠재 고객에게는 관리의 투명성을 두 눈으로 확인할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VR(가상 현실)을 활용한 젠쓰리 의장 체험, 이뷰(eView, 인포테인먼트 제공과 24시간 긴급 영상 통화 지원 등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시뮬레이션, 엘리베이터 연동 로봇 시연 등을 진행해 관람객의 흥미를 배가할 예정이다. ‘미래 존’은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미래형 엘리베이터 ‘젠360(Gen360)’, 최근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가운데 ‘IDEA’, ‘iF 디자인 어워드’를 석권한 ‘라이프가드 핸드레일’ 등 콘셉추얼한 전시로 구성된다. 오티스 코리아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은영 오티스 코리아 홍보 부문 상무는 “창사 170주년을 맞은 가운데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를 통해 오티스의 혁신과 진보의 역사를 소개할 수 있어 더할 나위 없이 기쁘다”며 “17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오티스가 글로벌 선도 기업의 입지를 지킬 수 있게 한 혁신적인 기술과 가치를 현장에서 체험해 보시길 바란다. 오티스의 성장 동력 역시 소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로 7회째 열리는 ‘2023년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는 국내 유일 승강기 산업 전문 전시회로, 대한승강기협회와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이 공동 주관한다. 오티스 엘리베이터 코리아 소개 오티스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제조, 설치, 서비스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 기업이다. 오티스는 사람들이 더 높고, 더 빠르고, 더 스마트한 세상으로 연결되면서 발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매일 20억명의 사람을 이동시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약 220만대의 고객 승강기를 유지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업계 최대의 서비스 포트폴리오 규모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물, 교통 중심지, 상업 시설을 포함해 사람들이 이동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오티스 제품을 찾을 수 있다. 본사는 미국 코네티컷주에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4만1000여 명의 현장 엔지니어를 포함한 6만9000여 명의 직원이 오티스에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200개가 넘는 국가 및 지역에서 최선을 다해 고객과 승객들의 원활한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오티스 엘리베이터 코리아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소셜 미디어 채널, 네이버 블로그, 링크트인,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계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연락처: 오티스 엘리베이터 홍보팀 심언경 과장 02-6007-308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창사 170주년’ 오티스 코리아,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 참가… 승강기 과거·현재·미래 제시한다
-
-
포스코스틸리온-다보링크, 포스아트 적용한 신개념 무선 AP 개발
- 포스코스틸리온과 다보링크가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무선 AP(공유기)를 개발했다. 무선 AP는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장비지만 기존의 장비는 투박한 외형으로 인해 PC나 TV 뒤 등 눈에 띄지 않는 장소에 숨겨 놓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경우 와이파이 신호가 잡히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네트워크 통신기기 전문업체인 다보링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스코스틸리온과 함께 ‘포스아트(PosART)’를 적용해 디자인 소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AP를 개발했다. 포스아트는 포스코스틸리온의 고해상도 잉크젯 프린트 강판으로 색상과 질감까지 표현이 가능해 건축 내외장재는 물론 그림, 사진 등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사용되는 컬러강판이다. 포스코스틸리온과 다보링크는 이러한 포스아트의 특성을 활용해 액자형 프레임을 만들고 AP 장비를 내부에 탑재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다보링크는 이 제품을 9월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 박람회인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IFA)’에 선보였으며, 명화나 초상화 등 그림을 좋아하는 유럽의 관객들에게 호평 받은 바 있다. 이러한 반응으로 다보링크는 12월부터 이 제품을 세계 최대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인 아마존을 통해 판매할 예정이다. 포스코스틸리온은 신제품 무선 AP는 그림·사진 액자 용도로 개방된 공간에 설치할 수 있어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함과 함께 벽이나 문·층간 등 장애물을 넘어 건물 내부 어디서든 안정적으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앞으로도 활용도가 다양한 포스아트를 여러 분야에 적용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포스코스틸리온 소개 포스코스틸리온은 1988년 포항철강공단 1단지에 연산 30만톤의 능력을 갖춘 아연도금강판 및 알루미늄도금강판 생산업체로 설립된 포항도금강판을 모체로 출발했다. 도금강판 제품과 컬러강판 제품을 생산해 강건재, 자동차, 가전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2021년 프리미엄 컬러 강판 브랜드 ‘인피넬리’를 론칭했다. 언론연락처: 포스코스틸리온 홍보담당 민지현 054-280-619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포스코스틸리온-다보링크, 포스아트 적용한 신개념 무선 AP 개발
-
-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2024 특별주제 사전 공개
- 대한민국 영상·사진 분야 청소년 제작자들의 축제 ‘제23회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이하 미디어대전) 시상식이 2165명의 청소년 제작자가 참여한 400편의 작품 중 42편을 시상하며, 7일 수상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미디어대전은 청소년의 시선으로 다채로운 소재를 다룬 작품들이 풍성함을 더했다. 시상식 상영작으로 선정된 ‘나는 오타쿠다’(강다은)는 과거 상처에서부터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까지 진솔하게 풀어낸 다큐멘터리로, 가장 솔직하고 용기 있는 작품이라는 평을 받았다. 청소년심사위원단상을 수상한 ‘방과후, 1교시’(박서영 외 3명)는 감정 표현 불능증이라는 독특한 소재로 참신성에 주목받았으며, 결여된 부분이 있더라도 가족과 주변의 사랑과 관심이 있다면 사회의 한 일원으로서 세상과 소통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적 메시지를 표현한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서울특별시장상 수상작 ‘필름에 나의 꿈을 담다’의 연출자 강기석 청소년은 “이 영상은 친구들과 영화와 다큐를 만들며 꿈에 가까워지는 내 모습을 담았다”며 “나도, 청소년 제작자들도 영상의 주인공처럼 카메라의 빛보다 빛나는 꿈을 담아낼 수 있는 분들이 됐으면 좋겠다”는 수상 소감을 전했다. 영화 ‘안닮았어’로 지도자상을 받은 전상혁 지도자(품안의 예술학교)는 “발달장애가 있는 친구들이 감독 촬영, 사운드, 연기까지 해냈던 작품”이라며 “앞으로도 장애 청소년들의 일상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들을 카메라에 담아 함께 영화로 만드는 일을 계속하도록 하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미디어대전 출품을 위한 내년 특별주제도 사전 공개됐다. 바로 ‘학교’로, 청소년 시선으로 학교에 대한 생각과 바램을 담은 콘텐츠를 제작해 내년에 출품하면 된다. 특별주제 분야인 만큼 기술적 완성도보다 참신함, 주제 표현력 위주의 심사가 이뤄져 더 다양한 청소년들이 도전해볼 만하다. 11월 4일에는 영상 부문 수상작 상영회와 GV를 통해 관객과 직접 만나 제작 뒷이야기를 듣는 기회가 마련됐으며, 11월 25일까지 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에서 사진 부문 수상작 특별전시가 운영될 예정이다. 미디어대전의 모든 출품작 및 수상작은 미디어대전 누리집(kymf.ssro.net) 온라인 상영·전시관에서 감상할 수 있다. 미디어대전을 주관하는 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이정연 관장은 “올해는 전문가들과 심사위원들이 칭찬한 바와 같이, 주제 표현력과 완성도 높은 청소년 작품들을 많이 만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청소년 제작자들이 마음껏 창작 열정을 펼치고, 서로와 연결되는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기회와 장을 더 많이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아래는 제23회 KYMF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각 부문 수상자(작) 명단이다. · 공익광고 부문 △서울특별시 시장상=우영이의 여행(신태영 외 5명) △홍익대학교 총장상=친구 사이(채승주 외 1명) · 다큐멘터리 부문 △서울특별시 시장상=나는 오타쿠다(강다은)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회장상=학교 다녀오겠습니다.(고가영 외 3명)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장상=맹점(강기석 외 5명) · 애니메이션 부문 △서울특별시 시장상=JERRY BEER(김온유)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총장상=방과후, 1교시(박서영 외 3명)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원장상=부재중(서수민 외 3명)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회장상=어린(박소정 외 2명) · 영화 부문 △서울특별시 시장상=우리가 그곳에 닿을 수 없다면(강건 외 4명), 뚱딴지(김강 외 10명) △여성가족부 장관상=네가 나를 볼 때(박황매이 외 3명)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상=금 따는 콩밭(최하현 외 10명) △한국교육방송공사 사장상=분화(권예하 외 8명) △한국영상자료원 원장상=꽃무덤(송유진 외 5명) △건국대학교 총장상=맛없는 디저트(이미영 외 7명) △국민대학교 총장상=1.0(권이현 외 14명) △동국대학교 총장상=안닮았어(김현수 외 8명), 침묵의 진실(진휘윤 외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장상=미상불(김다연 외 12명) △서울예술대학교 총장상=나의 쇼트케이크(정지우 외 4명) △세종대학교 총장상=9SCARS(박민우 외 1명) △중앙대학교 총장상=장난에는 웃음으로(김정민 외 5명) △한국영상대학교 총장상=싸인(이재빈 외 15명) △서울영상위원회 위원장상=거울(우현아 외 5명)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회장상=너, 사용설명서(이현경 외 12명) · 트렌드미디어 부문 △서울특별시 시장상=필름에 나의 꿈을 담다(강기석 외 6명) △서울특별시청소년시설협회 회장상=텔레파시(전지이 외 9명) · 사진 부문 △서울특별시 시장상=소음(전예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이사장상=우린..무슨 사이?(최정민) △계원예술대학교 총장상=디지털 카오스(채혜린) △중부대학교 총장상=체육대회(조인우) △중앙대학교 총장상=나를 마주하는 시간(이로) △서울특별시청소년시설협회 회장상=원석에 숨겨진 빛(김시향)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회장상=각자의 생(生)(채건) · 특별상 △비폭력문화상(푸른나무재단)=나는 오타쿠다(다큐멘터리/강다은) △청소년심사위원단상(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방과후, 1교시(애니메이션/박서영 외 3명) △연기자상(브랜뉴뮤직)=노희진(영화/꽃무덤-루영 역), 정연재(영화/네가 나를 볼 때-마리아 역) △지도자상(푸른나무재단)=전상혁(영화/안닮았어) △관객상(씨네21)=1.0(권이현 외 14명), 매듭(정성연 외 15명) 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소개 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는 ‘청소년이 미디어로 세상과 소통하고 스스로 네트워크를 만드는 즐거움을 일깨운다’는 미션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울시 유일의 청소년 미디어 특화 기관으로 △미디어 교육 △미디어 활동 △미디어 중독 예방 △KYMF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대한민국청소년기자대상 등을 운영한다. 언론연락처: 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미디어제작팀 안아름 담당 070-7165-10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지역뉴스
- 호남
-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2024 특별주제 사전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