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Home >  뉴스 >  지구촌
실시간뉴스
실시간 지구촌 기사
-
-
METI will hold GGX x TCFD Summit
- From 10:00 on October 2 (Mon.), the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METI) will hold the Global Green Transformation (GGX) Conference and the TCFD Summit, which until now have attracted participation from a wide range of sectors including global industry, finance, governments, regulato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ill be held jointly. In order to further develop discussions on transition finance, avoided emissions, industry decarbonization, and other topics related to how business and finance contribute to decarbonization, the event will promote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business, and financial sectors, and hold discussions to lead the international rule-making process to achieve both emission reductions and economic growth. · Outline of Global Green Transformation (GGX) Conference and the TCFD Summit Date: October 2nd, 2023 10:00-17:00 (JST) Organizer: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METI) Co-organizer: TCFD Consortium, The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 Format: Hybrid (On-Site and On-Line) Web Site: https://tcfd-summit.go.jp/indexEn.html · Online Registration Online Registration Site: https://jcs.eventsair.com/ggxtcfd2023/attendeereg/Site/Register *Registration deadline: Oct 1st (Sun.) (JST, GMT+9:00) · Program - Opening Remarks HATAKEYAMA Yojiro (Director-General, Industrial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 Policy Bureau,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TOKURA Masakazu (Chairman, Keidanren (Japan Business Federation)) KATO Masahiko (Chairperson, Japanese Bankers Association) David Atkin (CEO,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PRI)) - Keynote Speech 1 Gianluigi Benedetti (Ambassador, Embassy of Italy in Tokyo) - Panel Discussion 1 “Towards Net-Zero Society ~Industrial Decarbonisation~” What efforts are needed towards creating a “Green Market” to accelerate industrial decarbonization, focusing on the creation of demand? [Moderator] Peter Bakker (President and CEO,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 [Panelist] Nancy Gillis (Program Head, First Movers Coalition, World Economic Forum) Rana Ghoneim (Chief, Energy Systems and Industrial Decarbonization Unit, 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 TEZUKA Hiroyuki (Fellow, Executive, JFE Steel Corporation) MITA Noriyuki (Vice President, Sustainability Department, Mitsubishi Chemical Group Corporation *After October 1st) KOBAYASHI Izuru (Deputy Director-General for Environmental Affairs,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 Panel Discussion 2 “Solution Provider and Avoided Emissions” Companies are increasingly expected to provide solutions to social challenges. What is the potential of the idea of “avoided emissions” to evaluate a company's contribution to decarbonization of the society as a whole by providing solutions? [Moderator] HAYASHI Reiko (Director and Deputy President, BofA Securities Japan Co., Ltd.) [Panelist] Jason Mortimer (Head of Sustainable Investment - Fixed Income, Investment Department - Global Solutions, Nomura Asset Management) UEHARA Hirotoshi (Executive Officer, Quality & Environment, CS, Panasonic Operational Excellence Co., Ltd.) HIRUTA Takako (Country Leader, CS&Q, Schneider Electric Japan, Inc) - Keynote Speech 3 Emmanuel Faber (Chair, ISSB) MIYAZONO Masataka (President, Government Pension Investment Fund) MIZUNO Hiromichi (Founder And CEO, Good Steward Partners, LLC) - Panel Discussion 3 “Future of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As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rapidly expand, what efforts are needed going forward? How can disclosure promote transition finance? [Moderator] NAGAMURA Masaaki (Fellow, International Initiatives, Tokio Marine Holdings, Inc.) [Panelist] Alex Michie (Head of Secretariat, GFANZ) IKEDA Satoshi (Chief Sustainable Finance Officer, Strate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Bureau, Financial Services Agency) ISHIKAWA Tomohiro (Chief Regulatory Engagement Officer, Corporate Planning Division, Mitsubishi UFJ Financial Group (MUFG)) KITAGAWA Keiko (General Manager, Sustainability Promotion Unit, Global Investor Relations Group, Finance Strategy and Planning Division, JERA Co., Inc.) - Keynote Speech 4 Mary Schapiro (Head, The TCFD Secretariat) ITO Kunio (Chair, The TCFD Consortium) - Panel Discussion 4 “Further Promotion of Transition Finance” As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finance grows globally, what efforts are needed to further promote investments toward decarbonization of corporates and the private financing towards them? [Moderator] KIHARA Shinichi (Director General for International Policy on Carbon Neutrality,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Panelist] Nicholas Pfaff (Deputy Chief Executive, Head of Sustainable Finance, International Capital Market Association) Sean Kidney (CEO, Climate Bonds Initiative) Eila Kreivi (Director, Chief Sustainable Finance Advisor, Secretariat General, European Investment Bank) KUBOTA Nobuhiko (Managing Executive Officer, General Manager of Technology & Intelligence Integration, IHI Corporation) - Closing Remarks Peter Bakker (President and CEO,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 *The above programs and speakers may be subject to change at the discretion of the organizer.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7620291/en/ 언론연락처: GGX x TCFD Summit Secretariat GGX x TCFD Summit 2023 Registration Desk E-mail: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METI will hold GGX x TCFD Summit
-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으로 10% 할인 받으세요… 21일부터 ‘온누리페이’·‘비플페이’ 통해 구매 가능
- B2B, B2G Expense 전문기업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가 21일부터 모바일온누리상품권의 재판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비즈플레이는 올해 8월 중소벤처기업부 및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모바일온누리상품권 발행·운영 대행사로 선정돼 시스템 이관 및 새 플랫폼 마련 등의 준비를 마쳤다. 모바일온누리상품권은 스마트폰에서 상품권을 10% 할인받아 구매하고, 전통시장의 가맹점 QR을 인식해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국가 주도의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이다. 전통시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가맹점 사용 제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2023년 3월 기준 하루 312억원이 판매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이번에 출시된 모바일온누리상품권은 비즈플레이의 ‘비플페이’ 앱과 모바일온누리상품권 전용 앱인 ‘온누리페이’에서 사용 가능하다. 기존 애플리케이션보다 직관적인 UI/UX를 적용해 이용자들의 편리한 결제를 지원하며,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 소식 콘텐츠도 발행한다. 모바일온누리상품권은 특별 할인 판매 기간인 9월 21일부터 10월 6일까지 1인당 월 180만원 한도로 구매할 수 있다. 비즈플레이는 180만명이 사용할 정도로 인기가 높은 모바일온누리상품권은 운영 대행사 선정 이전 이미 많은 이용자가 올해 할당된 모바일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한 상태라며, 올해 배정된 물량이 충분하지 않아 구매를 서두르는 것을 추천한다고 밝혔다. 이어 모바일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소상공인, 그리고 소비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상생 소비 생태계라며, 앞으로 선물하기, 기업 구매, 온라인 결제하기 등 편리한 서비스 오픈을 위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비즈플레이 소개 비즈플레이는 디지털 경비지출관리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2014년 6월 웹케시 사내 벤처로 출발한 비즈플레이는 독자 비즈니스 추진을 위해 같은해 12월 별도 법인으로 분사했다. 2016년 9월 ‘경비지출관리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리포지셔닝하고 새롭게 출범했다. 기업의 무증빙 경비지출관리를 위해 비즈플레이는 국내 최초로 법인 카드는 물론 개인 및 해외 카드 실물 영수증이 필요 없는 전자적 경비지출관리를 구현하고, 기업 전체 경비지출 현황을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100대 기업의 75%, 국내 약 1000개 대기업만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종이 영수증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10년 뒤 대한민국 75% 기업에서 종이 영수증이 사라질 것을 확신하는 비즈플레이는 그 시장을 만들어 간다는 비전 아래 끊임없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비즈플레이 홍보대행 웹케시그룹 김도열 이사 02-3779-061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으로 10% 할인 받으세요… 21일부터 ‘온누리페이’·‘비플페이’ 통해 구매 가능
-
-
Exploring F5G Evolution, Huawei Launches Three Enterprise Optical Network Solutions
- At its “F5G Evolution, Bringing Intelligence Everywhere” Summit held during HUAWEI CONNECT 2023, Huawei shared its F5G application practices with global customers and partners in industries spanning electric power, education, real estate, manufacturing, and healthcare. Furthermore, it launched a variety of innovative products and solutions. Richard Jin, President of Huawei Optical Business Product Line, said in his keynote speech, “Amid increasing application of AI, the industry poses new requirements on sensing and connectivity. Industry intelligence requires a sensing network and an all-optical network. During the industry intelligence evolution, Huawei continues to explore industry sensing, all-optical campus networks, WAN production networks, data center interconnect, and residential networks. On top of that, we have launched a series of innovative F5G products and solutions to empower AI-enabled industries.” Campus scenarios: Huawei has released the FTTO 2.0 solution. Based on the XGS-PON Pro technology, this solution supports 12.5G/25G to rooms, 2.5G/10G to APs, and 2.5G to desktops, building green 10G all-optical networks and facilitating campus intelligence. Featuring ultra-broadband, simplified, high-quality, and green networks, the solution can be used in scenarios such as virtual simulation teaching and medical AI-assisted diagnosis to enable unified bearing of all services over one fiber and meet customer requirements for building next-generation campus networks. Electric power and transportation industries: Huawei has launched the SE-OTN solution, which is applied to SDH reconstruction at various stations, including power substations, trackside stations, toll stations, and oil and gas BVSs. Using the next-generation optical service unit (OSU) standard for SDH evolution, this solution offers 10 times more bandwidth than legacy SDH networks and inherits the high security and reliability of such networks. And unlike common OTN solutions, the SE-OTN solution does not require complex optical-layer devices, thereby making network planning and O&M far simpler and reducing construction costs effectively. As such, it represents an optimal choice for industries looking to evolve their SDH production networks. This solution fully meets the network requirements that energy and transportation customers have for building new service systems during the industry intelligence evolution. Perimeter protection scenarios: Huawei has launched the industry’s first perimeter protection solution that enables optical-visual linkage and multi-dimensional sensing. At the Summit, Huawei joined hands with Guangzhou Baiyun International Airport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Co., Ltd. and Beijing CSVision Technology Co., Ltd. to release Optical-Visual Linkage for Perimeter Protection Technical White Paper. The white paper illustrates the technical challenges of and requirements for the perimeter protection system, proposes the optical-visual linkage solution, summarizes industry applications of this solution, and outlines the prospects of the optical-visual linkage perimeter protection technology. In the future, Huawei will continue to innovate based on F5G evolution, develop leading products and solutions, and work with customers and partners to facilitate intelligent upgrades of various industries. 언론연락처: For Huawei Weber Shandwick Korea Ji Min, Oh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Exploring F5G Evolution, Huawei Launches Three Enterprise Optical Network Solutions
-
-
ABB, 교육용 ‘IRB 1090’ 로봇 출시
- ABB는 산업용 교육 로봇 ‘IRB 1090’의 출시와 함께 교육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교육 기관인 STEM이 인증한 IRB 1090 로봇은 학생들의 역량을 높이고, 고용 확보에 있어 경쟁 우위를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광범위한 교육 서비스의 핵심인 신규 교육용 로봇은 산업용 로봇뿐만 아니라 교육 패키지, 차세대 컨트롤러, 시장 선도적인 프로그래밍 및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ABB 로보틱스 인더스트리 총괄 크레이그 맥도넬 상무는 “2301명의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2023년 ABB 글로벌 설문에 의하면 응답자의 80%가 로봇, 자동화가 향후 10년 간 고용의 미래를 형성할 것이라고 답변했다”며 “현재 교육 프로그램에서 로봇을 사용하는 곳은 4곳 중 1곳에 불과하다.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로서 ABB는 로봇을 모두가 이용하는데 일조하기로 결정했다. IRB 1090 교육용 로봇은 교육 공간에서 산업용 로봇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ABB IRB 1090은 580mm 리치와 3.5kg 페이로드를 제공하며, 이전 모델에 비해 10% 작은 공간과 20% 경량화로 쉽게 이동, 설치, 배치가 가능하다. ABB OmniCore™ E10 울트라 슬림 컨트롤러와 결합된 교육용 로봇은 학생들이 모션 컨트롤, TrueMove, QuickMove, 외부 가이드 모션 및 에너지 절약 전력망 피드백 솔루션을 포함해 최신 로봇 개발에 대한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기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로봇과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로봇 자동화가 다양한 부문 및 응용 분야에서 어떻게 적용가능한지 배울 수 있다. 교육 기관, 로봇 판매업체, SI 업체는 조립, 자재 핸들링, 아크 용접 및 분사와 같은 다양한 응용 셀을 설계하고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다. 비전 카메라, 그립퍼, 작업 공간, 받침대 및 이동식 카트와 같은 다양한 액세서리가 포함돼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ABB는 누구나 이용 가능한 로봇 정책의 일환으로, IRB 1090 로봇 구매 시 RobotStudio® 프리미엄 라이선스 100개를 무료로 제공한다. RobotStudio®는 학생들이 실제 로봇 구매 전에도 로봇 프로그래밍 기초를 배울 수 있는 가상 프로그램이다. ABB는 40여 개국의 교육 기관과 협력해 학생들이 로봇 프로그래밍 기초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중이며, 더불어 매년 3만 명 이상의 전 세계 고등학교, 대학교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IRB 1090 교육용 로봇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ABB Robotics & Discrete Automation은 세계를 선도하는 로봇 및 자동화 공급업체로, 로봇과 자율 이동 로봇, 기계 자동화 솔루션, 가치 창출을 위해 설계 및 조정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해 포괄적인 통합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자동차부터 전자, 물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및 모든 기업이 탄력적으로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변화하도록 지원한다. ABB 로봇 자동화는 약 53개국 100여 곳에서 1만100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ABB 소개 ABB는 전기화·자동화 분야의 기술 선도 기업이며, 자원 효율적인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 ABB의 솔루션은 엔지니어링 노하우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제조, 이동, 동력 공급 및 운영을 최적화한다. 130년이 넘는 우수성을 기반으로 10만5000여 명의 직원이 산업 전환을 가속하는 혁신을 주도한다. 언론연락처: ABB코리아 홍보부 김현주 이사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ABB, 교육용 ‘IRB 1090’ 로봇 출시
-
-
제천 원도심상권 활성화를 위한 ‘제천 원도심상권 식도락 요리경연대회’ 성황리에 마쳐
- 제천시와 제천상권르네상스사업단은 상권에서 판매할 수 있는 한입 먹거리 상품을 발굴하고 이를 상권 내 보급해 제천시 원도심상권 활성화 도모하기 위해 컨설팅 전문 업체인 핀연구소와 함께 9월 16일(토) 제천 원도심상권 내 중앙시장에서 ‘제천 원도심상권 식도락 요리경연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회에는 대구, 포항, 영주, 경기도 등 전국 각지에서 출전한 참가팀들 가운데 1차 서류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15명이 다수의 고객이 지켜보는 가운데, 라이브 경연을 통해 대회를 진행했다. 제천시 농·특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한입 먹거리가 출품된 가운데 치열한 경쟁을 뚫고 감자 호떡과 단호박 호떡으로 출전한 이옥현(54세/제천), 권영우(20세/제천) 씨가 명예의 대상을 차지했으며 체전시장상과 함께 부상으로 100만원의 시상금을 받았다. 이번 제천 원도심상권 식도락 요리경연대회를 통해 발굴된 다양한 한입 먹거리 상품은 원도심상권 내 판매가 이뤄질 예정이며, 제천시와 제천상권르네상스사업단이 원도심상권 먹거리 상품 활성화를 위해 향후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핀연구소 소개 핀연구소는 대구에 본사를 둔 종합 컨설팅 전문 기업이다. 전통시장 활성화, 식당 창업과 업종 변경, 식당의 영업 활성화, 프랜차이즈 본부 설립 및 가맹점 창업, 맞춤 요리비법 전수 등을 통해 식당 운영을 컨설팅하고 전문 경영인을 길러낸다. 창업요리전문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관공서 연구용역, 세미나도 개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핀연구소 사업지원팀 김세영 과장 053-744-423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제천 원도심상권 활성화를 위한 ‘제천 원도심상권 식도락 요리경연대회’ 성황리에 마쳐
-
-
롯데관광개발, 대한항공과 함께 이집트 특별 전세기 여행 상품 출시
- 롯데관광개발은 26일 내년 설 연휴에 출발하는 이집트 특별 전세기 9일 패키지 판매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집트 전세기 패키지는 2019년 첫 출시 이후 코로나19 기간인 2021~2022년을 제외하고 지난해까지 2500석(23회 출발)의 완판 신화를 기록한 롯데관광개발의 대표 히트상품이다. 이번에는 총 6회(2024년 1월 6일, 13일, 27일, 2월 3일, 10일) 9일 일정으로 대한항공(회당 145석)을 이용해 인천공항에서 카이로공항으로 출발하며, 금액은 1인 기준 689만원(각종 세금 포함)부터다. 롯데관광개발 단독 특전으로 전 일정 5성급 월드체인 숙박을 기본으로 홍해 연안의 휴양도시 후루가다 특급리조트에서의 1박, 피라미드 전경 및 나일강뷰의 특급호텔에서 누리는 럭셔리 특식을 제공한다. 회차별 선착순 30명에게 예약금 입금 시 1인 40만원 할인을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롯데관광개발 권기경 여행사업본부장은 “이번 상품은 기존 경유 노선(약 16시간) 대비 4시간이나 짧은 대한항공 직항 이용은 물론 이집트 내 현지 항공 2회 이용 등 불필요한 이동시간을 최소화하는 등 롯데관광개발이 선사하는 고품격 명품 관광의 진수를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이집트는 우리나라 5배 면적의 국토 95%가 사막으로 1년 내내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지만 방문 시점인 1~2월의 경우 평균 15~25도로 낮아져 여행을 즐기기 좋은 시점이다. 이번 패키지를 통해 카이로, 기자의 피라미드, 룩소르, 아부심벨 등 이집트 대표적 관광지를 비롯해 네페르타리 무덤, 투탕카멘 무덤, 룩소르 마차투어, 나일강 펠루카 탑승 등 다양한 고대 유적지를 방문하게 된다. 수도 카이로에서 차로 40분만 달리면 광활한 기자 고원 사막과 그 한가운데 웅장하게 서 있는 피라미드를 만날 수 있다. 쿠푸왕과 카프라왕, 멘카우라왕 시대에 제작된 3개의 피라미드는 백미로 손꼽힌다. 시간이 멈춘 도시 룩소르에서는 이집트의 가장 큰 신전인 카르낙 신전과 룩소르 신전이 기다리고 있다. 룩소르 신전 입구에는 람세스 2세의 거대한 석상들과 태양신을 상징하는 기념비인 오벨리스크가 여행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건축 당시에는 람세스 2세의 좌상 2개와 입상 4개가 좌우로 3개씩 서 있었지만, 현재는 훼손돼 3개만 남아있다. 언론연락처: 롯데관광개발 홍보실 윤희성 과장 02-398-294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롯데관광개발, 대한항공과 함께 이집트 특별 전세기 여행 상품 출시
-
-
양천문화재단, 드림메이커스본과 업무협약 체결… 양천구의 문화대중화 위해 잰걸음
- 양천문화재단은 9월 18일 양천문화회관에서 드림메이커스본과 양천구의 지역사회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된 협약은 문화나눔프로그램 사업과 관련해 양 기관의 상호협력과 목동 로데오축제 및 행사지원을 통한 파트너십 구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양천문화재단 천동희 이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식을 계기로 양천구민에게 더 다양한 양질의 문화예술의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다가오는 목동 로데오축제가 더 풍성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천문화재단은 이달 14일 스타메이드 엔터테인트먼트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18일에도 드림메이커스본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양천구의 문화예술 대중화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 언론연락처: 양천문화재단 진푸름 사원 02-2021-891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양천문화재단, 드림메이커스본과 업무협약 체결… 양천구의 문화대중화 위해 잰걸음
-
-
제일전기공업, 고용노동부 ‘학습조직화 우수기업 경진대회’ 대상 수상
- 국내 스마트 배전기 분야 선도 기업 제일전기공업(199820, 대표이사 강동욱)이 고용노동부가 주최하는 ‘2023년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사업주훈련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부문 대상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추진하는 사업이다. 근로자 직무능력 향상과 기업 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중소기업이 업무 관련 지식, 경험, 노하우를 사업장 내에서 체계적으로 축적, 공유해 확산될 수 있도록 학습 인프라와 학습 활동 등을 지원하고 있다. 제일전기공업은 2021년부터 3년째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인적자원 육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일학습병행제와 체계적 현장 훈련 등 다양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해 온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회사는 학습 리더 박종섭 책임을 중심으로 7개 학습조 조장이 자율적인 학습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제일전기공업 강동욱 대표이사는 “직원 역량 강화와 전문성 향상을 위해 사내 학습 문화를 정착시키려 노력한 점을 인정받아 기쁘게 생각한다”며 “개인 발전을 위한 학습 성과가 조직 성장으로 연결되고, 궁극적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만큼 사내 학습 문화를 계속 이어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일전기공업 소개 제일전기공업은 1980년 8월 22일 설립됐으며, 차단기 및 전기배선기구류 등 전기기기 개발·제조·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1993년 1월 1일 제일유기화학공업사에서 제일전기공업으로 사명을 바꿨다. 과거에는 일반배선기구, 차단기류, 일반분전반, PCB ASSY(수출품) 등을 제조·판매했으나 현재 스마트 배선기구 및 스마트 분전반을 개발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0년 11월 26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언론연락처: 제일전기공업 홍보대행 서울IR네트워크 PR본부 제수현 매니저 02-783-062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제일전기공업, 고용노동부 ‘학습조직화 우수기업 경진대회’ 대상 수상
-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경기도 시·군·공공기관 공직자 대상 반도체 직무 전문 교육 성료
- 경기도·서울대학교 공동출연법인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원장 차석원, 이하 융기원)은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2023년 하반기 반도체 직무역량 강화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경기도 시·군 및 공공기관의 반도체 지원 담당 실무자 50여 명을 대상으로 전문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먼저 교육 대상자가 정책 입안자인 점을 고려해 국내외 반도체 산업 흐름과 정책을 파악할 수 있도록 △반도체 산업 로드맵 △해외 국가별 정책 동향 △국내 반도체 산업 기업 현황과 정책 등의 교육을 진행했다. 또 현재 화두가 되고 있는 반도체 패키징, 팹리스의 시장 동향 및 전망에 대한 내용을 비롯해 융기원 내 클린룸과 분석실에서 현장 실습 교육을 진행하며 반도체 제조 공정 기술에 대한 이해와 현장 실무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차석원 융기원장은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자의 전문성 강화는 연구·개발 인력 양성 못지않게 중요하다”며 “현장을 이해하고 현실에 맞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융기원은 올해부터 경기도 반도체 인력개발센터(G-SPEC : Gyeonggi Semiconductor Professional Education Center)를 설립하고, 경기도 내 공유대학 운영지원, 공공 분야 직무 역량 강화 교육 등 반도체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소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창의와 혁신을 바탕으로 미래의 과학과 산업을 이끄는 해결책이 융합이라는 깨달음에 기초해 2008년 3월 설립됐다. 2018년 7월 경기도와 서울대의 공동 출연 법인으로 새롭게 도약했다. 융기원은 관·학이 협력해 설립된 국내 최초, 최고의 융합 기술 R&D 전문 연구 기관이다. ‘지역과 R&D가 하나 되는 세계적인 융합 연구 기관’이라는 비전 아래 차세대 교통 시스템, 스마트 시티, 소재·부품·장비, 지능화 융합, 환경·안전 등 5대 중점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홍보정보팀 안웅섭 팀장 031-888-905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경기도 시·군·공공기관 공직자 대상 반도체 직무 전문 교육 성료
-
-
동아제약, 고함량 비타민B 복합제 ‘비플렉스 듀얼케어’ 출시
-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고함량 비타민 B군 브랜드인 ‘비플렉스(BPLEX)’를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비플렉스(BPLEX)’는 현대인들의 빠른 피로회복과 통증케어를 위한 고함량 비타민 ‘B’와 약사들이 선호하는 프리미엄 활성비타민&미네랄 ‘Complex’, 마지막으로 고생한 나를 위한 ‘Flex’의 의미를 담은 동아제약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고함량 비타민 B군 브랜드다. 이번에 선보이는 ‘비플렉스 듀얼케어’는 ‘비플렉스(BPLEX)’의 첫 번째 신제품으로 15종 고함량 활성비타민 B와 미네랄을 함유했다. 약효 지속시간이 길고 체내에 빠르게 흡수되는 활성비타민 B1인 벤포티아민과 푸르설티아민을 듀얼 처방으로 1일 기준 최대 함량 130mg을 함유했다. 비타민B1은 육체피로, 근육통, 관절통 등에 효과적인 성분이다. 특히, 활성비타민인 벤포티아민은 생체이용률이 높으며, 푸르설티아민은 뇌혈관장벽(BBB)를 통과해 뇌까지 전달한다. 이 밖에 신경비타민이라고 잘 알려져 있는 B1, B6, B12를 고함량으로 함유해 신경통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외에도 마그네슘, 셀레늄, 아연, UDCA 등 항산화 성분과 미네랄은 물론 비타민 D, 이노시톨까지 포함해 현대인을 위한 맞춤형 고함량 활성비타민&미네랄 영양제이다. 비플렉스 듀얼케어는 일반의약품으로 가까운 약국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1일 1회 1정 복용으로 복용 편의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김명현 브랜드 매니저는 “비플렉스 듀얼케어는 하루 한 정으로 피로는 물론 통증(근육통, 관절통, 신경통)까지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며 “피로에 많이 노출된 직장인뿐 아니라 체력이 많이 약해져있는 중장년층까지 비플렉스 듀얼케어로 건강을 챙기시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언론연락처: 동아제약 커뮤니케이션실 박민순 선임 02-920-831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동아제약, 고함량 비타민B 복합제 ‘비플렉스 듀얼케어’ 출시
-
-
LG화학, 모로코에 LFP 양극재 공장 짓는다… 화유그룹과 양극재 소재 수직 계열화 협력
- LG화학이 화유그룹(Huayou)과 손잡고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또한 리튬 가공과 니켈 제련, 전구체로 이어지는 양극재 소재 수직 계열화에 나선다. LG화학은 9월 22일 중국 화유그룹과 양극재 공급망에 대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함께 LFP 양극재 시장에 진출하고 소재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모로코 LFP 양극재 공장 및 리튬 컨버전 플랜트(CP) 건설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 공장 및 전구체 공장 설립을 추진할 방침이다. LG화학과 화유그룹 산하 유산(Youshan)은 2026년 양산을 목표로 모로코에 연산 5만톤 규모의 LFP 양극재 합작공장을 짓는다. LFP 양극재는 주로 보급형 전기차에 쓰이는 배터리 소재로,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보다 에너지 밀도는 낮지만 가격 경쟁력이 높아 고객사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LFP 양극재 5만톤은 보급형 전기차 50만대(350km 주행 가능한 50kWh 용량 전기차 기준)에 필요한 양극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모로코 공장은 북미 지역에 공급할 LFP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이다. 모로코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 이곳에서 생산한 양극재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요건을 충족한다. 양사는 추후 IRA의 해외우려집단(FEOC) 규정에 따라 지분 비율을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모로코는 LFP 양극재의 핵심 원재료인 인광석의 매장량 전 세계 1위[1]국가다. LG화학은 모로코 공장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LFP 양극재 사업에 진출하며, LFP에 망간을 더해 용량과 출력을 높인 LMFP 양극재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LG화학은 모로코에서 화유그룹 산하 화유코발트(Huayou Cobalt)와 리튬 컨버전 플랜트 사업도 추진한다. 컨버전 플랜트란 리튬 정광(리튬 광석을 가공해 농축한 고순도 광물)에서 양극재 생산에 필요한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추출하는 시설이다. 모로코 리튬 컨버전 플랜트는 2025년까지 연산 5만 2000톤의 리튬 양산 체제를 마련하고, 모로코 LFP 공장에 리튬을 공급한다. 이외에도 LG화학과 화유코발트는 IRA 충족을 전제로 인도네시아에서 니켈 제련·전구체를 아우르는 양극재 수직계열화를 위해 협력한다.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니켈 매장량과 생산량 1위[2] 국가로, 원가경쟁력을 기반으로 배터리 제조업과 전기차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양사는 인도네시아 연산 5만톤 규모의 전구체 공장 설립을 검토한다. 나아가 전구체 생산을 위해 니켈 광석에서 니켈 중간재(MHP, Mixed Hydroxide Precipitate)를 추출하는 제련 공장 설립도 논의할 계획이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모로코 양극재 공장을 글로벌 거점으로 삼아 새롭게 떠오르는 LFP 양극재 시장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원재료에서 전구체, 양극재까지 이어지는 소재 수직 계열화 체계를 공고히 해 세계 최고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서의 기반을 다져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1] 인광석 매장량 500억톤(전 세계 매장량의 73%) [2] 니켈 매장량 2100만톤(전 세계 매장량의 22%), 니켈 생산량 연 76만톤(전 세계 생산량의 31%) 언론연락처: LG화학 커뮤니케이션팀 고장석 선임 02-3773-397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LG화학, 모로코에 LFP 양극재 공장 짓는다… 화유그룹과 양극재 소재 수직 계열화 협력
-
-
SKT-조비, 대한민국 UAM 상용화 시동 건다
-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이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 기체 제조사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이하 조비)과 대한민국 UAM 상용화에 나선다. SKT는 조비와 9월 20일 SK T타워에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실증사업(K-UAM 그랜드챌린지)’ 및 상용화를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국토교통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안전기술원 등 기관도 참석해 양사와 실증사업을 포함한 향후 상용화 일정 및 정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사는 계약 체결과 함께 기술, 인프라, 인력 등 역량 전반을 UAM 실증사업에 투입해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안전 운항 역량을 검증한다. SKT와 조비는 내년 전남 고흥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에서 진행되는 실증사업 1단계에서 조비 기체(S4)를 활용해 △통합 정상 운용 △소음 측정 △비정상 상황 대응 능력 △충돌 관리 등 비행 시나리오별 운항 검증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SKT가 구축한 4G·5G 기반의 UAM 특화 상공망을 활용해 UAM 운항 고도인 300~600m 상공에서 통신 품질도 테스트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조비에서도 자사의 기술 인력 등을 한국에 파견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SKT가 2025년 국내 최초 상용화를 위해 안정적인 기체 확보 계획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국내 UAM 상용화를 위해서는 미국 연방항공청(FAA)이나 유럽항공안전청(EASA) 같은 글로벌 기관의 인증을 통과한 기체 확보가 필요하다. 조비는 FAA 기체 인증 절차 중 3단계인 인증 계획(Certification Plan)의 약 70% 이상을 완료하고, 올해 6월에는 양산형 기체를 공개하는 등 글로벌 업계에서 가장 빠른 인증 속도를 보이고 있다. SKT는 올 6월 조비에 1억달러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며 한국 시장에서 조비 기체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SKT는 이번 계약과 함께 내년 조비 기체를 국내에 들여올 계획이다. SKT는 향후 UAM을 ‘AI 컴퍼니’ 비전과 연계해 모빌리티 분야의 AI 전환(AIX, AI Transformation)을 이루는 매개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상용화 초기에는 조종사가 있는 유인 비행으로 시작하지만, 지상 교통과 연계한 개인화 서비스와 무인 자율비행 등을 가능케 하려면 AI 기반으로 UAM 생태계를 통합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심항공교통(UAM)은 전기 동력의 수직이착륙기(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다. 지상 교통과 연계해 300~600m의 도심 상공을 비행하는 교통 체계 전반으로 교통 체증 해소, 탄소 저감 등 효과가 기대된다. K-UAM 그랜드챌린지는 국토교통부 주최로 2025년 상용화에 앞서 UAM 운항의 핵심 요소를 도심 및 비도심 지역에서 종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실증사업이다. SKT는 올해 2월 국토부와 ‘K-UAM 드림팀 컨소시엄(SKT,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티맵모빌리티)’ 차원에서 실증사업 참여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하민용 SKT 최고사업개발책임자(CDO)는 “이번 협약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UAM 기체를 내년에 도입해 안전한 운항 역량을 검증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SKT는 UAM을 AI 기술과 접목해 이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AI 모빌리티’ 시대를 열어 가겠다”고 밝혔다. 에릭 앨리슨(Eric Allison) 조비 부사장은 “이번 협약은 한국에서의 UAM 서비스를 일상 속 현실로 만드는 여정의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는 것”이라며 “SKT와 협력해 그랜드챌린지에서 비행 실증사업을 진행하며 혁신적 기술들을 선보이게 된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기체 도입 등을 선도하는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리더십에도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언론연락처: SK텔레콤 PR실 전략 PR팀 이교혁 매니저 02-6100-387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SKT-조비, 대한민국 UAM 상용화 시동 건다
-
-
OS Achieves 800-Puff Milestone with FEELM Max Technology
- A significant mark in the vaping industry was set when OS Vape, a pioneering disposable product series from OS, showcased its dynamic range at the InterTabac from September 14th to 16th in Germany. Recognized as a leading brand in Germany’s shisha product market, OS boasts an extensive local network of channels. Drawing upon this rich resource base, OS’s foray into the disposable e-cigarette domain promises consumers enhanced puff counts, cost-efficiency, and unparalleled vapor consistency. As revealed by Future Marketing Insights, Europe’s disposable market witnessed a substantial surge, accounting for a 32.3% revenue share in 2022. This robust growth underscores the escalating consumer preference for hassle-free, smokeless alternatives that eliminate the need for recharges or refills. The evolution of the disposable sector brings heightened convenience and a broader array of choices for consumers. Capitalizing on this trend, OS, through its innovative product series and leveraging its well-established local distribution network, has achieved impressive sales results. Furthermore, OS’s products present a viable option for adult smokers exploring safer alternatives, which could potentially reduce the smoking prevalence in Germany. The launch of OS Vape represents a landmark progression for the brand in the realm of disposable vapes. As Europe’s front-running shisha brand, OS is turbocharging its offerings by integrating the FEELM Max - the globe’s leading ceramic coil disposable solution. This innovative technology allows consumers to enjoy an economically advantageous option, by offering over 800 puffs with 2mL e-liquid in adherence with TPD standards. The 30% increase in puff count has garnered empirical validation. Inter Scientific, one of the UK’s most esteemed independent testing institutes, recently corroborated that the FEELM Max solution can comfortably deliver between 880-920 puffs, enabling OS Vape products, to easily exceed 800 and even approach 900. This assurance allows OS Vape’s consumers to confidently enjoy the longer puffs, redefining pre-existing market perceptions. Distinguishing itself further, OS Vape’s cotton-free design heightens atomization efficiency, leading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2mL e-liquid capacity. Beyond enhanced puff longevity, its unwavering power management system assures a staggering 95% vapor consistency, solidifying a gratifying vaping journey. A cherry on top, its ergonomic design encompasses a transparent e-liquid tank, helping to alleviate consumer anxieties. OS OS Tobacco launched its shisha business in 2017 and quickly became the number one of Germany’s top-selling shisha brand, with unique and outstanding flavors like African Queen and Bonnie ’n Clyde. Renowned as Germany’s most iconic and innovative shisha tobacco brand, OS Tobacco now introduced the new OS VAPES as its first venture into the vaping industry. FEELM As a flagship tech brand under SMOORE, FEELM is the world’s leading provider of closed vape system solutions. Harnessing the power of Ceramic Coil Heating Technology and authentic Flavor Reproduction Technology, FEELM merges innovation and electronics to deliver the ultimate sensation and a premium vaping experience.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1173955/en/ 언론연락처: FEELM Ruiqi Wang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OS Achieves 800-Puff Milestone with FEELM Max Technology
-
-
대구오페라하우스, 20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 개막작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걸작 오페라 ‘살로메’ 공연
- ‘2023 판타지아 대구페스타’의 하반기 시즌 개막을 알리는 대표 음악축제이자 올해로 성년(成年)을 맞이한 대구국제오페라축제가 10월 개막한다. 10월 6일에서 11월 10일까지 36일간 다섯 편의 메인오페라를 차례로 선보일 20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를 화려하게 시작할 작품은 바로 충격적 소재를 다루고 있는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 Salome(10.6-7)’다.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화제작 ‘살로메’, 축제의 문을 열다 ‘살로메’는 ‘바그너 이후 가장 위대한 작곡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대표작으로, 감각적인 음악과 충격적 내용으로 유명하다. 슈트라우스는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살로메’를 원작으로 해서 1905년, 6월에 음악을 완성하고 그해 12월 독일 드레스덴 무대에 올려 대성공을 거뒀다. 의붓딸 살로메의 관능적 아름다움에 빠져 세례자 요한의 목을 자른 헤롯왕의 성서 속 스토리를 내용으로 한 만큼 인간의 욕망과 충동, 광기를 단막의 오페라로 그려낸 작품이다. 살로메가 요한의 머리를 얻기 위해 헤롯왕 앞에서 몸에 걸친 일곱 개의 베일을 차례로 벗으며 춤추는 ‘일곱 베일의 춤’이 특히 유명하며, 이 부분은 음악회에서 단독으로 연주되기도 한다. 특히 ‘살로메’는 콘서트 형식으로 공연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 전막오페라로 공연되는 것은 대구에서 처음으로, 지역 오페라 애호가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세계 정상급 디렉터, 미하엘 슈트루밍어가 연출한 수준 높은 프로덕션 개막작 ‘살로메’는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활동 중인 세계 정상급 연출가이자 영화감독이기도 한 미하엘 슈트루밍어(Michael Struminger)의 현대적인 연출, 빈 폭스오퍼 지휘자 로렌츠 아이히너(Lorenz Aichner)가 이끄는 대구시립교향악단의 연주로 더욱 기대를 모은다. 미하엘 슈트루밍어의 이번 프로덕션은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시립극장에서 공연했을 당시 ‘오스트리아 음악극상’에서 최우수 오페라 작품상을 수상했을 만큼 유럽에서도 인정받은 바 있다. 오스트리아를 비롯한 유럽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는 최고의 출연진 역시 함께한다. 세례자 요한에 대한 광기어린 애정으로 그를 죽음으로 이끈 ‘살로메’ 역에는 소프라노 안나 가블러(Anna Gabler), 의붓딸인 살로메에게 욕망을 드러내는 ‘헤롯왕’역에는 테너 볼프강 아블링어 슈페르하크(Wolfgang Ablinger-Sperrhacke), 살로메의 어머니이자 요한의 비난에 중심에 있는 ‘헤로디아스’에 메조소프라노 하이케 베셀(Heike Wessel)이 출연하며, 세례자 ‘요한’ 역에 도이치오퍼 베를린 전속가수 출신의 바리톤 이동환이, 살로메를 남몰래 좋아하고 있는 경비대장 ‘나라보트’ 역에 빈 폭스오퍼에서 10년 이상 전속 가수로 노래한 테너 유준호 등이 출연해 더욱 기대를 높인다. ◇ 20주년에 걸맞은 최고의 작품들로 채워질 36일간의 여정 ‘살로메’로 그 여정을 시작할 20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는 격정적인 음악이 돋보이는 베르디 중기 대표작이자 서울시오페라단의 인기 레퍼토리 ‘리골레토(Rigoletto)’, 단순하면서도 상징적인 무대연출과 성악진의 뛰어난 역량으로 호평받았던 국립오페라단의 ‘맥베스(Macbeth)’, 베르디 후기의 위대한 걸작이자 대구·경북 민간오페라단 공모에서 선정된 영남오페라단이 준비한 ‘오텔로(Otello)’ 등 국내 유수 오페라단의 뛰어난 작품들로 축제를 더욱 풍성하게 채웠으며, 불가리아 소피아 국립오페라·발레극장과 합작한 그리스 신화 모티브의 슈트라우스 오페라 ‘엘렉트라(Elektra)’를 무대에 올리는 등 20주년을 맞아 오페라축제를 찾는 관객들에게 작품 선택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제20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 ‘살로메’는 인터파크 콜센터, 대구오페라하우스 홈페이지(www.daeguoperahouse.org)와 인터파크 홈페이지(https://tickets.interpark.com)에서 예매할 수 있다. 기본 할인 외에 비씨카드 회원의 경우에는 예매 시 30%의 특별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대구오페라하우스 소개 2022년 10월 1일자로 재단법인 대구오페라하우스가 재단법인 대구문화예술진흥원으로 통합됐다. 언론연락처: 대구오페라하우스 홍보담당 조하나 053-666-6033 인터파크 콜센터 1661-5946 문의 053-666-600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대구오페라하우스, 20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 개막작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걸작 오페라 ‘살로메’ 공연
-
-
부천대 2023년 고교단계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지원단 간담회 개최
- 부천대학교 고교단계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지원단은 9월 14일~15일 이틀에 걸쳐 서울권역 및 인천권역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3년 고교단계 일학습병행 지원단 간담회에는 서울공업고, 인천뷰티예술고, 인천생활과학고 등 3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제부장 및 전담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부천대 고교단계 지원단의 하반기 도제학교 지원계획을 공유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일학습병행사업 추진 방향에 대한 이해 증진, 지역 내 도제학교 전담자 간 정보 공유 및 상호교류의 시간으로 이뤄졌다. 부천대학교는 2021년 ‘고교단계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지원단’으로 선정된 후, 서울공업고 등 서울 및 인천권역 관할 도제학교의 밀착지원을 통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성과제고 지원과 도제준비과정 지원을 수행해 오고 있다. 부천대학교 고교단계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지원단 소개 부천대학교 고교단계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지원단은 서울공업고등학교(서울),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인천),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인천) 총 3개 도제학교(고등학교)의 성과제고와 도제준비과정을 지원하고 있으며, P-TECH, 재직자학위연계형, 재직자과정, 첨단산업아카데미(재학생단계) 등 다양한 일학습병행사업을 통해 한국산업인력공단과 함께 다양한 산업 분야의 인력 양성에 성과를 내고 있다. 언론연락처: 부천대학교 공동훈련센터 홍보대행 컨텍스처 정희정 이사 02-2659-239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부천대 2023년 고교단계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지원단 간담회 개최
-
-
누림센터, 제14회 경기도 장애인 미술 공모전 수상작 전시회 개최
-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이하 누림센터)는 ‘제14회 경기도 장애인 미술 공모전 수상작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누림센터 1층 ‘누림아트 갤러리’에서 9월 25일부터 10월 13일까지 진행되며 공모전 대상 수상작 ‘내 꿈은 헬리콥터 조종사’ 등 17점을 전시한다. 올해로 14회를 맞이한 공모전은 ‘미래의 꿈’이라는 주제로 4월 24일부터 6월 9일까지 접수를 진행했으며, 경기도 거주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286명이 참여하고, 미술 작품 402점이 접수됐다. 한편 전시 첫날 진행한 시상식에서는 대상 1명(부상 100만원), 최우수상 2명(부상 50만원), 우수상 3명(부상 30만원), 가작 4명(부상 10만원), 입선 5명이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상을 받았고, 특별상으로 각 1명씩 경기도지사상, 경기도의회의장상을 받았다. 누림센터는 공모전을 통해 신예 장애 예술인을 발굴하고 전시 기회를 제공하며, 작품 임대 및 판매를 통해 일자리가 될 수 있도록 기획 전시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문의는 누림센터 누리집(http://www.ggnurim.or.kr) 또는 협력지원팀에서 안내 받을 수 있다.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 소개 “경기도 장애인 한 사람 한 사람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 지원하겠습니다.” 누림센터는 장애인의 선택과 권리를 존중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동반자적 역할 수행과 경기도 장애인 복지 발전에 미래를 열어가는 전문 기관이다. 경기도민의 다양한 복지 수요에 부응하고 복지 서비스의 전문성을 증진해 내실있는 사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경기도에서 설립했다. 언론연락처: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 기획홍보팀 조혜진 담당 031-299-5012 협력지원팀 031-299-5054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누림센터, 제14회 경기도 장애인 미술 공모전 수상작 전시회 개최
-
-
‘국민 대표 일자리 앱’ 벼룩시장, 배우 정상훈과 함께한 두 번째 TV광고 공개
- 일자리 플랫폼 ‘벼룩시장’을 운영하는 미디어윌(대표이사 장영보)이 배우 정상훈과 함께한 두 번째 광고를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벼룩시장은 지난해부터 ‘국민과 일자리를 연결하다’라는 브랜드 슬로건 아래,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해 왔다. 신규 광고는 해당 캠페인의 연장선에서 국민 누구나 가장 쉽고 빠르게 최적의 일자리를 만날 수 있도록 돕는 ‘국민 대표 일자리 앱’으로서 벼룩시장의 대표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번 광고에서 정상훈은 구직자로 변신, 벼룩시장 앱을 통해 다양한 생활밀착 일자리 구직에 성공하는 모습을 유쾌하고 실감 나게 연기했다. 광고는 기자회견장에서 카메라 플래시 세례를 받는 정상훈에게 누군가 ‘이렇게 좋은 일자리 어디서 구하셨죠?’라는 질문을 던지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어 다양한 유니폼을 입은 일곱 명의 정상훈이 등장, 질문에 대한 해답으로 벼룩시장 앱을 자신감 있게 꺼내 보인다. 배달 라이더, 요리사, 마트 관리자 등 적성에 꼭 맞는 좋은 일자리를 만나 맹활약을 펼치는 정상훈의 모습에 이어, 벼룩시장 앱을 통해 취업에 성공한 수많은 구직자들이 압도적 스케일로 그려지며 광고는 마무리된다. 광고에는 유명 브랜드 일자리만 큐레이션해서 보여주는 △브랜드관, AI 알고리즘으로 구직자의 희망 조건에 부합하는 최적의 일자리를 추천해 주는 △AI 추천일자리 등 벼룩시장의 핵심 서비스 소개도 담겼다. 미디어윌은 요즘같이 어려운 시기, 일자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계실 구직자분들을 응원하기 위해 이번 캠페인을 기획했다며, ‘국민 대표 일자리 앱’ 벼룩시장을 통해 국민 모두가 쉽고 빠르게 ‘좋은 일자리’와 연결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벼룩시장의 신규 광고는 지상파, 종편 등 주요 TV 채널을 비롯해 벼룩시장 공식 유튜브, SNS 등을 통해 만나볼 수 있으며, 광고 온에어를 기념해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벼룩시장은 AI 알고리즘으로 구직자의 희망 지역, 선호 업직종 등 프로필 정보와 최근 본 채용공고, 입사 지원 이력 등 행동 정보를 분석해 조건에 부합하는 최적의 일자리를 추천해 주는 AI 추천일자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유명 브랜드와 프랜차이즈 일자리 정보를 한곳에 모은 ‘브랜드관’을 통해 청소·육아 등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부터 유명 커피전문점, 패스트푸드점, 백화점, 마트, 편의점까지 다양한 업종의 대표적인 브랜드 채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미디어윌 소개 미디어윌은 1990년 생활정보신문 ‘벼룩시장’을 발행한 이래, 다양한 뉴미디어 사업을 전개해 왔다. 현재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전문 미디어와 인쇄, 유통, 외식 등 12개의 계열사를 운영하는 그룹사로 성장했다. ‘인류에 봉사하는 회사’란 경영 이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고객 만족’과 ‘초일류 기업’이라는 비전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미디어윌 마케팅전략실 장혜림 차장 02-3019-157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국민 대표 일자리 앱’ 벼룩시장, 배우 정상훈과 함께한 두 번째 TV광고 공개
-
-
야놀자, 4060 신중년이 선택한 숙박 예약 앱… 신중년 숙박 앱 이용은 ‘편리성’ 때문
- 시니어 소셜벤처 임팩트피플스(대표 신철호)가 4060 신중년의 숙박 예약 이용 행태 및 트렌드 조사를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임팩트피플스의 4060세대 전문 라이프스타일 조사 플랫폼 ‘에이풀(Aful)’을 통해 2023년 7월 20일부터 8월 2일까지 40세 이상 남녀 328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코로나 엔데믹 이후 국내외 할 것 없이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숙박업계가 어느 때보다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만년 2위였던 ‘여기어때’ 앱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업계 1위인 ‘야놀자’와의 격차가 빠르게 좁혀졌다. 모바일인덱스 자료에 따르면 야놀자 앱 신규 설치 수는 올해 28만건, 여기어때는 35만건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4060 신중년이 선택한 숙박 예약 앱은 무엇일까. 먼저 4060 신중년에게 숙박 예약 앱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지 물었다. 그 결과, 숙박 예약 앱을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한 이들이 무려 전체 응답의 93.6%를 차지했다. 이어 숙박 예약 앱 유경험자들에게 여러 앱에서 예약 가격을 비교한 경험이 있는지 물었을 때 96.4%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숙박 예약 앱 경험이 있는 4060에게 가장 선호하는 숙박 예약 앱이 무엇인지 묻자 ‘야놀자’를 가장 선호한다는 응답이 전체 31.6%로 가장 많았다. 2위는 30%의 응답률로 ‘여기어때’가 차지했으며, 3위는 ‘아고다(10.7%)’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호텔스닷컴(10.1%)’, ‘호텔스컴바인(9.1%)’, ‘에어비앤비(5.9%)’ 등 다양한 숙박 예약 앱들이 언급됐다. 동일 응답자들에게 ‘선호하는 숙박 예약 앱을 선택한 이유’(복수 응답)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다양한 숙박업체 입점(39.2%)’을 선택 이유로 꼽은 이들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편리한 가격 비교’라고 답한 이들이 33.7%로 높게 나타났고, ‘다양한 할인 이벤트’가 앱 선택 이유라 답한 이들은 28.6%로 조사됐다. 이외에 ‘저렴한 가격(25.5%)’, ‘가족/지인 추천(22%)’, ‘부가서비스(11.4%)’ 등의 이유가 언급됐다. 4060에게 숙박 예약 앱을 통해 숙소를 예약하는 이유에 대해 물은 결과, ‘예약이 편리해서(28.3%)’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할인 혜택이 많아서(27%)’, ‘인지도가 높아서(16%)’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또한 ‘특가 행사 중이어서(12.4%)’, ‘다양한 숙박업체 예약이 가능해서(10.4%)’, ‘다양한 지역의 숙박업체가 있어서(4.6%)’ 숙박 앱을 이용한다는 의견도 일부 나왔다. 숙박 예약 앱을 이용하는 신중년에게 연간 숙박 예약 앱을 얼마나 이용하는지 물었다. 1년에 ‘2번 이상~5번 미만’ 이용한다는 응답이 6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간 ‘5번 이상~10번 미만(16%)’, ‘1번 이하(13.7%)’ 순이었다. 동일 응답자들에게 숙박 앱 비교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서비스/기능(복수 응답)에 대해 묻자 ‘할인 혜택(56.7%)’을 가장 고려한다는 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다양한 베스트 상품(32.6%)’, 3위는 ‘다량의 숙소 보유(28.7%)’로 조사됐다. 아울러 4060 신중년에게 숙박 예약 앱 내에서 숙소 예약 외 선호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복수 응답) 물었다. 그 결과, ‘여행지 정보(콘텐츠)’ 서비스를 선호한다는 답변이 43.3%로 가장 많았다. 이어 ‘렌터카 서비스(36.8%)’, ‘항공편 검색 서비스(31.3%)’ 순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 뒤를 ‘투어/액티비티 예약(25.4%)’, ‘공항 택시 예약(14.7%)’, ‘레스토랑 예약(11.4%)’ 차례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임팩트피플스의 에이풀 서비스는 해외 최초 4060세대 전문 라이프스타일 조사 플랫폼으로, 4060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신중년 타깃 기업을 위한 트렌드 진단 및 예측 자료 공유, 시니어 제품 리뷰 정보 제공, 시니어 온라인 일거리 개발 등 시니어 산업 발전을 돕고 있다. 에이풀(Aful)은 높은 구매력으로 여유로운 장밋빛 인생 2막을 시작한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를 의미하는 신조어 ‘A세대’에서 따왔다. 임팩트피플스 소개 임팩트피플스는 초고령사회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시니어 온라인 플랫폼 운영, 시니어 일자리 얼라이언스를 통해 중장년층을 위한 일자리를 연결하고, 나아가 혁신적인 시니어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설립했다. 언론연락처: 임팩트피플스 UX리서치팀 조이령 매니저 02-2191-3725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야놀자, 4060 신중년이 선택한 숙박 예약 앱… 신중년 숙박 앱 이용은 ‘편리성’ 때문
-
-
국내 시스템반도체기업 발명 Wi-Fi 6 표준특허, TP-Link로부터 약 500억원 특허침해 배상 판결
- 국내 중소 Wi-Fi 시스템반도체 제조업체인 뉴라텍(대표이사 이석규)의 미국 자회사 뉴라컴(NEWRACOM)은 9월 14일(현지 시각) 특허 라이선스 파트너인 미국 아틀라스글로벌테크놀로지스(Atlas Global Technologies)가 TP-Link에 제기한 Wi-Fi 6 표준특허 침해 소송에서 승소해 미화 3750만달러의 일시 손해 배상을 받게됐다고 밝혔다. 아틀라스글로벌테크놀로지스는 뉴라컴이 보유한 200여건의 Wi-Fi 6 표준특허 라이선스 전개를 위한 미국 내 특수목적법인으로, 미국 나스닥 상장사이자 글로벌 특허전문기업인 아카시아리서치(Acacia Research Corporation)의 자회사로서 2021년 2월 수익화를 위해 뉴라컴으로부터 Wi-Fi 6에 관련된 모든 특허를 매입한 바 있다. 아틀라스글로벌테크놀로지스는 뉴라컴이 발명한 표준 특허들이 정당한 사용 계약을 통해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PC·노트북·테블릿·스마트홈 디바이스·정보가전·라우터 등 글로벌 제조업체들 대상 라이선스계약 체결을 유도하고 협의를 진행 중에 있다. 다만 이중 부득이 특허 침해 사실 불인정 및 협의가 원만히 진행되지 않을 경우에 한해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하고 있는데, 이번 TP-Link 판결은 미국 연방법원이 특허 침해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해 준 첫 번째 결과로, 향후 특허 라이선스 계약 진행에 있어 큰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틀라스글로벌테크놀로지스는 2021년 11월 미국 텍사스동부지역 연방법원에 TP-Link를 대상으로 뉴라컴의 특허를 침해했다는 소송을 제기했으며, 약 2년 간의 공방을 통해 이번 판결에 도달했다. 이번 재판은 배심원 판결에 따라 진행됐으며, 아틀라스글로벌테크놀로지스는TP-Link가 뉴라컴의 5개 특허를 무단 사용함으로써 과거 및 향후에 미화 약 3750만달러의 손해가 발생 및 발생 예정임을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배심원들은 피고인 TP-Link의 반대 주장에도 불구하고 원고의 주장을 그대로 인정해 일시불로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번에 침해가 인정된 뉴라컴의 특허는 뉴라컴이 Wi-Fi의 표준화기구인 IEEE 802.11ax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Wi-Fi 6 표준규격 수립에 기여한 표준특허들로,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어레이 시스템 등을 포함하고 있다. 표준특허는 글로벌 표준규격 수립에 기여한 발명 아이디어로, 표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제조업체 등 사업자 입장에서는 해당 발명을 무조건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바 ‘길목특허’라고도 불린다. 현재 아틀라스글로벌테크놀로지스는 수십 곳의 잠재적 특허 사용자들과 특허 라이선스 계약 협상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일부기업의 경우 협상이 원만히 이뤄져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곳도 있다. 뉴라컴은 아틀라스글로벌테크놀로지스가 수입한 특허 로열티 수입의 일부를 배분 받도록 되어 있는 바, 향후 수천억 원 규모의 막대한 특허 매각 수입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뉴라텍 및 자회사 뉴라컴의 이석규 대표이사는 “뉴라텍은 글로벌 강소형 신생 Wi-Fi 팹리스로서 브로드컴, 퀄컴, 미디어텍 등 글로벌 거대기업들의 기술을 빠르게 추격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며 “한편으로는 이번 특허 소송에서 보듯이 새로운 Wi-Fi 글로벌 표준 수립을 위한 발명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특허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는 이미 글로벌 선도기업”이라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한편 2018년 4월 발간된 특허 등 무형자산 전문저널 IAM의 산업보고서에 따르면, 뉴라컴은 Wi-Fi 6 표준규격 기술 제안에 있어 퀄컴, 인텔, 화웨이에 이어 세계 4위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 뒤로 세계 최대 Wi-Fi 칩 제조업체인 브로드컴을 비롯해 미디어텍, LG, Apple 등이 10위 안에 들었다. 뉴라텍 소개 뉴라텍은 무선통신 시스템반도체 팹리스 기업으로 IoT용 Wi-Fi 칩 설계/판매 및 Wi-Fi 국제표준화 주도를 사업 목적으로 한다. 뉴라텍은 소수의 글로벌 무선통신 팹리스들이 장악하고 있는 Wi-Fi 시장의 신생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서 스마트홈/오피스/팩토리, 스마트그리드, ESL(전자가격표시기), 웨어러블 등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목표시장으로 장거리/저전력 Wi-Fi 칩셋을 세계 최초로 출시해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을 대상으로 현재 활발한 영업을 전개하고 있다. 무엇보다 뉴라텍은 IoT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함께 기업의 획기적 성장과 도약을 마주하고 있으며, 코스닥 예비상장기업으로서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에 있다. 언론연락처: 뉴라텍 전략경영본부 조기배 부사장 02-2088-1975 박상규 그룹장 02-2088-197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지구촌
-
국내 시스템반도체기업 발명 Wi-Fi 6 표준특허, TP-Link로부터 약 500억원 특허침해 배상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