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Home >  뉴스 >  사회
실시간뉴스
실시간 사회 기사
-
-
선전 오토캐스트 테크놀로지, 카플레이 제품 ‘Otto AI Box’ 한국 출시
- 선전 오토캐스트 테크놀로지(Shenzhen Ottocast Technology CO.,Ltd, 이하 오토캐스트)가 이른바 ‘차량용 스마트 태블릿 PC’로 불리는 최신형 카플레이(Carplay) ‘Otto AI Box’를 한국 시장에 출시했다. 최신형 AI Box에는 내비게이션 기능은 물론, 개인 또는 가족 나들이에 편리한 기능이 다수 탑재됐다. 이에 AI Box 하나만 있으면 공간,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거의 모든 차종과 휴대전화를 연결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Ottocast AI Box는 안드로이드와 애플 운영체제를 가리지 않고 모두 구동돼 삼성이나 애플 휴대전화와 연결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Ottocast AI Box를 1080p HDMI로 차량 뒷좌석 모니터에 연결하면 유튜브, 넷플릭스, 뮤직채널 등 각종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차량 탑승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다. Ottocast AI Box는 차량 출장이 잦은 비즈니스맨이나 첨단 기능 탑재 차량 마니아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현재 일부 고급 차종은Ottocast AI Box의 기능과 비슷한 시스템을 자체 탑재해 선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이용자가 직접 차량 지정 AS 센터를 방문해 유료로 설치해야 한다. 오토캐스트는 10여년간 각고의 독자 개발 노력으로 동종 업계에서 최고 브랜드로 인정받아 현재 전 세계 60여개 국가에서 온라인으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2022년 10월 출시된 ‘Picasso2’는 이미 10만대가 넘게 판매됐다. 현재 글로벌 이용자들의 사용 편의를 위해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16개 언어로 개발해 서비스하고 있다. 오토캐스트의 짱샤오친 동사장은 “한국은 Ottocast AI Box 제품이 성장하기에 좋은 시장 환경을 갖추고 있다”며 “많은 한국 이용자가 Ottocast AI Box의 편리한 기능을 이용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선전 오토캐스트 테크놀로지 소개 선전 오토캐스트 테크놀로지(Shenzhen Ottocast Technology CO.,Ltd)는 글로벌 자동차 관련 전자 제품 브랜드 ‘카플레이(CarPlay)’ 애플리케이션 및 어댑터를 개발 판매하고 있으며, 미래 자동차는 단순 이동 수단이 아닌 가정과 디지털 라이프를 융합하는 도구가 될 것으로 믿는다. 오토캐스트 카플레이는 즐겨 쓰는 앱과 기능을 차량에서 손쉽게 구동할 수 있어 운전자뿐만 아니라 모든 탑승자들에게도 편리하고 즐거운 시간을 약속한다. 오토캐스트는 출퇴근이나 심부름, 자동차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들이 세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도우며, 미래 지향적인 차량 내 생활을 만들어가고 있다. 언론연락처: 선전 오토캐스트 테크놀로지(Shenzhen Ottocast Technology CO.,Ltd) Marketing Department 지모 왕(ZIMO WANG) +86 1589977167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선전 오토캐스트 테크놀로지, 카플레이 제품 ‘Otto AI Box’ 한국 출시
-
-
하이티움 생산 시설, 탄소 중립 인증 획득
- 고정형 배터리 제조업체 하이티움(Hithium)의 중국 샤먼 본사에 위치한 생산 시설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탄소 중립 인증 PAS 2060을 획득했다(인증 번호: 0412TZH01106). 이 인증 표준은 TÜV Süd에 따라 공장의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기 위해 확립된 방법론(예: GHG 프로토콜 및 ISO 14064)을 기반으로 하며, CDM, JI, GS, VCS를 비롯한 기후 프로젝트를 통해 획득한 고품질 상쇄 인증의 영향을 평가한다. 하이티움은 이 공장이 에너지 저장 산업의 벤치마크 역할을 해, 이 인증을 획득한 중국의 초기 배터리 생산 시설 중 하나로서 지속 가능한 생산의 표준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이티움 총괄책임자 제이슨 왕(Jason Wang)은 “인증을 이렇게 빨리 획득하고 업계에 대한 높은 기준을 세우게 된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ESG 목표를 실현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를 달성하기 위한 우리의 접근 방식은 당사의 기업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 연구, 판매, 생산 라인 등 회사 리더십부터 모든 팀원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핵심 사명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탄소 중립 공장 인증을 계기로 하이티움은 더 폭넓은 탄소 중립 목표도 발표했다. 2025년까지 그룹 운영 분야의 탄소 중립 달성 그룹 전체의 핵심 운영 분야(범위 1 및 범위 2)에서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하이티움은 40% 이상의 재생 전기를 사용하고, 제품과 공급망 모두에서 평균 탄소 배출량을 15% 줄이고(2022년 벤치마크 대비), 폐원료 재활용률을 20% 이상으로 올릴 계획이다. 2028년까지 글로벌 제조 분야의 탄소 중립 달성 하이티움의 목표는 그룹의 재생 전기 사용률 100%에 도달하고, 전 세계의 배터리 제조 기지가 탄소 중립 공장 인증을 받고, 제품과 공급망 모두에서 평균 탄소 배출량을 30% 줄이고(2022년 벤치마크 대비) 폐원료 재활용률을 40% 이상으로 올리는 것이다. 2035년까지 산업 체인 전반에 거쳐 탄소 중립 달성 2035년까지 하이티움은 그룹 전체 체인(범위 1, 2 및 3)와 제품 수명주기 전체(사용 단계 제외)의 탄소 중립을 달성하고, 폐원료 재활용률을 80% 이상으로 올릴 계획이다. 2019년에 설립된 제조업체 하이티움은 지속 가능성 목표의 하나로 최근 배출 및 ESG 추적 기관인 아킬레스(Achilles)에 등록하고 UN 글로벌 콤팩트(UNGC)에 가입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회사의 실행 계획에는 생산 공정 개선, 지능형 애플리케이션, 청정 에너지 및 재활용 재료 사용 확대, 저탄소 기술 연구 및 개발이 포함된다. 하이티움 소개 2019년에 설립된 하이티움은 상업 및 산업 분야는 물론 유틸리티 규모의 적용 분야를 위한 최고 품질의 고정형 에너지 저장 제품을 제조하는 선도적인 기업이다. 4개의 별도 R&D 센터와 여러 개의 ‘지능형’ 생산 시설을 갖춘 하이티움의 혁신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획기적인 안전성 개선과 수명 연장 등이 포함된다. 설립자와 경영진이 이 분야에서 수십 년간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하이티움은 BESS에 대한 전문성을 활용해 파트너와 고객에게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독보적인 첨단 솔루션을 제공한다. 하이티움은 중국 샤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선전, 충칭, 뮌헨 및 캘리포니아에 생산, 연구, 판매를 위한 추가 지사를 두고 있다. 하이티움은 2022년에만 5GWh의 배터리 용량을 출하하는 등 총 11GWh의 배터리 용량을 출하했으며, 현재 45GWh의 생산 능력을 2023년 말까지 70GWh로 확대할 계획이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64418/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하이티움(Hithium)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하이티움 생산 시설, 탄소 중립 인증 획득
-
-
엑솔라, 게임용 멀티플레이어 플랫폼 AcceleratXR 인수 발표
- 글로벌 비디오 게임 상거래 기업인 엑솔라(Xsolla)가 라이브 서비스 게임 및 소프트웨어용으로 설계된 게임 내 서버 백엔드 기술 제공업체인 AcceleratXR을 전략적으로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AcceleratXR 플랫폼과 네트워크 엔진은 강력한 확장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플랫폼과 장치 전반에 걸친 환경을 지원한다. 이는 최신 대화형 디지털 콘텐츠에 최적화된 운영 체제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AcceleratXR 기술은 개발 팀이 규모나 기술 수준에 관계없이 최첨단 온라인 및 멀티플레이어 경험을 대규모로 제작할 수 있게 지원한다. 라이브 클라우드 스크립팅과 같은 20개 이상의 전문 시스템을 보유한 AcceleratXR은 게임,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메타버스 등을 개발하기 위한 가장 유연하고 풍부한 기능의 플랫폼이다. 이번 인수는 플레이어가 PC, 웹, 콘솔, 모바일 및 VR 등 플레이하고자 하는 모든 플랫폼에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고 구매 내역에 액세스할 수 있게 지원하는 포괄적인 크로스플레이 및 크로스결제 솔루션 마케팅을 향한 혁신적인 변화를 강조한다. 엑솔라의 CEO인 크리스 휴이시(Chris Hewish)는 “엑솔라 게임 기술 제품군에 새롭게 추가된 AcceleratXR을 환영한다”며 “AcceleratXR은 웹에서 PC, 콘솔, 모바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플랫폼에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한 게임 서버 백엔드 기술을 제공한다. 이는 크로스플레이 기술을 재정의하고자 하는 당사의 여정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AcceleratXR의 공동 창업자인 장 필립 스타인메츠(Jean-Philippe Steinmetz)는 “이번 엑솔라의 인수는 매우 의미 깊다. 이는 모든 사람이 게임 개발 도구에 액세스하고 게임 커뮤니티 내에서 소셜 환경을 향상하려는 당사의 핵심 가치를 더욱 강화한다”라며 “이 중대한 진전은 글로벌 게임 산업을 재편할 기회를 나타낸다”고 덧붙였다. AcceleratXR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xsolla.pro/axr-acquisition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엑솔라 소개 엑솔라는 비디오 게임 산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강력한 도구 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비디오 게임 상거래 회사이다. 2005년 창립 이래 엑솔라는 규모와 관계없이 수천 명의 게임 개발자와 퍼블리셔가 전 세계 여러 플랫폼에서 게임 관련 펀딩, 마케팅, 론칭 및 수익 창출을 하도록 지원했다. 게임 상거래의 혁신적인 리더인 엑솔라의 사명은 글로벌 유통, 마케팅 및 수익 창출의 본질적인 복잡성을 해결하여 파트너가 더 많은 지역에 접근하고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며 전 세계 게이머와 관계를 맺도록 돕는 것이다.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법인과 베를린, 서울, 베이징, 쿠알라룸푸르, 도쿄 및 전 세계 여러 도시에 지사를 둔 엑솔라는 밸브(Valve), 트위치(Twitch), 로블록스(Roblox), 유비소프트(Ubisoft), 에픽 게임스(Epic Games), 테이크 투(Take-Two), 크래프톤(KRAFTON), 넥스터스(Nexters), 넷이즈(NetEase), 플레이스튜디오(Playstudios), 플레이릭스(Playrix), 미호요(miHoYo) 등과 같은 주요 게임 타이틀을 지원한다. 웹사이트: xsolla.com (https://xsolla.com/) AcceleratXR 소개 AcceleratXR은 크로스 플랫폼 게임 및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목표로 하는 게임 개발자를 위한 다목적 솔루션으로, 콘솔, PC, 모바일부터 VR 환경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게임 플랫폼을 포괄한다. AcceleratXR은 이러한 다양한 게임 인터페이스 간의 원활한 연결을 강화해 개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고 게임 개발자가 대규모 크로스 플랫폼 게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포할 수 있게 지원한다. 웹사이트: acceleratxr.com (https://www.acceleratxr.com/)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64368/en 언론연락처: 엑솔라(Xsolla) 데릭 스템브리지(Derrick Stembridge) 홍보 글로벌 이사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엑솔라, 게임용 멀티플레이어 플랫폼 AcceleratXR 인수 발표
-
-
포카이츠, 첸나이에 새로운 APAC 본사 개설하고 하이브리드 업무 모델에 대한 업무 재정비
- 선도적인 공급망 가시성 제공업체 포카이츠 (https://www.fourkites.com/?utm_medium=press)(FourKites)가 첸나이의 DLF 사이버시티(DLF Cybercity)에 새로운 아시아 태평양 본사를 개설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회사가 보다 현대적이고 컴팩트한 공간으로 이동한 것은 하이브리드 업무 모델에 대한 노력을 통해 현지 직원들이 협업할 수 있는 편안하고 유연한 업무 공간을 제공하고, 이들이 대면 업무와 원격 업무 간에 쉽게 전환할 수 있는 역량을 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움직임은 지속 가능성에 대한 포카이츠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부합한다. 새 사무실 공간은 LEED 인증을 받았으며, 이전 사업장에서 나온 자재의 용도를 변경하여 활용함으로써 환경적 책임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포카이츠의 최고경영자 겸 설립자인 매튜 엘렌지칼(Mathew Elenjickal)은 이번 이니셔티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팀의 발전하는 니즈에 맞춰 완전히 유연한 업무 공간을 제공하게 된 새로운 첸나이 지사에 대해 매우 기대가 크다. 하이브리드 업무 모델은 성장하는 글로벌 팀에게 가장 효율적인 협업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공간은 지속 가능성과 탄소 배출 억제에 대한 노력도 강화한다.” 인도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오랫동안 옹호한 포카이츠는 조림 전문 NGO인 세이트리즈(SayTrees)와 협력하여 도시 숲을 조성하는 일로 사무소 개설을 기념했다. 포카이츠 직원들은 가족과 함께 페룬갈라투르에 750그루가 넘는 묘목을 심었다. 우리는 지속 가능성 허브 (https://www.fourkites.com/press/fourkites-introduces-industry-first-supply-chain-sustainability-analytics/)를 통해 환경 이니셔티브에 대한 헌신을 고객에까지 확대하여, 상세한 배출 추적, 분석 및 시나리오 모델링을 제공하여 고객사의 공급망 운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 포카이츠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계속 입지를 넓혀가고 있으며, 아태 지역 50개국에서 12개월 동안 신규 고객이 40% 늘어나고, 배송을 추적하는 신규 운송업체가 약 100% 성장했다. 올해 초 포카이츠는 미쓰이 지식산업 (https://www.fourkites.com/press/fourkites-and-mitsui-appoint-mki-as-exclusive-reseller-in-japan/)(Mitsui Knowledge Industry Co. LTD., MKI)을 포카이츠의 일본 독점 리셀러로 지명했다. 이는 회사에 대한 미쓰이의 1000만달러 투자 (https://www.fourkites.com/press/fourkites-announces-10m-strategic-investment-from-mitsui-co-to-transform-supply-chains-in-asia-pacific/)의 일환이며 APAC 시장을 위한 초현지화 솔루션(hyper-localised solutions)을 제공하고 영업, 고객 서비스 및 운영 전반에 걸쳐 포카이츠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포카이츠와 MKI는 함께 이 지역에서 포카이츠 플랫폼에 대한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글로벌 고객의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꾸준히 인력을 늘려나갈 예정이다. 포카이츠 소개 선도적인 글로벌 공급망 가시성 플랫폼 FourKites®는 운송, 야적장, 창고, 매장과 그 너머까지 포괄적인 가시성을 통해 비즈니스 리더들의 역량을 강화한다. 도로, 철도, 해상, 항공, 소포 및 라스트 마일 전반에 걸쳐 매일 300만 건 이상의 배송을 추적하고 200개 이상의 국가 및 영토에 도달하는 포카이츠는 실시간 데이터와 강력한 머신 러닝을 결합하여 기업이 엔드 투 엔드 공급망을 디지털화하도록 지원한다. 10대 CPG 기업 중 9개, 20대 식음료 기업 중 18개 기업을 포함하여 세계에서 가장 인정받는 1200개 이상의 브랜드가 비즈니스를 혁신하고 보다 민첩하고 효율적이며 지속 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포카이츠를 신뢰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fourkites.com/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비즈니스 와이어 원문 보기: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6996346/en/ 언론연락처: 포카이츠(FourKites) 홍보 대행 빅 밸리 마케팅(Big Valley Marketing) 마리아나 비리디(Marianna Vyridi) +1 (650) 468-326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포카이츠, 첸나이에 새로운 APAC 본사 개설하고 하이브리드 업무 모델에 대한 업무 재정비
-
-
FourKites Opens New APAC Headquarters in Chennai, Renews its Commitment to the Hybrid Work Model
- Leading supply chain visibility provider FourKites (https://www.fourkites.com/?utm_medium=press) announced today that it has opened a new Asia-Pacific headquarters in Chennai's DLF Cybercity. The move to a more modern, compact space signals the company’s continued commitment to the hybrid work model, providing a comfortable, flexible workspace for local employees to collaborate, and empowering them to transition easily between in-person and remote work. The move is also aligned with FourKites’ ongoing commitment to sustainability. The new office space is LEED-certified, and by repurposing materials from its previous premises, the company took a holis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Commenting on the initiative, Mr. Mathew Elenjickal, CEO and founder of FourKites, said, “We are very excited about our new Chennai location, which provides a fully flexible workspace aligned with our team's evolving needs. Not only does the hybrid work model provide the most collaborative opportunities for our growing global team, but our new space also strengthens our commitment to sustainability and curbing carbon emissions.” A longtime champ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India, FourKites commemorated its new office by launching an urban forest in collaboration with SayTrees, a renowned NGO specialising in afforestation. FourKites employees, together with their families, planted over 750 saplings in Perungalathur. The company extends its dedication to environmental initiatives to its customers through Sustainability Hub (https://www.fourkites.com/press/fourkites-introduces-industry-first-supply-chain-sustainability-analytics/), which offers detailed emissions tracking, analytics and scenario modeling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ir supply chain operations. FourKites continues to increase its footprint in APAC, and over the last 12 months has seen 40% growth in new customers and nearly 100% growth in new carriers tracking shipments in the 50 countries in the region. Earlier this year, FourKites appointed Mitsui Knowledge Industry Co. LTD. (https://www.fourkites.com/press/fourkites-and-mitsui-appoint-mki-as-exclusive-reseller-in-japan/) (MKI) as FourKites’ exclusive reseller in Japan, part of Mitsui & Co., Ltd.’s $10M investment in the company (https://www.fourkites.com/press/fourkites-announces-10m-strategic-investment-from-mitsui-co-to-transform-supply-chains-in-asia-pacific/), which is focused on delivering hyper-localised solutions for the APAC market and boosting FourKites’ capabilities across sales, customer service and operations. Together, FourKites and MKI will deliver on surging demand for FourKites’ platform in the region, while FourKites continues to grow its headcount to support global customer needs. About FourKites Leading global supply chain visibility platform FourKites® empowers business leaders with comprehensive visibility into transportation, yards, warehouses, stores and beyond. Tracking more than 3 million shipments daily across road, rail, ocean, air, parcel and last mile, and reaching over 200 countries and territories, FourKites combines real-time data and powerful machine learning to help companies digitise their end-to-end supply chains. More than 1,200 of the world’s most recognised brands — including 9 of the top-10 CPG and 18 of the top-20 food and beverage companies — trust FourKites to transform their business and create more agile, efficient and sustainable supply chains. To learn more, visit https://www.fourkites.com/.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6996346/en/ 언론연락처: Big Valley Marketing for FourKites Marianna Vyridi +1 (650) 468-326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FourKites Opens New APAC Headquarters in Chennai, Renews its Commitment to the Hybrid Work Model
-
-
오가논, 포천지의 2023 세상을 바꾸는 기업 목록에서 피임 선택에 대한 접근성 확대의 리더십 인정
- 여성 건강 증진에 주력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오가논(Organon)(뉴욕증권거래소: OGN)이 전 세계 여성과 소녀의 생식 건강을 지원하는 리더십을 인정받아 포천지 선정 2023년 세상을 바꾸는 기업(Change the World) 목록에 선정됐다. 오가논은 가족계획 교육 및 피임법 접근을 통해 다음 세대의 여성을 고양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 협력 및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포천지의 연례 목록에는 핵심 비즈니스 전략의 일부인 활동을 통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기업이 선정된다. 전 세계 임신의 약 50%가 계획되지 않은 것으로, 이는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위협하고 교육 및 고용 기회 감소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는 여러 세대에 걸쳐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 2] 이 문제는 주로 피임 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유엔인구기금(UNFPA)이 의도하지 않은 임신을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로 간주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2] 오가논의 CEO인 케빈 알리(Kevin Ali)는 “오가논은 모든 여성을 위해 더 나은 건강한 매일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갖고 설립됐다. 그 책임 중 하나는 전 세계적으로 피임 교육을 강화하고 접근 장벽을 허무는 것”이라며 “우리가 이끌어 온 진전을 인정받게 된 것은 매우 자랑스럽지만,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았다”라고 전했다. 이어 “당사는 파트너들과 함께 2030년까지 1억2000만 건의 의도하지 않은 임신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전 세계 40억 명의 여성과 소녀 모두가 자신의 가족계획을 통제하는 미래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계”라고 덧붙였다. 오가논은 공중 보건 솔루션을 촉진하고 불평등을 해결하며 여성에게 교육 및 경제적 독립을 추구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부문 간 파트너십을 통해 피임 선택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에는 다음 작업이 포함된다. · 그녀의 계획, 그녀의 권리(Her Plan is Her Power) 설립 미국,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 전 세계의 지역 사회 중심 솔루션에 대한 투자와 글로벌 캠페인을 통해 계획되지 않은 임신을 줄이기 위한 3000만달러 규모의 다년간 글로벌 이니셔티브. · 그녀의 약속 액세스 이니셔티브(Her Promise Access Initiative) 진전 오가논이 파트너와 협력해 73개 최저 소득 국가로 피임 가용성을 확대. 이 이니셔티브로 현재까지 이미 5700만 건의 의도하지 않은 임신을 예방하는 데 성공. · 지속 가능한 자금 조달 통해 여성 건강 발전을 위한 새로운 모델 수립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없는 계획에 자본을 동원하기 위해 사용됨. 성과 임신 건강 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현재 멕시코,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파나마, 태국, 케냐,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8개국에서 다양한 단계로 운영. · 글로벌 보조금 프로그램 여성과 소녀가 생식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 첫 번째 수혜자 집단에는 도미니카 공화국, 한국, 독일, 태국을 포함한 13개국의 조직이 포함. 포천지의 세상을 바꾸는 기업 목록은 매거진의 자체 보고 및 분석을 바탕으로 포천 편집자들이 선정하고 순위를 매겼다. 후보자는 특정 사회 문제에 대한 회사의 영향 범위, 성격 및 지속성, 혁신 정도, 기업에 미치는 영향, 해당 이니셔티브가 회사 전체 전략에 얼마나 필수적인지를 기준으로 평가된다. 오가논의 ESG 전략, 목표 및 이니셔티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www.organon.com/about-organon/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에서 전체 2022 ESG 보고서를 다운로드해 확인할 수 있다. 오가논 소개 오가논은 여성의 전 생애에 걸친 건강 증진에 매진하기 위해 설립된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이다. 오가논의 포트폴리오는 여성 건강과 관련된 60가지 이상의 의약품 및 제품뿐만 아니라 확장 중인 바이오시밀러 사업과 다양한 치료 영역의 기존 의약품 프랜차이즈로 구성돼 있다. 오가논의 기존 제품은 여성 건강 및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혁신 및 미래 성장 기회에 대한 투자를 지원하는 탄탄한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오가논은 빠르게 성장하는 국제 시장에서 오가논의 규모와 입지를 활용해 제품을 상업화하려는 바이오 제약 혁신 기업들과 협력할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뉴저지주 저지시티에 본사를 둔 오가논은 약 1만 명의 직원을 둔 글로벌 기업으로 상당한 규모와 지리적 범위, 세계적 수준의 판매 역량을 자랑한다. 자세한 정보는 http://www.organon.com 에서 확인하거나 [LinkedIn],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organonllc/), Twitter (https://twitter.com/OrganonLLC), Facebook (https://www.facebook.com/OrganonLLC)에서 회사와 소통할 수 있다. 미래예측진술에 대한 주의 사항 본 보도자료의 일부 진술 및 공개 내용은 1995년 미국 증권민사소송개혁법(United States Private Securities Litigation Reform Act)의 ‘세이프 하버’ 조항에 따른 “미래예측진술”을 포함한다. 미래예측진술에는 전적으로 과거 또는 현재 사실과 관련되지 않은 모든 진술이 포함되며 “~할 수도 있다”, “예상하다”, “의도하다”, “예측하다”, “계획하다”, “믿다”, “찾다”, “추정하다”, “~할 것이다”와 같은 단어나 유사한 의미의 단어로 식별될 수 있다. 이런 미래예측진술에는 피임 선택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고자 하는 오가논의 노력과 관련된 진술이 포함돼 있다. 이러한 진술은 오가논의 현재 계획과 기대에 기반하며 실제 결과를 포함해 오가논의 계획과 기대가 미래예측진술과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수많은 위험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오가논은 새로운 정보, 미래 사건 또는 기타 사항의 결과로 인해 미래예측진술을 공개적으로 업데이트할 의무가 없다. 미래예측진술에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다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는 추가적인 요인은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인터넷 사이트(www.sec.gov)에서 찾을 수 있는 2022년 12월 31일 마감 연도의 오가논의 10-K 양식 연례 보고서를 비롯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찾을 수 있다. [1] 비락, J(Bearak, J) 외, 2022. 의도하지 않은 임신 및 낙태 발생률에 대한 국가별 추정치: 2015~2019년 수준에 대한 글로벌 비교 분석. BMJ 글로벌헬스(BMJ Global Health). [2] 새로운 UNFPA 보고서에 따르면 절반에 가까운 임신이 의도하지 않은 것-글로벌 위기. 유엔인구기금(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23년 9월 6일 검색: www.unfpa.org/press/nearly-half-all-pregnancies-are-unintended-global-crisis-says-new-unfpa-report.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오가논(Organon) 카리사 피어(Karissa Peer) (614) 314-8094 케이트 보센(Kate Vossen) (732) 675-8448 투자자 연락처 제니퍼 할차크(Jennifer Halchak) (201) 275-2711 알렉스 아르제노(Alex Arzeno) (646) 430-202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오가논, 포천지의 2023 세상을 바꾸는 기업 목록에서 피임 선택에 대한 접근성 확대의 리더십 인정
-
-
Organon Recognized on Fortune’s 2023 Change the World List for Leadership in Expanding Access to Contraceptive Choice
- Organon (NYSE: OGN), a global healthcare company with a focus on women’s health, has been named to Fortune’s 2023 Change the World list for its leadership in helping women and girls around the world take control of their reproductive health. Organon has a portfolio of programs, collaborations, and investments designed to lift women for generations to come through family planning education and contraceptive access. Fortune’s annual list recognizes companies that have had a positive social impact through activities that are part of their core business strategy. Nearly 50% of pregnancies worldwide are unplanned, leading to health risks and reduced educational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other and child - challenges that can span generations.[1, 2] Largely caused by a lack of access to contraceptive information and services, this problem is so significant that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UNFPA) has deemed unintended pregnancy a global public health crisis.[2] “Organon was founded with a vision to create a better and healthier every day for every woman. Part of that responsibility is to address contraception education and access barriers globally,” said Kevin Ali, CEO of Organon. “While we are incredibly proud to be recognized for the progress we’ve made, our work is far from done. Together with our partners, we aim to prevent 120 million unintended pregnancies by 2030 - a critical step toward realizing our vision of a future in which all 4 billion women and girls worldwide are empowered to be in control of their family planning.” Organon is increasing access to contraceptive choice globally through cross-sector partnerships that are fueling public health solutions, addressing inequities, and giving women more opportunities to pursue education and economic independence, including: · Establishing Her Plan is Her Power, a $30 million, multi-year global initiative to reduce unplanned pregnancies through global advocacy as well as investments in community-driven solutions in the United State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nd around the globe. · Advancing the Her Promise Access Initiative, through which Organon works alongside partners to expand contraception availability to the 73 lowest-income countries. The initiative has already helped to prevent 57 million unintended pregnancies to date. · Establishing a new model for advancing progress in women’s health through sustainable financing, which is being used to mobilize capital towards initiatives that might not otherwise receive adequate support. Programs to increase access to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education and services are currently running in eight countries in different phases including Mexico, Colombia, Ecuador, Peru, Panama, as well as Thailand, Kenya, and South Africa. · A global grants program, which helps women and girls take control of their reproductive health. The first cohort of grantees includes organizations in 13 countries, including the Dominican Republic, South Korea, Germany, and Thailand. Fortune‘s Change the World list is selected and ranked by the editors of Fortune based on the magazine’s own reporting and analysis. Nominees are assessed based on the reach, nature, and durability of the company‘s impact on specific societal problems, degree of innovation, impact on the company, and how integral the initiative is to a company’s overall strategy. For more details on Organon’s ESG strategy, goals, and initiatives, download the full 2022 ESG Report at https://www.organon.com/about-organon/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About Organon Organon is a global healthcare company formed to focus on improving the health of women throughout their lives. Organon offers more than 60 medicines and products in women’s health in addition to a growing biosimilars business and a large franchise of established medicines across a range of therapeutic areas. Organon’s existing products produce strong cash flows that support investments in innovation and future growth opportunities in women’s health and biosimilars. In addition, Organon is pursuing opportunities to collaborate with biopharmaceutical innovators looking to commercialize their products by leveraging its scale and presence in fast growing international markets. Organon has a global footprint with significant scale and geographic reach, world-class commercial capabilities, and approximately 10,000 employees with headquarters located in Jersey City, New Jersey.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www.organon.com and connect with us on LinkedIn (https://www.linkedin.com/company/organon),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organonllc/), Twitter (https://twitter.com/OrganonLLC) and Facebook (https://www.facebook.com/OrganonLLC). Cautionary Note Regarding Forward-Looking Statements Some statements and disclosures in this press release are “forward-looking statements” within the meaning of the safe harbor provisions of the U.S. Private Securities Litigation Reform Act of 1995. Forward-looking statements include all statements that do not relate solely to historical or current facts and can be identified by the use of words such as “may,” “expects,” “intends,” “anticipates,” “plans,” “believes,” “seeks,” “estimates,” “will,” or words of similar meaning. These forward-looking statements include statements regarding Organon’s efforts to expand access to contraceptive choice. Such statements are based on Organon’s current plans and expectations and are subject to a number of risks and uncertainties that could cause Organon’s plans and expectations, including actual results, to differ materially from the forward-looking statements. Organon undertakes no obligation to publicly update any forward-looking statement, whether as a result of new information, future events or otherwise. Additional factors that could cause results to differ materially from those described in the forward-looking statements can be found in Organon’s filings with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including Organon’s Annual Report on Form 10-K for the year ended December 31, 2022 and subsequent SEC filings, available at the SEC’s Internet site (www.sec.gov). [1] Bearak, J et al., 2022. Country-specific estimates of unintended pregnancy and abortion incidence: A global comparative analysis of levels in 2015-2019. BMJ Global Health. [2] Nearly Half of All Pregnancies Are Unintended-a Global Crisis, Says New UNFPA Report.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Retrieved September 6, 2023, from www.unfpa.org/press/nearly-half-all-pregnancies-are-unintended-global-crisis-says-new-unfpa-report.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6715642/en/ 언론연락처: Organon & Co. Karissa Peer (614) 314-8094 Kate Vossen (732) 675-8448 Investor Contacts: Jennifer Halchak (201) 275-2711 Alex Arzeno (646) 430-202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Organon Recognized on Fortune’s 2023 Change the World List for Leadership in Expanding Access to Contraceptive Choice
-
-
앤더슨, 글로벌 가치 평가 업무 시작
-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독립적 다분야 전문 서비스 기업인 앤더슨(Andersen) (https://global.andersen.com/)이 고객을 위한 세무, 법률 및 관련 서비스 플랫폼을 확대하기 위해 새로운 글로벌 가치평가 서비스를 출범했다. 앤더슨의 글로벌 가치평가팀은 기업, 펀드, 고액자산가, 패밀리 오피스 등과 협력해 세금, 재무 보고 및 거래 자문 목적으로 비즈니스, 유형 및 무형 자산, 복잡한 유가증권에 대한 가치 평가를 제공한다. 회사는 기술부터 제조, 농업, 바이오 제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앤더슨의 글로벌 가치평가 서비스는 북미, 유럽, 라틴 아메리카, 중동, 아시아 등 전 세계 20개국 이상에 진출해 있다. 마크 보사츠(Mark Vorsatz) 앤더슨 글로벌 회장 겸 CEO는 “세무, 법률 및 가치 평가는 서로 복잡하게 연관돼 있지만 이 모든 역량을 한 지붕 아래에서 글로벌 규모로 제공하는 전문 서비스 회사는 없다. 앤더슨의 비전은 고객이 전 세계 어디에서나 신뢰할 수 있는 하나의 종합 기업과 원활하게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다. 당사는 향후 몇 년 내에 세계 최대 규모의 독립 평가 회사 중 하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앤더슨의 새로운 글로벌 가치평가 업무는 18년 동안 미국에서 앤더슨의 가치 평가 서비스를 총괄해 온 시드 루켄바흐(Sid Luckenbach) 상무이사 (https://andersen.com/people/luckenbach-sid)가 이끌고 있다. 루켄바흐는 “비즈니스 구조와 금융 상품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국경 간 및 다중 관할권 거래를 처리할 때 상황은 더욱 복잡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접근 방식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당사의 글로벌 가치평가 업무는 자산 위치에 관계없이 고객이 필요로 하는 심층적인 전문 지식과 지리적 범위를 결합한다”고 말했다. 앤더슨 글로벌은 전 세계 세무, 법률 및 가치평가 전문가로 구성되어 법적으로 분리된 독립 회원사들의 국제 협회이다. 2013년 미국 회원사인 앤더슨 택스(Andersen Tax LLC)가 설립한 앤더슨 글로벌은 현재 전 세계 1만4000명 이상의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회원사 및 협력사를 통해 400개 이상의 지역에 진출해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앤더슨 글로벌(Andersen Global) 메간 추에이(Megan Tsuei) 415-764-270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앤더슨, 글로벌 가치 평가 업무 시작
-
-
Andersen Launches Global Valuation Practice
- Andersen (https://global.andersen.com/), the fastest-growing independent, multidisciplinary professional services firm in the world, has launched a new global valuation practice to broaden its platform of tax, legal and related services for clients. Andersen’s global valuation team works with companies, funds, high-net-worth individuals, and family offices to provide valuations of businesses,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and complex securities for tax, financial reporting, and transaction advisory purposes. Its clients span a wide range of industries from technology to manufacturing, and agriculture to biopharmaceuticals. At launch, Andersen’s global valuation practice has a presence in more than 20 countries worldwide, throughout North America, Europe, Latin America, the Middle East, and Asia. “Tax, legal and valuation are intricately related, yet no other professional services firm offers all of these capabilities on a global scale under one roof,” said Andersen Global Chairman and CEO Mark Vorsatz. “Our vision at Andersen is to create a platform where clients can have a seamless experience working with one multidisciplinary firm they can trust, anywhere in the world. We’re aiming to become one of the largest independent valuation firms in the world within the next few years.” Andersen’s new global valuation practice is led by Managing Director Sid Luckenbach (https://andersen.com/people/luckenbach-sid), who has been the national leader for the firm’s valuation offering in the U.S. for the past 18 years. “Business structures and financial instruments are becoming more complex,” Luckenbach said. “It gets even more complicated when you’re dealing with cross-border and multi-jurisdictional transactions. That’s why the traditional approach is no longer sufficient. Our global valuation practice brings together deep expertise and the geographic reach that clients need, regardless of where their assets are located.” Andersen Global is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egally separate, independent member firms comprised of tax, legal and valuation professionals around the world. Established in 2013 by U.S. member firm Andersen Tax LLC, Andersen Global now has more than 14,000 professionals worldwide and a presence in over 400 locations through its member and collaborating firms.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927288846/en/ 언론연락처: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Andersen Launches Global Valuation Practice
-
-
두바이 상공회의소, 두바이 비즈니스 포럼의 글로벌 무역 및 투자 기회 창출 위한 ‘딜즈 허브’ 공개
- 두바이 상공회의소(Dubai Chambers)는 11월 마디낫 주메이라(Madinat Jumeirah)에서 개최되는 두바이 비즈니스 포럼(Dubai Business Forum)에서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와 투자자들이 파트너십과 거래를 발표할 수 있는 혁신 공간을 마련해 주는 새로운 영향 기반 플랫폼 딜즈 허브(The Deals Hub)를 공개했다. UAE 부통령 겸 총리이자 두바이 통치자인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Sheikh Mohammed bin Rashid Al Maktoum)의 후원으로 개최되는 두바이 비즈니스 포럼에서는 전 세계 정부 및 민간 부문의 주요 이해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전략적 경제 파트너십을 모색하고 국제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비즈니스, 무역 및 투자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다. 딜즈 허브의 출범으로 고위 정부 관료,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유명 인사, 글로벌 미디어 대표가 참석하는 서명식을 통해 주요 비즈니스 이니셔티브, 파트너십 및 투자를 결성하고 발표할 수 있는 전용 공간이 만들어졌다. 두바이 상공회의소 회장 압둘 아지즈 압둘라 알 구라이르(Abdul Aziz Abdulla Al Ghurair)는 “두바이 비즈니스 포럼은 흥미로운 기회를 열고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촉진할 거래와 투자를 위한 독특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딜즈 허브의 출범은 세계 경제의 선도적인 수도로서 성장하는 두바이의 지위를 강조하고, 외국인 투자 유치 및 사업 확장 지원에 있어 두바이의 성공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딜즈 허브는 주요 파트너십, 합작 투자, 인수합병, IPO, 대규모 투자, 자금 조달 라운드, 정부 계약, 국가 간 무역 협정 및 MoU와 같은 다양한 계약을 호스팅할 것이다. 두바이 비즈니스 포럼은 11월 1~2일 마디낫 주메이라에서 개최된다. 이벤트 등록: register.dubaibusinessforum.com 두바이 상공회의소 소개 두바이 상공회의소(Dubai Chambers)는 기업에 권한을 부여하고 혁신적인 부가가치 서비스와 영향력 있는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플레이어로서의 두바이의 비전을 지원하는 비영리 공공 기관이다. 2021년 3월 UAE 부통령 겸 총리이자 두바이 통치자인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은 두바이 체임버(Dubai Chamber)를 구조 조정하고 두바이 상거래회의소(Dubai Chamber of Commerce), 두바이 국제회의소(Dubai International Chamber), 두바이 디지털경제회의소(Dubai Chamber of Digital Economy)의 3개 회의소 설립을 발표했다. 이 세 회의소는 현재 두바이 상공회의소 산하에서 운영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www.dubaichambers.com 에서 찾을 수 있다. 소셜 미디어 팔로우: www.facebook.com/DxbChamberswww.twitter.com/dubaichamberswww.linkedin.com/company/dubai-chamberswww.youtube.com/DubaiChamberTVwww.instagram.com/dubaichambers *출처: AETOSWire (https://www.aetoswire.com/en/news/dbf027092023eng)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64429/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두바이 상공회의소(Dubai Chambers) 모하마드 무제헴(Mohamad Mouzehem) 홍보 및 기업 커뮤니케이션즈 +9714202853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두바이 상공회의소, 두바이 비즈니스 포럼의 글로벌 무역 및 투자 기회 창출 위한 ‘딜즈 허브’ 공개
-
-
넥센타이어, 2023 넥센타이어 스피드웨이 모터 페스티벌 4라운드 개최
- 넥센타이어(대표이사 강호찬)가 주최하는 ‘2023 넥센타이어 스피드웨이 모터 페스티벌(SINCE 2006)’ 4라운드가 10월 1일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개최된다. 넥센타이어는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와 공동 주최하며, 타이틀 후원사의 권리로 2023 넥센타이어 스피드웨이 모터 페스티벌(SINCE 2006)을 5월 새롭게 개최했다. 10월 1일 진행되는 2023 넥센타이어 스피드웨이 모터 페스티벌(SINCE 2006)은 아마추어 레이싱 선수뿐만 아니라 서킷 드라이빙을 즐기는 일반인, 드라이빙 아카데미가 필요한 서킷 드라이빙 입문자, 자동차 동호회, 바이크 동호회 등 모터스포츠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대한자동차경주협회(KARA)의 공인으로 진행되는 대회는 참가자가 목표한 랩타임에 얼마나 근접한 지를 놓고 겨루는 방식의 ‘타겟 트라이얼’ 레이스와 경기 코스에 장애물 구간을 설정해 놓고 완주한 시간에 따라 순위를 정하는 ‘짐카나’ 레이스로 구성된다. 그 외에도 대회 참가자들의 드라이빙 스킬 향상을 위해 넥센타이어의 공식 파트너 팀인 ‘서한GP’ 소속의 프로 레이싱 드라이버 장현진 선수와 유럽 포뮬러3(F3) 레이스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한 기록이 있는 임채원 선수가 레이스 참가자를 대상으로 원포인트 레슨 및 레이싱타이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도 진행한다. 2023 넥센타이어 스피드웨이 모터 페스티벌(SINCE 2006)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서킷에서는 레이싱 차량 및 바이크 퍼레이드 주행이 펼쳐질 예정이며, 프리미엄 SUV 차량 및 클래식 차량 또한 전시된다. 패독(레이싱카가 서킷에 들어가기 전 대기하는 장소)에서는 새로운 자동차 동호회 문화가 된 카밋(Car Meet)과 바이크 전시, 한유그룹의 헤리티지 리무진 차량을 포함한 차량용품이 전시된다. 여기에, 레이싱 시뮬레이터 체험 등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현장 이벤트와 트랙체험(레이싱카 택시, 서킷 사파리, 오프로드 체험, 그리드 워크 등)등의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제공된다. 넥센타이어는 2006년부터 국내 모터스포츠의 지속적인 저변 확대와 모터스포츠 산업 기초 종목의 육성을 위해 ‘CJ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현대 N페스티벌’ 등 모터스포츠 대회를 지속해서 후원해오고 있다. 2023 넥센타이어 스피드웨이 모터 페스티벌(SINCE 2006)은 연간 총 5라운드로 용인 스피드웨이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관람객들은 별도의 입장권 예매 절차 없이 에버랜드 셔틀을 이용한 무료입장이 가능하다. 언론연락처: 넥센타이어 경영관리팀 이재엽 부장 055-370-509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넥센타이어, 2023 넥센타이어 스피드웨이 모터 페스티벌 4라운드 개최
-
-
비즈플레이, 나온소프트와 경비지출관리 및 그룹웨어 서비스 업무 협력 위한 전략적 제휴 체결
- Expense 비용관리 Total 솔루션 전문 기업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가 나온소프트(대표 강갑렬)와 ‘경비지출관리 및 그룹웨어 서비스 업무 협력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제휴로 비즈플레이와 나온소프트는 각 사가 보유한 솔루션 및 기술을 활용한 국내외 비즈니스 협업을 강화하고, 그룹웨어 연계를 통해 결재 방식 일원화 및 경비 처리 프로세스 효율화 등 사업 전반에서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또 양 사는 고객 대상 공동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펼칠 예정이며, 디지털 전환 흐름에 맞춰 양 사 강점을 합친 DX 사업 분야에서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비즈플레이의 Expense 비용관리 솔루션은 기존 실물 영수증을 전자 영수증으로 전환, 모바일에서 실시간 처리 및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해 투명하고 효율적인 경비 사용 문화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비즈플레이는 △통합전표처리자동화시스템 e-Accounting △공공 클라우드 △출장 예약 서비스 등 새로운 분야를 개척, 전반적인 B2B 업무를 한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통합 인프라 제공 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갈 방침이다. 비즈플레이 김홍기 대표는 “비용관리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비즈플레이가 나온소프트 그룹웨어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비즈니스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비즈플레이는 앞으로도 혁신적인 통합 B2B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들이 최적화된 비즈니스 업무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플레이의 Expense 비용관리 솔루션은 △SPC그룹 △한국미쯔비시전기오토메이션 △아이티센그룹 △롯데중앙연구소 등이 도입했으며, 현재 2800여 대기업 및 공공기관과 3만여 중소기업의 390만여명 사용자가 비즈플레이를 이용하고 있다. 비즈플레이 소개 비즈플레이는 디지털 경비지출관리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2014년 6월 웹케시 사내 벤처로 출발한 비즈플레이는 독자 비즈니스 추진을 위해 같은 해 12월 별도 법인으로 분사했다. 2016년 9월 ‘경비지출관리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리포지셔닝하고 새롭게 출범했다. 기업의 무증빙 경비지출관리를 위해 비즈플레이는 국내 최초로 법인 카드는 물론 개인 및 해외 카드 실물 영수증이 필요 없는 전자적 경비지출관리를 구현하고, 기업 전체 경비지출 현황을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100대 기업 75%, 국내 약 1000개 대기업만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종이 영수증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10년 뒤 대한민국 75% 기업에서 종이 영수증이 사라질 것을 확신하는 비즈플레이는 그 시장을 만들어 간다는 비전 아래 끊임없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비즈플레이 홍보대행 웹케시그룹 김도열 이사 02-3779-061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비즈플레이, 나온소프트와 경비지출관리 및 그룹웨어 서비스 업무 협력 위한 전략적 제휴 체결
-
-
한국표준협회, 초격차 스타트업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 성료
- 한국표준협회는 서울경제진흥원, 한국중견기업연합회와 함께 스타트업-대·중견 기업 간 오픈 이노베이션 활성화를 위해 올해 6월부터 개최한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 ‘2023 I’M Challenge’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7일 밝혔다. I’M Challenge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혁신 기술이 필요한 수요 대·중견 기업과 사업 확장의 발판이 필요한 초격차 스타트업을 비롯한 전국 유망 스타트업 총 117개사와 매칭해 사업 연계 및 협업을 지원하는 스타트업 스케일업 프로그램이다. 1차 서면 심사와 2차 1:1 밋업(Meet-Up)을 거쳐 최종 결선 심사까지 기업 컨디션을 다각도로 고려해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한국로슈, 종근당, 우정바이오 등 11개사가 수요 대·중견 기업으로 참여했다. 또 바이오헬스, 모빌리티, 로봇, 친환경·에너지 분야의 초격차 스타트업인 △셀플러스코리아 △비주얼캠프 △에이버츄얼 △세븐포인트원 △솔리비스 △세이프틱스 △유스바이오글로벌 △메디벨바이오 △티엠이브이넷 △사이키바이오텍 △코스모스랩 △히츠 △픽셀로 △에이블테라퓨틱스 △랩에스디 16개사가 참여했으며 이 가운데 에이블테라퓨틱스, 비주얼캠프, 유스바이오글로벌, 세이프틱스가 최종 결선까지 진출했다. 한국표준협회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중소벤처기업부 혁신분야 창업패키지(신산업) 사업의 하나로 진행됐다. 결선을 통과한 초격차 스타트업 3개사(에이블테라퓨틱스, 비주얼캠프, 유스바이오글로벌)를 대상으로 1000만원의 PoC 지원금을 비롯해 투자 펀드 연계를 통한 직접 투자 지원, 서울창업허브 M+입주 혜택 등 기업 성장을 위한 다양한 혜택이 지원될 예정이다. 한국표준협회 김운식 센터장은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협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꾸준히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블테라퓨틱스, 비주얼캠프, 유스바이오글로벌, 세이프틱스 4개사는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대·중견 기업과 다양한 영역에서 전략적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며, 앞으로 글로벌 진출까지 사업 확장 기회를 더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한국표준협회는 중소벤처기업부 신산업 10대 분야의 혁신 기술 보유 기업 1000개 이상 육성을 목표로 하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내역 사업인 혁신분야 창업패키지(신산업)의 글로벌 협업 주관 기관을 맡아 국내·외 글로벌 대·중견 기업과 초격차 스타트업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스타트업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한국표준협회 소개 한국표준협회는 1962년 산업표준화법에 따라 산업표준화 및 품질경영의 조사·연구·개발 및 보급을 촉진해 과학 기술을 진흥하고 생산 능률을 향상시킴으로써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사단법인이다. 언론연락처: 한국표준협회 임길화 02-6240-479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한국표준협회, 초격차 스타트업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 성료
-
-
‘친한파’ 일본 여배우 ‘오구라 유나’ 팬트리 채널 공식 오픈
- ‘친한파’로 잘 알려진 톱 클래스 일본 여배우 오구라 유나(小倉由菜)가 9월 26일(화) 자신의 팬트리 채널을 공식 오픈했다. 오구라 유나는 자연스러운 한국어와 뛰어난 예능감을 바탕으로 이미 한국에서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는 배우 중 한 명이다. 한국 팬들을 대상으로 지난해까지 약 50만명에 달하는 구독자를 확보하고 있던 유튜버였지만, 기존 채널과의 계약이 만료되며 올해 6월 말 본인의 단독 채널 ‘오구오구’를 개설해 다수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한국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팬트리는 오구라 유나가 지금까지 시도해 본 적 없는, 팬과 직접적으로 적극적인 소통을 진행하는 채널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오구라 유나는 “팬트리 채널에서는 한국어를 메인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한국 팬들과 더 가까운 사이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오구라 유나는 본격적인 한국 활동의 시작이 될 이번 팬트리 채널 오픈을 위해 다양한 오픈 이벤트를 준비했으며, 채널 신규 구독자 대상 다양한 선물 이벤트 및 팬들이 작성하는 댓글에서 베스트 댓글을 매주 직접 선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는 등 적극적인 팬과의 소통을 예고했다. 오구라 유나는 현재 넷플릭스를 비롯한 각종 OTT의 단골 게스트로 다양한 예능에서 러브콜을 받는 등 화제의 인물이기도 하다. 특히 탁재훈이 진행하는 유튜브 예능 ‘노빠꾸 탁재훈’에 출연해 900만 조회수를 얻은 바 있으며, 최근에는 성시경과 신동엽이 함께 진행하는 넷플릭스 예능 ‘성+인물: 일본편’에 게스트로 출연해 화제가 되는 등 방송인으로서의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한편 팬트리는 크리에이터가 직접 개설해 관리할 수 있는 멤버십형 커뮤니티 채널로, 팬들을 위해 직접 업로드하는 다양한 사진과 영상들이 제공된다. 다이렉트 메시지 시스템을 통해 직접적인 교류가 가능하다는 특징도 눈에 띈다. 채널 내에서의 콘텐츠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보안 기술이 적용됐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한정판 콘텐츠 ‘페블스’는 흔하지 않은 성공 사례로 손꼽히는 등 업계의 각광을 받고 있다. 프랭크스토어 소개 프랭크스토어는 크리에이터-팬 커뮤니티 플랫폼 ‘팬트리(Fantrie)’의 운영사다.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213에 위치하고 있다. 팬트리는 아이돌/배우/뮤지션/BJ/모델/일러스트레이터/포토그래퍼 등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가 활동하면서 팬들과 소통하는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한정판 ‘페블스(Pebbles)’ 기능이 독창적이다. 언론연락처: 프랭크스토어 박호식 매니저 070-7788-271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친한파’ 일본 여배우 ‘오구라 유나’ 팬트리 채널 공식 오픈
-
-
함께하는사랑밭 독산지역아동센터 ‘다문화아동 1박 2일 문화캠프’ 진행
- 함께하는사랑밭 독산지역아동센터는 7월 27일~28일 사단법인 행복한가의 ‘다문화아동문화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안산시 대부도 소재 대형 풀 빌라에서 서울 금천구 내 타 지역아동센터와 함께 ‘다문화아동 1박 2일 문화캠프’를 진행했다. 사단법인 행복한가의 ‘다문화아동문화지원사업’은 의사소통과 문화적 차이로 적응하지 못하는 다문화가정을 위해 기획됐으며, 문화캠프에 참여한 모든 아동이 각자의 꿈을 품고 건강하게 성장해 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다문화아동 1박 2일 문화캠프’는 ‘같이가치’의 실천을 몸소 느끼는 기회가 됐다. 어색함은 한순간이었으며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나눠 미니 체육대회를 열고, 개개인의 장기를 뽐내는 시간을 갖는 등 승부를 떠나 서로를 응원하며 소통하고 화합했다. 무엇보다 참여 아동들은 여름방학을 맞아 도심 속 열대야를 벗어나 자연을 벗 삼아 또래와 함께하는 즐거움으로 무더위를 잊으며 모처럼 만에 힐링의 시간을 가졌다. 함께하는사랑밭 독산아역아동터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고정관념이 아이들에게는 문화의 다양성으로 극복되고 있었고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아동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다문화라는 틀에서 벗어나 함께하는 사회 일원으로서 차별 받지 않는 아동,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함께하는사랑밭 독산지역아동센터 소개 함께하는사랑밭 독산지역아동센터는 지역 내 요보호 아동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다문화 가정, 맞벌이 가정 등 부모 역할 수행의 부족으로 사각지대에 놓인 가정의 가족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아동 대상 무료급식 제공, 안전한 보호 관리, 지역 연계, 방과 후 개별학습지도 및 각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동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다양한 체험 기회를 제공해 사회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복지의 수혜자인 아동들이 사랑이 가득한 사랑밭을 일구고 ‘같이가치’를 실천하는 밝고 건전한 아동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함께하는사랑밭 독산지역아동센터 주재연 복지사 02-851-3808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함께하는사랑밭 독산지역아동센터 ‘다문화아동 1박 2일 문화캠프’ 진행
-
-
주한영국문화원-KF, 기후변화 대응 위한 프로젝트 ‘연안의 기록들’ 지원
- 주한영국문화원(British Council Korea, 원장 폴 클레멘슨)은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와 공동으로 ‘2023 한-영 기후변화 크리에이티브 프로젝트’에 참여할 ‘연안의 기록들(Littoral Chronicle)’ 프로젝트를 최종 선정했다. 2021년 P4G(녹색 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서울 정상회의,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영국 글래스고) 개최를 계기로 발족된 이 한-영 공동사업은 2021년을 시작으로 올해 3년째 추진해 양국 협력을 확대·강화하고, 기후변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 공모에는 한-영 양국의 기관 및 개인의 협업으로 구성된 다양한 예술·과학·디지털 기술 융합 프로젝트 11개 팀이 지원했으며, 양 기관은 심사를 거쳐 최종 1개 팀을 선정했다. 선정된 팀은 9월 프로젝트 개시 후 11월 말까지 프로젝트를 완료하게 된다. 선정된 ‘연안의 기록들’ 프로젝트는 한국의 이끼바위쿠르르, 영국 유빅 프로덕션(UBIK Productions)의 셰자드 다우드와 함께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리티카 비스와스(Ritika Biswas)가 큐레이팅해 진행한다. 한국과 영국 해양 인근 지역에서 생활하는 인간 공동체의 경험을 기록하고 대체 연안 기후동맹을 탐구하는 연구 프로젝트로, 디지털 전시, 기후 워크숍 이벤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폴 클레멘슨 주한영국문화원장은 “한-영 수교 140주년이자 주한영국문화원 개원 50주년인 올해 세 번째 한-영 기후변화 크리에이티브 프로젝트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할 양국의 창의적·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펼쳐지게 돼 기쁘고, 특히 해양을 중심 주제로 이뤄질 이번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가 크다. 학제 간 협력을 통해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한-영 양국 간 대화와 협력이 더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참여 기관 및 아티스트 소개 · 이끼바위쿠르르(IkkibawiKrrr) 이끼바위쿠르르는 2021년 한국에서 결성된 시각 연구 밴드다. 현재 고결, 김중원, 조지은으로 구성된 이끼바위쿠르르는 식물, 자연현상, 인류, 생태학과의 연계를 탐구한다. 그룹명은 이끼 낀 바위를 뜻하는 ‘이끼바위’와 의성어 ‘쿠르르’가 합쳐진 인공어다. 이끼는 대기와 흙의 경계층에서 작은 몸으로 적응하며, 주변 환경에 따라 그 세계를 확장시킨다. 이들은 이끼가 살아가는 방식을 프로젝트와 태도에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열대와 해초를 연구하며, 또 한 편에서는 농부들과 활동하고 있다. 이들에게 있어 자생의 방식과 경계를 넓히며 주변의 일부가 돼가는 움직임은 매우 중요하다. 주요 참여 전시로는 ‘The 40th EVA International’(리머릭, 2023),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서울, 2023), ‘제14회 광주비엔날레’(광주, 2023), ‘Documenta 15 Lumbung’(오토네움, 카셀) 등이 있다. · 셰자드 다우드(Shezad Dawood) + 유빅 프로덕션(UBIK Productions) 셰자드 다우드(1974년 출생)는 런던에 기반을 두고 회화, 직물, 영상, 디지털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현실과 내러티브, 그리고 상징 체계의 융합을 구현해 온 다층적인 예술가다. 인문·사회·자연과학 등 학문 간의 연계를 바탕으로 다학제적 작품 활동을 펼치는 셰자드 다우드는 특히 생태학과 건축에 집중해 ‘세계건설(혹은 세계구축) world-building’ 및 ‘상상공학(혹은 이미지공학) imagineering’에 의한 대안적 미래를 탐색하며, 그에 따른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셰자드 다우드의 작업은 각계각층의 커뮤니티와 협력하는 연구를 기반으로 역사와 담화, 그리고 구체적인 구현에 대한 고찰로부터 완성된다. 그의 작품은 토론토 비엔날레(2022),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2021), 런던 사우스뱅크 센터(2020~2021), 마니페스타13(2020), 라호르 비엔날레(2020), 제14회 샤르자 비엔날레(2019), 광주비엔날레(2018) 등 많은 곳에서 전시됐다. 그는 또한 뉴미디어 작품과 디지털 애니메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알고리즘 기술과 VR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몰입형 필름 제작사 유빅 프로덕션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 리티카 비스와스(Ritika Biswas) 리티카 비스와스(1995년 출생)는 노매딕 큐레이터이자 연구자, 스페이스 메이커다. 인도 콜카타에서 유년기를 보냈으며, 예일-NUS 대학(싱가포르 소재)에서 문학, 예술 인문학을 공부하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필름·스크린 연구(Film and Screen Studies with Distinction)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19~2021년 영국의 노팅엄 뉴 아트 익스체인지(New Art Exchange) 갤러리의 큐레이터로 활동했으며, 영국문화원 온라인 전시 ‘Museum Without Walls’의 공동 큐레이터와 2021년 부산 바다미술제 전시감독으로 일했고, MMCA에서 진행한 국제연구 펠로우십에도 참여했다. 현재는 아부다비에서의 기후 소멸에 대한 그룹 전시를 준비 중에 있다. 주한영국문화원 소개 주한영국문화원은 문화 관계와 교육 기회를 위한 영국의 국제기관이다. 우리는 영국과 전 세계 국가의 사람들 사이에 교류, 이해 및 신뢰를 구축함으로써 평화와 번영을 지지하며, 예술과 문화, 교육 및 영어 분야에서 우리의 활동을 통해 이를 성취한다. 영국문화원은 20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의 사람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2021~2022년에는 6억5000만 명과 연결됐다. 주한영국문화원은 1973년 8월 서울에 설립돼 영어교육, 문화예술, 교육 분야의 파트너십을 통한 문화 관계 사업으로 한국과 영국을 더 가깝게 하고 있다. 4개의 어학원 센터를 운영하며, 영어교육 정책 연구 및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국제공인 영어시험 아이엘츠(IELTS)의 공식 주관사이자 영국 자격증 시험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은 영국문화원의 한국 내 개원 50주년이 되는 해로서 주한영국문화원이 영국과 한국의 관계 증진을 위해 이바지해 온 것을 기념한다. 언론연락처: 주한영국문화원 고유미 공보관 02-3702-0617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주한영국문화원-KF, 기후변화 대응 위한 프로젝트 ‘연안의 기록들’ 지원
-
-
듀오링고, 2위와 매출 4배 차이 벌리며 전 세계 언어 학습 앱 1위… 게이미피케이션 등으로 사용자 참여도 이끌어
- 글로벌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 (https://sensortower.com/ko)가 ‘듀오링고(Duolingo)’가 어떻게 효과적인 언어 습득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했는지뿐만 아니라 전 세계 언어 학습자의 마음을 사로잡아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듀오링고’의 능력까지 확인할 수 있는 ‘듀오링고: 제품 밀착화를 통한 수익 창출 리포트’를 발표했다. ‘듀오링고’는 최근 사용자 이탈율이 눈에 띄게 감소하고 한 달에 15일 이상 앱에 액세스하는 진성 유저의 참여도가 높아지는 등 사용자 리텐션에서 긍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듀오링고’가 다양한 사용자층을 효과적으로 만족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기 있는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통합한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의 향상은 이러한 성공을 견인한 주요 요인 중 하나다. 몇 년 동안 ‘듀오링고’는 참여도 증가와 이탈률 감소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경쟁사보다 좋은 성과를 내며 모바일 언어 학습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인기 언어 학습 앱인 ‘바벨(Babbel)’, ‘부수(Busuu)’, ‘몬들리(Mondly)’ 등과 비교하면 듀오링고의 충성도 구축 능력은 더욱 분명해진다. 센서타워의 교차 사용앱 데이터는 모바일 언어 학습 부문에서 ‘듀오링고’의 사용자 참여도 우위를 입증한다. 2023년 1분기 Google Play에서 듀오링고를 다운로드한 사람들은 ‘케이크(Cake)’ 앱을 선호했는데, 해당 앱은 ‘듀오링고’ 사용자들이 30일 사용량 순위에서 67위를 차지했다. 듀오링고의 주요 경쟁자인 ‘바벨’ 사용자는 다른 언어 학습 앱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다른 언어 학습 앱 사용에 대한 배타성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듀오링고’는 바벨 사용자들이 30일 동안 가장 많이 사용한 앱 3위를 차지했으며, ‘부수’, ‘멤라이즈(Memrise)’, ‘몬들리’도 67위 이내에 포함돼 있었다. 사용자들의 강력한 충성도로 ‘듀오링고’는 신규 사용자 획득보다 기존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향상에 집중할 수 있었다. 최근 앱의 언어 학습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GPT-4 기술을 통합한 것은 이러한 노력의 한 예다. ‘듀오링고’에는 ‘연속 학습’ 기능이 있는데, 이는 사용자들이 늦은 밤에도 언어 학습을 하는 습관을 들이고 앱 사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앱의 게이미피케이션 기능, 일일 목표, 연속 학습 추적 기능은 사용자가 일관된 루틴을 확립하고, 오후 10시 전후로 사용량이 증가하는 데 기여했다. ‘바벨’과 비교하면 ‘듀오링고’의 사용량은 늦은 시간대에 정점에 달했다. ‘듀오링고’ 사용자의 25% 이상이 오후 9시에서 11시 사이에 ‘듀오링고’를 사용한다는 점이 두드러지는 반면, ‘바벨’의 사용자 중 16.5%만이 이 시간대에’ 바벨’을 사용하며, ‘듀오링고’의 다른 주요 경쟁사도 19%보다 낮거나 동일한 사용률을 보인다. ‘듀오링고’는 피크 시간대에 참여를 촉진하는 기능과 전략에 집중함으로써 사용자 리텐션을 높일 수 있었다. 최근 몇 년 동안 ‘듀오링고’는 게이미피케이션을 비롯해 재미와 관련된 측면을 강조하는 리뷰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러한 리뷰는 2022년과 2023년 초에 올린 전체 리뷰의 20%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바벨과 같은 경쟁사는 2022년에 이러한 리뷰의 비중이 60%에 불과했다. 자연어 처리에 대한 높아지는 관심은 언어 학습 앱에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뷰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듀오링고’는 게이미케이션과 재미 등에 긍정적인 반응을 얻으며 사용자 참여도를 이끌어 내고 있다. 이는 ‘듀오링고’가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준비가 돼 있음을 시사한다. ‘듀오링고’가 언어 학습 플랫폼일 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의 역할도 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듀오링고’는 최근 몇 달 동안 전체 iTunes 다운로드 대비 iOS 추천 다운로드 비율이 크게 증가하며 2023년 1분기 마지막 두 달 동안에는 약 60%로 정점을 찍었다. 다양한 추천 중에서도 히어로 배너(스토어 상단에 있는 눈에 잘 띄는 배너)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 히어로 배너는 일본에서 ‘듀오링고’가 14만 건 이상의 iTunes 다운로드를 기록하는 데 기여했다. ‘듀오링고’는 고품질 기준을 유지하고, 긍정적인 사용자 피드백을 장려하며, 혁신적인 기능 등을 도입해 앱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App Store 최적화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추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2022년 ‘듀오링고’는 글로벌 모바일 경제가 직면한 어려움을 뛰어넘어 괄목할 만한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회사의 모바일 매출은 전년 대비 55% 급증해 3억달러를 돌파했다. 몇 년간 ‘듀오링고’는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2018년 이후 경쟁 앱의 평균 소비자 지출이 정체된 것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듀오링고’의 모바일 수익은 현재 바벨 수익의 4배가 넘으며, 이는 모바일 언어 학습 영역에서 ‘듀오링고’가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공은 유료 사용자를 유치하고 유지하는 능력을 반영한다. ‘듀오링고’의 구독 플랜은 최근 몇 분기 동안 상당한 인기를 얻었으며, 2023년 1분기에 유료 구독자 수가 전년 대비 63%나 증가한 480만 명을 기록했다. 제품 밀착화를 통한 ‘듀오링고’의 수익화 전략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듀오링고: 제품 밀착화를 통한 수익 창출’ 리포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센서타워 사이트에서 리포트 전문 (https://sensortower.com/ko/duolingo-monetisation-2023-report-korea?utm_source=Korea%20Newswire)을 다운 받을 수 있다. 센서타워 소개 201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센서타워(Sensor Tower)는 Twitter, Unity, Tencent, HBO 등 글로벌 디지털 기업으로부터 신뢰받는 업계 최고의 데이터 분석 회사로 자리매김했다. 센서타워는 모바일 시장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스토어 인텔리전스, 광고 전략을 최적화할 수 있는 광고 인텔리전스 등 인텔리전스 툴을 통해 모바일 스타트업에서부터 우량 기업 및 금융 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바일 비즈니스 여정의 모든 단계에서 심도 있는 인사이트와 선도적인 고객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센서타워는 포켓 게이머 모바일 게임즈 어워즈 2022에서 ‘최고의 데이터/분석 툴’을 수상한 바 있다. 언론연락처: 센서타워 한국지사 마케팅팀 유예나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듀오링고, 2위와 매출 4배 차이 벌리며 전 세계 언어 학습 앱 1위… 게이미피케이션 등으로 사용자 참여도 이끌어
-
-
2023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유럽투어… 클래식 본고장 찾는 국립심포니
-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대표이사 최정숙, 이하 국립심포니)가 클래식 음악의 본고장인 독일과 체코 무대에 오른다. K클래식과 한국의 소리를 알릴 레퍼토리로 10월 1일(일) 비스바덴 쿠어하우스, 10월 4일(수) 베를린 필하모니홀, 10월 6일(금) 프라하 스메타나홀을 찾는다. 이번 공연은 한·독 수교 140주년을 기념하고 체코와 한국 간 문화 교류를 견고히 하고자 기획됐다. 전 세계적으로 K클래식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국립심포니가 두 나라와 한국을 잇는 문화적 가교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국립심포니는 ‘한국·독일·체코’ 세 나라에 뿌리를 둔 음악을 연결고리 삼아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독일을 대표하는 베토벤의 교향곡 2번과 브람스의 ‘대학축전 서곡’을 연주하고, 체코 태생 작곡가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 중 ‘블타바’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공연의 백미는 오케스트라와 판소리의 만남이다. 소리꾼 고영열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로 한국의 정서를 알리고, 서양 관현악과 국악의 전통 리듬을 녹인 우효원의 ‘북(Drum)’으로 흥을 돋운다. 체코 공연에서는 작곡가 우효원이 한국 음악에 대한 해설을 맡아 국악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번 무대를 위해 유럽과 한국을 대표하는 음악가들이 대거 포진했다. 한국인 최초로 오스트리아 주립극장의 수석 카펠마이스터(수석 상임지휘자)로 활동한 바 있는 지휘자 홍석원(광주시향 상임지휘자)을 필두로 스타 소리꾼 고영열, 고수 고석진이 출연한다. 여기에 한국 고유의 가락과 클래식 음악을 접목해 국악의 새로운 면모를 알려온 작곡가 우효원의 작품까지 선보이며 문화사절단으로의 역할이 기대된다. 국립심포니 최정숙 대표이사는 “한국을 대표해 클래식 음악의 심장부인 독일과 체코에서 공연을 갖는 의미가 크다”며 “지난해 오스트리아에 이어 내년의 프랑스까지 지속적으로 클래식 음악 본토와의 교류를 모색해 한국 음악의 다양한 매력과 우수성을 알리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소개 1985년 국내 최초 민간 교향악단인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로 출발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Kore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는 관현악은 물론 오페라·발레까지 아우르는 극장 오케스트라로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연 100회 연주로 국민의 문화향유 확대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K 클래식을 이끌 연주자·작곡가·지휘자를 위한 교육 사업으로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언론연락처: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홍보마케팅팀 임원빈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2023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유럽투어… 클래식 본고장 찾는 국립심포니
-
-
뉴스포츠 추크볼 후원하는 미디어그룹사람과숲, 생활스포츠 다양화 위해 앞장서다
- 미디어그룹사람과숲(이하 사람과숲)이 비인기종목 중 하나인 추크볼(Tchouk ball) 국가대표 선수단에 메인스폰서로서 후원을 시작한다. 추크볼은 핸드볼을 변형한 뉴스포츠로, 탄성이 있는 네트에 공을 던져 튀어나오는 공을 수비 측이 잡아내지 못하면 득점하는 경기다. 볼이 네트를 스치면서 나는 특유의 ‘추우욱’하는 소리에서 추크볼이라는 이름이 유래됐다. 추크볼은 경기 중 방해 행위 및 몸싸움이 제한되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이 적어 장애인 및 비장애인, 어린 아동부터 노인까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매력적인 스포츠다. 대한민국은 국제추크볼연맹(FITB)에 가입된 40여개 국가 중 하나다. 사람과숲은 경쟁보다는 조화로운 사회를 추구하는 평화의 스포츠 추크볼의 정신에 공감하면서 국가대표 선수단의 메인스폰서로서 2023년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4일간 대만에서 개최되는 ‘2023 동아시아 추크볼 선수권대회’ 참가에 대한 비용을 후원하기로 결정했다. 사람과숲은 이번 후원을 시작으로 현재 비인기종목인 추크볼이 성장동력을 잃지 않고 좋은 성과를 내서 전 국민적인 관심을 받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전폭 지원할 예정이다. 미디어그룹사람과숲 한윤기 대표는 다양한 생활스포츠의 활성화와 사회적 기여를 강조하며, “당사 역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분야의 선도적인 기업으로서 사회적약자 고용 창출 등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기업의 책임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그룹사람과숲 소개 작가주의적 개성을 가진 프로젝트 매니저들이 모여 시작된 미디어그룹사람과숲은 Visual Data에 기반한 디지털라이징,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자율주행, 가상현실(VR) 등 관련 분야에서 뛰어난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자체 기술과 서비스 개발 등 다각도의 사업 확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를 매개로 사람 중심의 문화, 사람 중심의 기업이 돼 함께 성장하고 행복할 수 있는 기업으로 자라나고 있다. 언론연락처: 미디어그룹사람과숲 전략기획실 이여울 과장 02-830-858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 뉴스
- 사회
-
뉴스포츠 추크볼 후원하는 미디어그룹사람과숲, 생활스포츠 다양화 위해 앞장서다